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960년대 이전의 연극사의 문제점
2. 1960년대 마당극의 등장과 그 이후
3. 마당극의 정의
4. 마당극양식의 작품 내적인 분석
5. 마당극양식의 핵심 원리
6. 마당극의 의의와 한계
☞ 아줌마 만세 - 극단 ‘우금치’ 공동창작
2. 1960년대 마당극의 등장과 그 이후
3. 마당극의 정의
4. 마당극양식의 작품 내적인 분석
5. 마당극양식의 핵심 원리
6. 마당극의 의의와 한계
☞ 아줌마 만세 - 극단 ‘우금치’ 공동창작
본문내용
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농민의 현실이 어렵지만 앞으로 이를 헤쳐 나갈 수 있다는 낙관적 미래를 마지막에 얘기함으로써 농민집단의 자발적 의지를 내세우고 공동체의 염원과 합의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그리고 동시에 농촌여성문제에 대해서도 비춰지고 있다.
Ⅲ. 작품분석
이 작품은 농촌문제를 해부하여 보여주면서 우리사회가 어떠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그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고통을 겪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주인공은 농민들이며 가난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한국의 농민계층을 대표하는 집단인 동시에 농촌의 현실을 알면서도 농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조금은 현실적이지 못한 사람들이다. 그들의 그러한 면들은 방언의 사용과 비속어를 엮어가면서 하는 재담으로 인해 더욱 웃음을 자아내고 어리숙해 보이도록 만든다. 동시에 농민들이 우리들과 그렇게 다르지 않은 삶을 살고 있다는 공감대가 더욱 잘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그들은 농촌 공동체를 지향하면서 농촌을 지키고자 하는 한국 사회에서 꼭 필요한 구성원들이다. 그들의 해학은 우리들로 하여금 절망감에 빠뜨리지 않는 동시에 춘식부와 춘식의 비애를 순화시키고 있다. 농촌문제에 대한 문제제기인 동시에 결말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맺음으로써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농촌 공동체에 대한 낙관적 미래를 보여줌으로써 공동체의 합의(농민대회)를 공고히 하고 문제해결의 의지를 더욱 다지게 하는 장치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마당극양식의 원리와 특성 - 이영미 지음
세계화 시대/해체와 연극 - 이미원 지음
전통과 실험의 연극문화-굿 놀이 그리고 축제문화 - 이상일
Ⅲ. 작품분석
이 작품은 농촌문제를 해부하여 보여주면서 우리사회가 어떠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그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고통을 겪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주인공은 농민들이며 가난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한국의 농민계층을 대표하는 집단인 동시에 농촌의 현실을 알면서도 농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조금은 현실적이지 못한 사람들이다. 그들의 그러한 면들은 방언의 사용과 비속어를 엮어가면서 하는 재담으로 인해 더욱 웃음을 자아내고 어리숙해 보이도록 만든다. 동시에 농민들이 우리들과 그렇게 다르지 않은 삶을 살고 있다는 공감대가 더욱 잘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그들은 농촌 공동체를 지향하면서 농촌을 지키고자 하는 한국 사회에서 꼭 필요한 구성원들이다. 그들의 해학은 우리들로 하여금 절망감에 빠뜨리지 않는 동시에 춘식부와 춘식의 비애를 순화시키고 있다. 농촌문제에 대한 문제제기인 동시에 결말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맺음으로써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농촌 공동체에 대한 낙관적 미래를 보여줌으로써 공동체의 합의(농민대회)를 공고히 하고 문제해결의 의지를 더욱 다지게 하는 장치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마당극양식의 원리와 특성 - 이영미 지음
세계화 시대/해체와 연극 - 이미원 지음
전통과 실험의 연극문화-굿 놀이 그리고 축제문화 - 이상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