목차
1. 왜 이 영화인가? … 영화선택이유
2. 간추린 이야기 … 영화의 줄거리
3.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
4. 나의 이야기 … 영화감상문
5.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한 영화분석
(1) 영웅신화의 3막구조
(2) 내러티브 분석
(3) 주제의식
(4) 상징성
(5) 이미지․장면 분석
6. 맺음말
2. 간추린 이야기 … 영화의 줄거리
3.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
4. 나의 이야기 … 영화감상문
5.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한 영화분석
(1) 영웅신화의 3막구조
(2) 내러티브 분석
(3) 주제의식
(4) 상징성
(5) 이미지․장면 분석
6. 맺음말
본문내용
모른다. 그러나 영화에서도 보여지듯 아무리 작은 부분이라도 과거를 바꾸다보면 무질서의 혼란속에서 많은 것이 달라지고 엉망이 될 가능성이 크다. 영화의 내용은 현실에 불만이 있을 때는 현재에서 최선을 다해서 미래를 바꾸려고 해야지 과거를 부정하는 것은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현재에 만족하며, 현재를 즐겨라(Carpe Diem)’
이것이 이 영화가 주는 메시지가 아닐까 생각한다.
(4) 상징성 - 일기장
중요한 정보일수록 설명적 표현을 일삼기보다는 두가지 의미를 지니는 사물을 등장시키는 것이 좋은 영화의 요건이라는 수업내용을 생각하며 이 영화에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 것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 영화 <나비효과>에서는 ‘일기장’이 영화에서 매우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차지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영화 <나비효과>에서 일기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과거의 솔직한 자신만의 기록들로 점철된 일기장은 많은 영화에서 다양한 의미로 활용된다. 영화 <1979년 10월 28일 일요일 맑음>에서처럼 하루를 마감하면서 영화를 끝맺는 방식의 하나도 활용될 수도 있고, 영화 <브리짓존스의 일기>처럼 영화 자체를 이끌어가는 매개가 될 수도 있으며, 영화 <여고괴담3>에서처럼 의문의 죽음을 유발하는 공포의 존재가 되기도 한다. 이 밖에도 추억을 되살리는 도구로 쓰이거나, 일기장을 통해 비밀이 밝혀진다거나, 사랑이 이루어지는 매개체로 활용될 수도 있는 등 영화 속에서 일기장의 의미는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영화 속 다양한 일기장 중에서도 영화 <나비효과>에서는 일기장은 두가지 의미를 가진다. 이는 주인공의 단기기억상실을 치료하기 위한 도구로써의 일기장과, 동시에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매개체로써의 일기장이라는 두가지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의미 중에서도 나는 특히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매개체로써의 일기장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시간여행을 하는 영화에서는 과거로 향하는 매개체가 되는 물건이 존재한다. 영화 <백투더퓨쳐(Back To the Future)>의 타임머신이 그렇고, 만화 <시간탐험대>에서는 돈데기리기리를 연발하는 주전자가 시간여행을 할 수 있는 매개로 작용한다. 이 영화에서 과거로 향하는 매개체가 되는 것은 바로 주인공의 ‘일기장’이다. 자신의 과거의 기록이 고스란히 적혀 있는 일기장은 다른 영화에서도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가지지만, 특별히 영화 <나비효과>에서는 주인공이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이는 영화 <해리포터와 비밀의 방>에서 역시 주인공 해리포터는 우연히 줍게 된 톰 리들의 일기장을 통해 과거속의 호그와트로 갈 수 있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5) 이미지 장면 분석
영화 <나비효과>는 내러티브 자체가 매우 매력적인 영화로 상대적으로 특수효과가 많은 편은 아니다. 기억에 남는 특수효과라고 해봐야 주인공이 일기장을 통해 과거로 돌아가는 장면과 새로운 현실에 들어설 때마다 지난 13년의 기억이 회색빛으로 흩어지고 새로운 13년동안의 삶이 빠르게 재구성되는 부분 정도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몇 안되는 장면들은 영화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차지한다. 조사한 바에 의하면 주인공 에반이 일기장을 통해 시공간 이동을 하는 장면에 나오는 특수효과는 헐리우드 최고의 시각효과 팀들에 의해 만들어졌고, 최고의 시각효과 팀이 만들어낸 최고의 장면은 주인공 에반이 일기를 읽으면서 시공간의 통로로 이동하는 장면이라고 한다. 영화를 다 보고난 뒤 그 장면들을 잘 생각해보니 일기장의 글씨가 한글자 한글자 흔들리면서 화면이 분산되는, 스크린의 픽셀 하나하나가 살아나면서 마치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듯한 기묘한 화면처리를 통해 시공간 이동을 효과적으로 표현한 것 같다. 이러한 새로운 시각효과는 마치 내가 주인공 에반과 함께 기억 속으로 빠져드는 느낌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DVD에 있는 제작노트를 보면 지나간 기억들은 채도를 낮추어 더욱 꿈처럼 보이게 했다는 제작자의 설명이 있다. 이같은 특수효과 때문에 영화가 더욱 빛을 발한게 아닌가 싶다.
수업시간에 배운 짧은 지식으로 장면 분석을 해보자면 영화의 속도조절에 대해 말하고 싶다. 여러 개의 사건들이 묶여 있는 상황에서 각 사건들은 느리게 시작한다. 그러다 급박해지고 다시 느려진다. 예를 들면, 처음 시작 장면, 그러니까 에반이 어떤 방에 몰래 들어가 책상 밑에 숨어 종이에 글을 쓰는 장면은 이 장면이 앞으로 전개될 장면들의 흐름을 보여준다. 처음 방안에서 투명 유리로 보이는 밖의 에반의 모습은 아주 느리다. 하지만 문이 열림과 동시에 상황은 긴박해진다. 동시에 소리도 매우 커진다. 이런 식의 속도 조절이 영화 내내 이어지는 데 이런 긴장의 반복이 인상적이었던 것 같다.
6. 맺음말
처음 Report를 쓰려고 자리에 앉아보니 어느 영화를 선택할지에 대해서도 한참동안 생각하게 되었다. 영화를 그저 보는 것에만 익숙했던 나였는데 분석을 하려니 여간 힘든게 아니었고, 오랜만에 보고서를 쓰려니 글귀도 잘 생각이 나지 않아서 새벽까지 보고서를 쓰면서 노트필기를 옆에 두고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을 바탕으로 서툴지만 열심히 분석을 시도해보았다. 생각 같아서는 심도 있는 분석을 하고 싶었지만 아직은 영화에 대해 배워야할 부분이 많은 것 같다.
좋아하는 영화에 대해 분석을 하는 것은 분명 어렵지만 의미있는 일이다. 내가 선택한 <나비효과>라는 영화에 대해서도 처음 영화를 보았을 때와는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었고, 더욱 애착이 갈 것 같다. 힘은 들었지만 나름대로 의미있는 경험을 한 것 같아서 뿌듯하고, 마지막으로, 제출일이 갑자기 앞당겨져서 급하게 report를 쓰느라 미흡한 점이 많겠지만 교수님께서 넓은 마음으로 이해해주시길 바라면서 이 보고서를 맺고 싶다.
♤ 참고자료 ♤
영화개론 노트필기
씨네서울
www.butterflyeffect.co.kr 영화 <나비효과> 공식 사이트
www.naver.com www.empas.com www.yahoo.co.kr 등 검색엔진
엔키노, 무비스타, 씨네21, www.moviejoy.com 등 영화사이트
‘현재에 만족하며, 현재를 즐겨라(Carpe Diem)’
이것이 이 영화가 주는 메시지가 아닐까 생각한다.
(4) 상징성 - 일기장
중요한 정보일수록 설명적 표현을 일삼기보다는 두가지 의미를 지니는 사물을 등장시키는 것이 좋은 영화의 요건이라는 수업내용을 생각하며 이 영화에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 것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 영화 <나비효과>에서는 ‘일기장’이 영화에서 매우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차지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영화 <나비효과>에서 일기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과거의 솔직한 자신만의 기록들로 점철된 일기장은 많은 영화에서 다양한 의미로 활용된다. 영화 <1979년 10월 28일 일요일 맑음>에서처럼 하루를 마감하면서 영화를 끝맺는 방식의 하나도 활용될 수도 있고, 영화 <브리짓존스의 일기>처럼 영화 자체를 이끌어가는 매개가 될 수도 있으며, 영화 <여고괴담3>에서처럼 의문의 죽음을 유발하는 공포의 존재가 되기도 한다. 이 밖에도 추억을 되살리는 도구로 쓰이거나, 일기장을 통해 비밀이 밝혀진다거나, 사랑이 이루어지는 매개체로 활용될 수도 있는 등 영화 속에서 일기장의 의미는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영화 속 다양한 일기장 중에서도 영화 <나비효과>에서는 일기장은 두가지 의미를 가진다. 이는 주인공의 단기기억상실을 치료하기 위한 도구로써의 일기장과, 동시에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매개체로써의 일기장이라는 두가지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의미 중에서도 나는 특히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매개체로써의 일기장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시간여행을 하는 영화에서는 과거로 향하는 매개체가 되는 물건이 존재한다. 영화 <백투더퓨쳐(Back To the Future)>의 타임머신이 그렇고, 만화 <시간탐험대>에서는 돈데기리기리를 연발하는 주전자가 시간여행을 할 수 있는 매개로 작용한다. 이 영화에서 과거로 향하는 매개체가 되는 것은 바로 주인공의 ‘일기장’이다. 자신의 과거의 기록이 고스란히 적혀 있는 일기장은 다른 영화에서도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가지지만, 특별히 영화 <나비효과>에서는 주인공이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이는 영화 <해리포터와 비밀의 방>에서 역시 주인공 해리포터는 우연히 줍게 된 톰 리들의 일기장을 통해 과거속의 호그와트로 갈 수 있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5) 이미지 장면 분석
영화 <나비효과>는 내러티브 자체가 매우 매력적인 영화로 상대적으로 특수효과가 많은 편은 아니다. 기억에 남는 특수효과라고 해봐야 주인공이 일기장을 통해 과거로 돌아가는 장면과 새로운 현실에 들어설 때마다 지난 13년의 기억이 회색빛으로 흩어지고 새로운 13년동안의 삶이 빠르게 재구성되는 부분 정도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몇 안되는 장면들은 영화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차지한다. 조사한 바에 의하면 주인공 에반이 일기장을 통해 시공간 이동을 하는 장면에 나오는 특수효과는 헐리우드 최고의 시각효과 팀들에 의해 만들어졌고, 최고의 시각효과 팀이 만들어낸 최고의 장면은 주인공 에반이 일기를 읽으면서 시공간의 통로로 이동하는 장면이라고 한다. 영화를 다 보고난 뒤 그 장면들을 잘 생각해보니 일기장의 글씨가 한글자 한글자 흔들리면서 화면이 분산되는, 스크린의 픽셀 하나하나가 살아나면서 마치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듯한 기묘한 화면처리를 통해 시공간 이동을 효과적으로 표현한 것 같다. 이러한 새로운 시각효과는 마치 내가 주인공 에반과 함께 기억 속으로 빠져드는 느낌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DVD에 있는 제작노트를 보면 지나간 기억들은 채도를 낮추어 더욱 꿈처럼 보이게 했다는 제작자의 설명이 있다. 이같은 특수효과 때문에 영화가 더욱 빛을 발한게 아닌가 싶다.
수업시간에 배운 짧은 지식으로 장면 분석을 해보자면 영화의 속도조절에 대해 말하고 싶다. 여러 개의 사건들이 묶여 있는 상황에서 각 사건들은 느리게 시작한다. 그러다 급박해지고 다시 느려진다. 예를 들면, 처음 시작 장면, 그러니까 에반이 어떤 방에 몰래 들어가 책상 밑에 숨어 종이에 글을 쓰는 장면은 이 장면이 앞으로 전개될 장면들의 흐름을 보여준다. 처음 방안에서 투명 유리로 보이는 밖의 에반의 모습은 아주 느리다. 하지만 문이 열림과 동시에 상황은 긴박해진다. 동시에 소리도 매우 커진다. 이런 식의 속도 조절이 영화 내내 이어지는 데 이런 긴장의 반복이 인상적이었던 것 같다.
6. 맺음말
처음 Report를 쓰려고 자리에 앉아보니 어느 영화를 선택할지에 대해서도 한참동안 생각하게 되었다. 영화를 그저 보는 것에만 익숙했던 나였는데 분석을 하려니 여간 힘든게 아니었고, 오랜만에 보고서를 쓰려니 글귀도 잘 생각이 나지 않아서 새벽까지 보고서를 쓰면서 노트필기를 옆에 두고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을 바탕으로 서툴지만 열심히 분석을 시도해보았다. 생각 같아서는 심도 있는 분석을 하고 싶었지만 아직은 영화에 대해 배워야할 부분이 많은 것 같다.
좋아하는 영화에 대해 분석을 하는 것은 분명 어렵지만 의미있는 일이다. 내가 선택한 <나비효과>라는 영화에 대해서도 처음 영화를 보았을 때와는 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었고, 더욱 애착이 갈 것 같다. 힘은 들었지만 나름대로 의미있는 경험을 한 것 같아서 뿌듯하고, 마지막으로, 제출일이 갑자기 앞당겨져서 급하게 report를 쓰느라 미흡한 점이 많겠지만 교수님께서 넓은 마음으로 이해해주시길 바라면서 이 보고서를 맺고 싶다.
♤ 참고자료 ♤
영화개론 노트필기
씨네서울
www.butterflyeffect.co.kr 영화 <나비효과> 공식 사이트
www.naver.com www.empas.com www.yahoo.co.kr 등 검색엔진
엔키노, 무비스타, 씨네21, www.moviejoy.com 등 영화사이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