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수밖에 없으며 명수 어머니에게 심정적으로 이입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리얼리즘에 대한 애매한 태도는 가혹한 탄합 아래 저항 보다는 낭만주의로의 도피를 하게 만들었다. 실제 40년대 이후 유치진은 친일적 행보를 걸었다는 점에서 후대의 관객들에게 아쉬움을 남긴다.
대부분의 일제강점기를 다룬 한국 문학 작품들이 그렇듯이 토막을 관람하고 나서 나의 기분도 울적해지는 느낌이었다. 그런데 나중에 후기의 유치진이 친일적 행보를 걸었다는 사실을 읽고 나서는 내가 극에서 받은 감정이 훼손되는 느낌이었다. 친일파가 본 일제치하의 고통스러운 민중의 삶이라는 것이 아이러니하게 느껴졌으며 과연 진실된 작품일까 하는 의문이 들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성희 (1987), 단국대학교, 유치진의 초기리어리즘 희곡에 대하여
대부분의 일제강점기를 다룬 한국 문학 작품들이 그렇듯이 토막을 관람하고 나서 나의 기분도 울적해지는 느낌이었다. 그런데 나중에 후기의 유치진이 친일적 행보를 걸었다는 사실을 읽고 나서는 내가 극에서 받은 감정이 훼손되는 느낌이었다. 친일파가 본 일제치하의 고통스러운 민중의 삶이라는 것이 아이러니하게 느껴졌으며 과연 진실된 작품일까 하는 의문이 들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성희 (1987), 단국대학교, 유치진의 초기리어리즘 희곡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