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복지센터의 현황과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 복지센터의 현황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 광주 청소년 쉼터

- 광주광역시 청소년 폭력 예방 재단

- 광주 청소년 문화의 집

결론

본문내용

청소년을 시설의 주인으로 보지 않고, 일개의 봉사자로만 생각한다는 것이다. 시설은 이 부분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주었으면 좋겠다.
래미학교 (대안학교)는 문화예술과정1·2, 지구여행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화예술과정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에너지를 회복하고, 공부하기 위한 건강한 몸과 마음을 만들고, 자신을 알고 바로 세워 타인과 어울리는 관계의 힘을 키운다. 활동으로는 연극, 춤, 음악 드로잉, 미술 등 문화예술을 체험하고, 여러 가지 체험활동과 여행을 한다. 또한 일반학교를 다니는 친구들과 다양한 교류를 진행한다. 지구여행 과정은 장기 순례를 통해 순례자로서의 인생을 경험하며 순례의 실제적인 의미와 공유 경제에 대해 배운다. 여행에 필요한 철학, 언어, 역사 같은 세상에 대한 이해, 표현력을 기르고 책임 있는 지구시민으로서 살아가는 길을 모색한다. 이 학교를 보면서 한국의 ‘썸머 힐’이 아닐까 하고 생각했다. 청소년의 길을 찾고, 그들의 능력을 최고로 키워주는 프로그램이었다. 이름 또한 문화의 집에서 지은 것이 아니라 대안학교를 다닌 청소년들이 이곳이 좋아서 자신의 미래와 같다고 하여 ‘래미학교’라고 지은 것을 보고 정말 아이들과 함께 크는 학교라고 생각하였다. 지금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은 주입식 교육이라고 한다면 이곳은 생각하는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래미학교는 서열이 없고 모든 것이 평범하고 소통이 말 뿐이 아니라 음악, 미술, 춤 등 여러 가지 표현 방법이 있다는 것을 청소년들이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자신이 하는 활동이 왜 해야 하는지 배우고 그들이 깨달을 수 있는 프로그램 이다. 그리고 그들이 공부를 배우지 않는다고 하는데 실제 이곳의 대안학교는 공부는 하되 생각을 하면서 청소년이 직접 답을 찾아가는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실제로 보면 다른 학교보다 많은 양을 공부하지만 직접 배움을 느끼는 수업이다.
결론
복지 기관들을 보면서 ‘내가 보려고만 했던 기관들의 모습이 많았구나.’라고 반성을 많이 하게 되었다. 이 자료를 조사하기 전에 그저 복지 기관이면 프로그램이 다른 기관과 프로그램의 차이가 없을 줄 알았는데 독자적인 프로그램을 만드는 모습을 보고 감동을 받았다. 아직 발달 단계에 있는 프로그램이 있어서 허점은 많았지만, 청소년을 위한 복지 기관들의 노력들이 보였다. 또한 복지 기관들이 오직 자기 기관 감싸기가 아니라 함께 성장하는 기관의 모습들이 앞으로의 더욱더 밝은 복지 기관의 소망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2.04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