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이론과 사역의 실제 - 제자와 경건생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배이론과 사역의 실제 - 제자와 경건생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제자의 정의
1. 어원적 의미
2.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
3. 성경에 나타난 제자의 의미

Ⅲ. 사복음서 저자들의 제자의 의미
1. 마태가 말하는 제자의 의미
2. 마가가 말하는 제자의 의미
3. 누가가 말하는 제자의 의미
4. 요한이 말하는 제자의 의미

Ⅳ. 제자훈련
1. 제자훈련의 정의
2. 제자훈련의 목적
3. 구약성경의 제자훈련
4. 신약성경의 제자훈련

Ⅴ. 경건한 생활개념과 원리
1. 경건의 개념
2. 경건한 삶의 개념
3. 경건한 삶의 동기
4. 경건한 삶의 원리
5. 자기부인의 방편

Ⅵ. 경건의 시간과 훈련
1. 경건의 시간의 정의
2. 경건의 시간을 가진 성경의 인물들
3. 경건의 시간을 위한 준비
4. 경건의 시간을 갖는 과정및 방법
5. 경건의 시간과 기도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야기를 끝내지 않는다. 다시 구체적으로 나에게 명령이나 부탁도 하시고, 위로와 격려와 약속을 주시기도 하시고, 경고나 책망도 하시며, 본받을 것과 본받아서는 안 될 것을 잘 가르치시기도 한다.
④ 묵상한 내용을 기록하기 : 그날 주신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한 후에 깨달은 것을 노트에 적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된다. 우선 듣고 깨닫는 것을 적다보면 그것이 구체적이 되고 정리가 되어서 마음속에 간직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4) 적용
Q.T를 하면서 가장 위험한 것은 본문에서 하나님께서 어떤 분이신지를 잘 찾고 오늘 나에게 주는 성경적 교훈이 무엇인지를 잘 깨달을지라도 그 깨달음이 단순한 지식으로 끝나는 것이다. 말씀을 들었다면 적용이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적용은 어떻게 하는가? 대략 세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① 개인적이어야 한다.
제일 먼저 적용의 대상은 나 자신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하나님은 각 사람에게 해당되는 말씀을 1차적으로 그 사람에게 하신다. 그러므로 말씀을 묵상하고 적용할 때 먼저 스스로를 그 말씀에 비추도록 노력해야 한다.
② 구체적이어야 한다.
본문의 말씀을 적용할 때는 뜬 구름 잡듯이 두루뭉술하면 안 된다. 그러다 보면 실천하기가 애매하게 되고 그냥 적용점을 넘어가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적용을 할 때는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적용점을 찾아서 실천해야할 것이다.
③ 실행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너무 장기적이고 실행할 수 없는 큰 것을 적용점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 오늘내에 작은 것이라도 내가 실천할 수 있고 인격화할 수 있는 적용점을 찾아 한 가지라도 제대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5. 경건시간과 기도
경건의 시간에서 하나님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또 하나의 수단은 기도입니다. Francis M. Cosgrove, Jr. ESSENTIALS OF DISCIPLESHIP, 조성동 역「제자의 삶」(서울: 네비게이토출
판사, 2009), 97.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하나님께로 직접 나아갈 수 있도록 해주셨지만, 기도는 값을 치러야 하는데 제자가 아닌 사람들은 그 값을 치르기를 꺼려합니다. 기도를 통해 하나님과 대화하는 일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지금까지 모든 경건한 그리스도인의 전기를 살펴보면, 하나님을 위해 가치 있는 일을 해낸 이들은 예외 없이 하나님 앞에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데 많은 시간을 드린 기도의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리고 기도는 값을 치르는 일이었습니다. Ibid,. 98.
그 값의 열매는 너무도 귀중하고 값진 보화입니다.
Ⅶ. 결론
오늘 교회의 문제가 교육을 통해 지식전달은 하나 훈련을 통해서 성도의 삶을 변화시키고
성숙한 사역자가 되게 하는 일을 등한히 하는데서 생겨지는 것이다. 한번에 많은 영혼을 구원하려고 하기 전에 한 사람의 제자를 만드는데 눈을 돌려야 할 것이다. 주님의 제자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은 제자로서의 합당한 삶이 병행되어야 한다. 명목상의 제자가 아니라 실제적인 제자의 모습이 필요한 것이다. 부르심을 받은 제자들은 거룩한 사명을 부여 받았다. 이 거룩하고 엄숙한 사명 앞에 그리스도인들은 믿음으로 응답하며 삶 가운데 ‘빛과 소금’으로서 살아가야 할 것이다. 인간적인 열심과 프로그램이 아니라 ‘성령의 강권적 은혜’와 ‘철저한 성경적인 원리’에 입각한 훈련이 필요한 것이다. 제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훈련으로 세워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올바른 제자 상과 함께 제자로서의 성숙한 삶을 위한 경건시간과 훈련을 살펴보았다. 모든 것에는 값을 치러야 한다. 자기부인도 필요하다. 제자는 주님을 따르는 자들이다. 한국교회에 주님을 따르는 참된 제자들이 많이 일어나 새로운 영적 부흥의 역사가 일어나길 소망해 본다. 그리고 나 또한 그 제자가 되길 바란다.
* 참고문헌
국내도서
신용철, 신기철. 「새우리말 큰 사전」 서울: 삼성출판사, 1975.
송인규.「나의 주 나의 하나님」 서울: 한국기독교학생회출판부, 1984.
이희승 편저. 「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관, 1977.
윤종하.「묵상의 시간」 서울: 성서유니온, 1983.
옥한흠. 「평신도를 깨운다」 서울: 두란노 서원, 1984.
정인찬 편. 「성서대백과」 서울: 기독 지혜사, 1981.
하용조. 「비전성경사전」 서울: 두란노, 2006.
번역서
Coleman, R. E. 「주님의 전도계획」, 홍성철 역. 서울: 생명말씀사, 1988.
Calvin, John.「기독교강요」, 원광연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4.
Francis M. Cosgrove, Jr. ESSENTIALS OF DISCIPLESHIP, 조성동 역.「제자의 삶」 서울: 네비게
이토출판사, 2009.
Stott, John. 「현대교회와 평신도 훈련」, 김기영 역. 서울: 엠마오, 1987.
Vine, W. E. 「원어연구해설」, Vol. 4. 서울: 벧엘성서간행사, 1986.
Wagner, C. Peter. 「기독교 선교전략」, 전호진 역. 서울: 생명말씀사, 1987.
Wilkins, Michael J. Wilkins, Following The Master, 이억부 역, 「제자도」서울: 도서출판 은성,
1995.
Williams Derek. New Concise Bible Dictionary, 이정석외 역, 「IVP 성경사전」 서울: 한국기독학
생출판부 2005.
간행물
김정우. “성경의 경건과 성경적 경건” 「신학지남」 2005 가을.
논문
김영춘. “건강한 교회를 위한 제자훈련의 이론과 실제”. 석사학위 논문, 침례신학대학원, 2006.
김용호. “한국 내 선교단체의 제자훈련 현황과 그 발전적 제안”. 석사학위논문, Luther Rice
Seminary, 1981.
염현경. “교회성장을 위한 제자훈련의 원리와 실제”. 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원, 1989.
유철훈. “교회성장과 제자훈련”. 석사학위논문,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05.
이윤석. “그리스도인의 경건한 삶의 원리와 모형에 대한 고찰”. 목회학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원,
2008.
장기원. “성경적인 제자훈련의 원리와 그 적용에 관한 연구”. 신학석사학위논문, 합동신학대학원대학
교,2005.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2.04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