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여 높은 벼슬길도 나아가 행복하게 산다. 그러다가 결국 홍건적의 난에 의해 최랑이 목숨을 잃게 되고 죽은 최랑이 찾아와 최랑이 다시 이생을 찾아와 그 둘은 또 다시 행복한 삶을 산다. 또한 최랑은 다시 저승으로 떠나게 되지만 결국 이생도 그 뒤를 따라가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구조로 살펴보면 이생규장전은 시련과 위기를 극복하면서도 결국 행복을 맞이한 해피엔딩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그들의 사랑은 비극적인 사랑이다. 시련과 위기를 극복하고 맞이한 행복한 사랑은 다시 또 다른 시련과 위기를 경험해야 했고 끝내 이승의 현실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 결말이 되어 버린 것이다.
<참고 문헌>
정병욱, 한국 고전의 재인식, 기린원
이상택, 한국고전소설연구, 새문사, 1983
조동천, 금오신화 연구, 인하대학교, 1986
김갑진, 금오신화 연구, 한남대학교, 1986
백남오, 금오신화 연구, 경남대학교, 1987
전화선, 금오신화의 분석과 해석, 부산대학교, 1990
석진란, 금오신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1990
신규선, 금오신화연구, 강원대학교, 1992
이미경, 이생규장전의 분석적 고찰, 청주대학교 1994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그들의 사랑은 비극적인 사랑이다. 시련과 위기를 극복하고 맞이한 행복한 사랑은 다시 또 다른 시련과 위기를 경험해야 했고 끝내 이승의 현실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 결말이 되어 버린 것이다.
<참고 문헌>
정병욱, 한국 고전의 재인식, 기린원
이상택, 한국고전소설연구, 새문사, 1983
조동천, 금오신화 연구, 인하대학교, 1986
김갑진, 금오신화 연구, 한남대학교, 1986
백남오, 금오신화 연구, 경남대학교, 1987
전화선, 금오신화의 분석과 해석, 부산대학교, 1990
석진란, 금오신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1990
신규선, 금오신화연구, 강원대학교, 1992
이미경, 이생규장전의 분석적 고찰, 청주대학교 199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