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논문] 이슬람교 - 역사 이해 기독교와의 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논문] 이슬람교 - 역사 이해 기독교와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 이슬람교의 역사와 특징
2. 생명에 대한 이해
3. 인간에 대한 이해
4. 탄생에 대한 이해
5. 성장에 대한 이해
6. 결혼에 대한 이해
7. 고난에 대한 이해
8. 죽음에 대한 이해
9.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닮은 점과 다른 점

나오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최후 심판, 부활, 후세의 천국과 지옥을 다 같이 믿
는 공통 신조를 증명해 주는 것이다.
⑦ 두 종교가 각자의 개인 신심을 강조하며, 기도, 단식, 자선, 성서낭독 등을 권장하고 서로 이
웃을 돕고 살며 억눌린 자와 빈자, 과부, 고아, 무숙자들을 돕는 운동에 앞장서고 있다.
⑧ 두 종교가 모두 그들의 창시자의 이상과 가르침을 따르려고 노력하고 있다. 크리스천은 예수
의 모범을 따르려고 노력하고 모슬렘은 코란의 가르침을 따르려고 힘을 다하고 있지만 모두 인
간성의 부족을 느끼고 실패한 다음 재기하려고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박양운. 그리스도교와 이슬람교. 가톨릭출판사 1999. p.258
(2) 다른 점
① 기독교와 이슬람은 아브라함의 신앙을 따르는 것이 분명하지만, 아브라함의 가족이 두 아들의 불화로 둘로 갈라지고 말았다. 유대교와 기독교는 이삭의 가족에서 내려왔고 마침내 예수와 이어졌다. 이슬람은 이스마엘의 전통과 예언을 따르는 가족에 속하고 있다.
② 두 종교가 인간의 본성을 보는 견해가 다르다. 기독교의 교리는 약간 부정적으로서 인간은 타락한 피조물에 속하며 원죄를 가지고 이 지상에 태어난다고 가르치고 있다. 따라서 그리스도의 중개 없이는 스스로 재기하지 못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반면 이슬람의 인간성은 보다 적극적으로서 원죄를 부인하고 인간이 자기 힘으로 코란의 원리를 따라 구원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③ 인간 본성관의 차이로 메시아(구세주)이신 그리스도를 보는 관점이 달라져 두 종교의 사이는 크게 벌어지게 되었다. 기독교의 핵심 신조가 그리스도의 신성에 있고 그의 강생. 십자가의 죽음. 부활. 삼위일체를 기본 신조로 삼고 있는 데 반하여, 이슬람은 예수를 예언자로는 인정하지만 그의 신성을 강력히 반대하고 삼위일체의 교리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이것이 두 종교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④ 역사적으로 기독교는 초기 3백 년간은 가혹한 박해를 로마 제국으로부터 받았으나 서기 312년에 로마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가 기독교에 귀의함으로써 박해는 끝나고 기독교는 크게 번성하게 되었다. 그때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그의 수도를 콘스탄티노플로 옮기고 로마와 그 인근의 영토를 로마 교황에게 헌납하였다. 그래서 기독교는 본의 아니게 종교와 나라의 정치를 잠시나마 같이하게 되었다. 본래 그리스도의 가르침은 종교와 정치는 다른 것이었다. 따라서 교정일치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이 아니었다. 오늘날 기독교는 교정 분리의 원칙을 고수하고 있는 반면에 이슬람은 마호메트의 모범을 따라 교정 일치의 정책을 실천하고 있는데 이것이 양 종교의 큰 차이점이다.
⑤ 이슬람에서 신 구약 성서를 쓰여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이슬람 종교에 필요한 만큼 부분적으로 발췌해서 이용하는 것이 양 종교를 서로 갈라놓는 요인이 된 것이다. 가령 예수 수난의 기록이 4복음에 길게 또한 자세하게 소개되고 있는데 그를 일방적으로 부인하고 또 해석을 달리하기 때문에 양 종교의 사이가 멀어지게 되었다.
⑥ 근본적인 차이는 이슬람에선 인간이 단지 알라에게 묶인 노예에 불과하다. 기독교인들이 주님을 사랑하고 찬양하고 인격적인 교제를 나누는 것과는 전혀 상반된다. 알라는 주인이고 인간은 노예일 뿐이다. 또 이슬람은 다른 사람의 희생을 통하여 보상받는 것을 거절한다. 각자가 자신의 구원에 책임이 있으며 아무도 남을 위해서 희생할 수 없다. 그러므로 모든 인간은 본인의 구원을 위해서 일해야 한다. 오직 좋은 일을 하는 것만이 심판 날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두 명의 천사 가운데 하나는 선행을, 하나는 악행을 기록하며 마지막 날에 그 내용을 저울에 달아서 잰다. 그리고 나쁜 일보다 좋은 일을 많이 했으면 구원을 받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좋은 일을 많이 했다 할지라도 구원은 알라에게만 달려 있다. 유해석. 이슬람이 다가오고 있다. 쿰란 출판사 2003. p.137~139
나오는 말
이슬람교는 강력한 선교적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종교와 세속에 걸쳐 합치가 이루어진 완전한 세계관과 생활양식을 제공하므로 종교라기보다는 인간의 전 삶을 에워싸는 삶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슬람교는 인간이 알라의 피조물이며 가장 존귀한 형태의 피조물이라고 한다. 동시에 알라가 부과한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대리인 곧 칼리파로서 최대의 목적은 모든 공동체와 인류를 알라에게로 향하도록 길을 안내하는 것인데 이는 온 세상을 통치하는 것을 말한다.
인간은 주님이요 창조자요 우주의 주관자인 알라에게 절대적인 복종을 해야 하며 이렇게 할 때 육신의 진정한 평안을 얻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복종의 삶은 마음의 평안을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사회의 참 평안을 이룩한다고 믿는다.
인간은 순수한 상태, 즉 이슬람의 상태에서 태어나며, 흙으로 만들어져서 알라의 영이 불어 넣어졌기 때문에 선하게 창조되었으되 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본질상 약하고 유혹받기 쉬울 뿐이다. 따라서 원죄의 개념이 없으며 구원자도 필요치 않으며 대속의 죽음도 필요치 않다.
이슬람교의 구원은 기도, 자선 등의 선행과 계명을 지키는 것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그들에겐 오직 알라에게 복종하고 알라의 뜻인 온 세상을 통치하는 일에 전념한다.
단순한 고백과 완전한 세계관 그리고 완전한 생활양식을 제공하는 이슬람교의 노예가 되어 예수그리스도와는 무관하게 세상 통치의 수단과 도구로 이용되는 일에 열심이다.
참고문헌
최영길. 「이슬람의 이해」 신지평 1999
권삼윤. 「자존심의 문명 이슬람의 힘」 동아일보사 2001
공일주. 「중동의 기독교와 이슬람」 예영커뮤니케이션 2002
유해석. 「이슬람이 다가오고 있다」 쿰란 출판사 2003
김정위. 「이슬람 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993
이희수. 「이슬람 문화」 살림 2004
가토 히로시. 「이슬람, 그들은 누구인가」 고도 2001
박양운. 「그리스도교와 이슬람교」 가톨릭출판사 1999
정수일. 「이슬람 문명」 창작과 비평사 2002
공일주. 「아브라함의 종교」 살림 2004
쉐이크 하에리. 「이슬람교 입문」 김영사 1999
최영길. 「이슬람 문화」 알림 1999
논문
박범룡. 「이슬람교의 인간론」 고신대학 신학대학원 1992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2.04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8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