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른 학년에서는 평화 통일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4학년은 국가 안보를 다뤄 자칫 아이들에게 북한을 통일해야 하는 우리 민족이 아닌 적으로 비춰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 안보를 다른 차시의 서희 이야기나 정보 지킴이, 안중근 의사 역할놀이 등의 활동을 통해서 충분히 학습할 수 있다고 보고, 2차시의 간첩신고와 두 유학생의 전쟁에 대한 엇갈린 반응의 사례를 빼고, 보다 색다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국가 안보의 종류를 생각해 보게 되었다. 그러던 중 번뜩하고 생각 난 것이 식량 위기이다. 이것은 국가 안보를 위협할 수 있는 식량의 무기화와 관련이 있고 또한 식량 안보와도 관련이 있다. 예전 최윤영의 W를 통해 본 국제 식량 위기에 대한 방영분을 시청하면서 경악을 금치 못했다. 식량이 무기로 사용되어 버릴 수 있는 세상, 파란 빛 아름다운 바다를 가지고 있는 아이티라는 나라에서 팔리고 있는 진흙쿠키, 필리핀의 농업을 버린 대가 등. 이 모든 것은 다른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나라도 미래에 농업과 농부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어떠한 가격으로도 충분한 식량을 살 수 없을 것이라는 그 무시무시한 공포. 배고픔의 공포는 이루 말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 식량 위기를 아이들에게 꼭 가르쳐 주고 싶다고 생각했다. 그러던 와중에 이 도덕과 2차 과제는 나의 관점과 관심을 반영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다양화, 세계화된 현재, 안보의식이라는 것이 꼭 국방과 관련된 의식이라기보다는 나라의 존폐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들을 지키는 것이 곧 안보의식이 되지 않을까 생각했다. 그래서 식량의 무기화는 곧 국가의 안보를 위협하는 요소로 보고 식량 안보를 대안 사례로 선정하였다. 현 사회 실태를 반영한다는 점, 간첩신고나 전쟁에 참전하는 확률보다 식량을 지키기 위한 여러 방안을 실천하는 확률이 훨씬 높다는 점이 대표적인 선정 이유이다. 그러나 간첩신고와 전쟁의 참전이라는 내용을 식량 안보라는 생소한 테마로 바꿔도 되나, 이것이 과연 동급의 문제인가 하는 것은 한계로 남아있다. 어쩌면 이 식량 안보와 관련된 문제는 대안 사례라기보다는 하나의 프로젝트 수업으로 재량시간에 별도로 이루어져야 할 문제일지도 모른다. 4학년 아이들에게 자칫 식량 안보의 내용이 어렵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앞 차시에서 세계화에 반응하여 정보를 해킹당하지 않게 하는 것도 국가 안보라는 것을 학습하기 때문에 2차시에서 식량 안보의 내용도 크게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을 했다. 모형은 문제 해결 학습 모형으로 선정했는데 이것은 직접 교수 모형보다 학습자의 참여를 높이고, 자율성을 보장한다. 또한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 또한 이번 차시에서 실생활과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이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이상으로 부족하지만 교과서 내용을 재구성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서 즐거웠다. 앞으로도 끊임없이 교과서를 분석하는 시간을 내도록 해야겠다. 교사는 전문직이기도, 연구직이기도 하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공부해야겠다고 나 자신과 약속해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5학년 1학기 5. 서로 존중하는 태도
재량활동(교육과정) 인성교육과 통일교육 사례, 재량활동(교육과정) 성교육과 에너지교육 사...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교육과정 변천,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생활습관교육, 초...
NIE(신문활용교육)활용수업활동(교육활동) 사례, ICT(정보통신기술)활용수업활동(교육활동) ...
국어과와 영어과 웹기반교육 수업자료(교수자료), 과학과 웹기반교육 수업자료(교수자료), 컴...
수학과 통계영역, 국어과 멀티미디어 수업자료(교수자료), 과학과 빛과그림자영역, 체육과 민...
사회과와 과학과 ICT활용교육자료(학습자료), 수학과와 도덕과 ICT활용교육자료(학습자료), ...
놀이활동(놀이학습) 초등어휘력교육(학습), 초등교육(학습), 놀이활동(놀이학습) 독서교육(학...
협동학습 - 초등 도덕과 교육 - 이론적 기초 의의 학습구조와 모형 협동학습 실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