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어조였습니다. 불량배가 고개를 돌렸으나 기억이 안 나는 모양으로 어리둥절한 표정이었습니다.
\"나, 모르겠나? 완전히 잊어버린 모양이구나.\"
\"뭐야! 당신은?\"
하면서도 열심히 기억을 더듬는 표정이었습니다.
\"지금 어디 사는가? 난 다음에 내려야 하는데 어디까지 가나?\"
\"얼마 안 남았어...\"
\"야, 이거 모처럼인데 우리 다음에 내려서 그 후 이야기 좀 해보자. 다 잘 있나?\"
\".....\"
\"자, 내리자. 아 참 아가씨 미안.\"
하며 아가씨에게 안 보이도록 한쪽 눈을 질끈 감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자, 빨리 내려. 문 닫히겠다.\"
거의 등을 밀다시피 밖으로 나갔습니다. 그 행동이 조금 전의 윙크보다 더 멋졌습니다. 사람들이 한시름 놓고 마음이 진정되었을 무렵, 그러니까 문이 닫히기 직전,
\"앗, 저기 보따리.... 미안..\"
하면서 지하철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왔습니다.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고 속도를 더합니다.
\"야, 다음에 보자아!\"
역에 남겨진 남자는 처음 \"야!\" 하고 불릴 때부터 그 순간까지 당한 것을 아직도 눈치재치 못한 듯했습니다.
4학년1학기 도덕 교과서에 나온 예제문이다. 초등학교에서는 공리주의에 대해 직접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예시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지하철에 타고 있던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한 사람이 나서는 모습은 ‘최대다수 최대행복’이라는 공리주의 원칙과 부합된다. 원칙 그대로를 아이들에게 설명하려고 하면 이해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흥미를 갖지도 못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렇게 예시문을 통해 아이들 스스로 깨닫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5. 마치면서..
공리주의에 대해서 굉장히 재미있게 수업을 들었다. 평소 내 생각과도 어느 정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었고, 더 자세히 알고픈 마음도 있었는데 마침 과제로 공리주의에 관해서 레포트을 쓰게 돼서 많이 반가웠다.
평소 도덕이란 우리 생활과 많이 동떨어져 있는 대단한 사람들만 공부하는 것인 줄 알았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도덕과목이 우리 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도 모두 도덕의 원칙에 해당되는 것이라는 사실이 신기하게 느껴졌다. 그리고 앞으로 선생님이 되어서 자칫 딱딱할 수도 있는 이런 도덕이론들을 실생활의 예를 통해 설명한다면 우리 아이들에게도 도덕적 원칙과 이론을 이해시킬 수 있을 것이란 자신감도 생겼다.
\"나, 모르겠나? 완전히 잊어버린 모양이구나.\"
\"뭐야! 당신은?\"
하면서도 열심히 기억을 더듬는 표정이었습니다.
\"지금 어디 사는가? 난 다음에 내려야 하는데 어디까지 가나?\"
\"얼마 안 남았어...\"
\"야, 이거 모처럼인데 우리 다음에 내려서 그 후 이야기 좀 해보자. 다 잘 있나?\"
\".....\"
\"자, 내리자. 아 참 아가씨 미안.\"
하며 아가씨에게 안 보이도록 한쪽 눈을 질끈 감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자, 빨리 내려. 문 닫히겠다.\"
거의 등을 밀다시피 밖으로 나갔습니다. 그 행동이 조금 전의 윙크보다 더 멋졌습니다. 사람들이 한시름 놓고 마음이 진정되었을 무렵, 그러니까 문이 닫히기 직전,
\"앗, 저기 보따리.... 미안..\"
하면서 지하철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왔습니다.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고 속도를 더합니다.
\"야, 다음에 보자아!\"
역에 남겨진 남자는 처음 \"야!\" 하고 불릴 때부터 그 순간까지 당한 것을 아직도 눈치재치 못한 듯했습니다.
4학년1학기 도덕 교과서에 나온 예제문이다. 초등학교에서는 공리주의에 대해 직접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예시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지하철에 타고 있던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한 사람이 나서는 모습은 ‘최대다수 최대행복’이라는 공리주의 원칙과 부합된다. 원칙 그대로를 아이들에게 설명하려고 하면 이해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흥미를 갖지도 못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렇게 예시문을 통해 아이들 스스로 깨닫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5. 마치면서..
공리주의에 대해서 굉장히 재미있게 수업을 들었다. 평소 내 생각과도 어느 정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었고, 더 자세히 알고픈 마음도 있었는데 마침 과제로 공리주의에 관해서 레포트을 쓰게 돼서 많이 반가웠다.
평소 도덕이란 우리 생활과 많이 동떨어져 있는 대단한 사람들만 공부하는 것인 줄 알았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도덕과목이 우리 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도 모두 도덕의 원칙에 해당되는 것이라는 사실이 신기하게 느껴졌다. 그리고 앞으로 선생님이 되어서 자칫 딱딱할 수도 있는 이런 도덕이론들을 실생활의 예를 통해 설명한다면 우리 아이들에게도 도덕적 원칙과 이론을 이해시킬 수 있을 것이란 자신감도 생겼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