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n을 하고 돌아와 침상에서 안정을 취할 시 side rail을 올림. 또는 보호자에게 올려달라고 부탁.
3. 천천히 조심해서 일어나는 모습 보임.
4. 식사를 다 마치도록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며, 잘 먹고 쉬니까 힘이 조금 나는 것 같다고 말함.
5. 넘어질 염려가 줄어드는 것 같다고 말함.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대상자는 낙상위험이 있음을 인식하여 side rail을 올리고, 충분한 휴식과 식사를 하려고 노력하며 천천히 조심하는 등의 낙상 예방 행동을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통증 호소와 기력저하 호소 없이 ambulation을 수행하였다.
Problem #. 3: 식욕저하, 통증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영양부족위험
General Goal(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충분한 영양섭취를 통해 영양부족위험을 줄인다.
Predicted Behavioral Outcome Object(s):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에 제공되는 식사를 80%이상 섭취했다고 말할 것이다.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에 충분한 영양섭취의 중요성을 알고 이를 위해 노력할 것이다.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에 식욕이 50%이상 나아졌다고 말할 것이다.
Nursing Strategies(간호중재)
Patient Responses(간호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1. 대상자의 식욕정도와 원인요소를 사정.
2. 충분한 영양섭취가 회복에 도움이 됨을 교육하여 동기부여시킴.
3. 식사할 때 abdominal binder로 수술부위를 지지하여 앉아서 천천히 먹도록 하고 보호자에게 곁에서 격려하도록 교육.
4. 식사 시간에 밝고 즐거운 분위기 조성.
1. 수술 후 아파서 식욕이 떨어졌으며, 지난 이틀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아서 밥 생각이 더 없다고 말함.
2. 잘 먹고 빨리 나았으면 좋겠다고 말함.
3. 혼자 식사하는 것보다 남편이 곁에서 식사를 충분히 하도록 격려해주니 좀 더 충분한 식사를 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함.
4. 축 처지는 모습 없이 적극적으로 식사함.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대상자는 제공되는 식사를 90%이상 섭취했다고 말했다.
대상자는 충분한 영양섭취의 중요성을 알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는 식욕이 크게 좋아지지는 않았으나 30%정도 나아졌다고 말했다.
Problem #. 4: 통증,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General Goal(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불안정도가 낮아질 것이다.
Predicted Behavioral Outcome Object(s):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에 불안정도가 1점 이하로 줄어들 것이다.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에 수술 후 관리에 대해 알고 수행할 것이다.
Nursing Strategies(간호중재)
Patient Responses(간호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1. 대상자의 불안정도와 원인요소를 사정.
2. 복강경 담낭절제술 후 어깨통증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통증이 심할 경우 호출하도록 교육.
3. 수술 후 당분간은 지방이 많은 음식은 피하고, 금주와 금연을 실천하고, 변이 묽게 나올 수 있음을 설명
4. 충분한 영양섭취, ambulation이 회복에 도움이 됨을 설명하고 격려함.
5. 복부를 지지한 상태로 심호흡과 효율적인 기침하는 법을 시범보이며 따라하도록 격려.
6. 정서적지지(대상자와 좋은 인간관계를 수립하고 의료팀이나 보호자가 대상자 곁에 있어준다.)
1. 0~10점 중 5점정도의 불안이 있다고 말하였고, 가끔 수술부위 통증과 어깨통증이 나타날 때, 수술 후 조심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몰라서 불안하다고 함.
2. 이상이 없다는 것을 알고 안심이 된다고 함.
3. 설명을 주의 깊게 들음.
4. 식사를 적극적으로 하려고 노력하며, 하루 5-6번 정도 ambulation 지속적으로 수행함.
5. 적극적으로 밝은 표정으로 시범에 따라 수행함.
6. 동산병원 간호사들이 모두 친절하게 잘 대해줘서 마음이 편하고 좋다고 말함.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대상자는 불안정도가 5점에서 1점으로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대상자는 심호흡과 기침을 틈틈이 실천하고, 적극적으로 식사와 ambulation을 수행하였다.
Problem #. 5: 불안, 비효율적인 수면양상과 관련된 피로
General Goal(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충분한 수면을 통해 피로감이 줄어든다.
Predicted Behavioral Outcome Object(s):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 낮잠을 되도록 자지 않고, 다음 날 아침에 밤 동안 깨지 않고 6시간 이상 충분히 잤다고 말할 것이다.
대상자는 간호한 다음 날 어제보다 피로감이 덜하다고 말할 것이다.
Nursing Strategies(간호중재)
Patient Responses(간호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1. 대상자의 피로정도와 원인요소를 사정
2. 낮 동안 회복을 위한 활동을 하도록 격려함
3.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함.
4. 자기 전 통증이 심할 경우 간호사에게 알려 약을 먹고 자도록 교육.
5. 정서적 지지 (대상자의 말을 충분히 들어주고, 보호자에게 대상자 곁에 있도록 함.)
6. 잠들기 전 심호흡을 하고 평안한 생각을 하는 등 이완요법을 통해 쉽게 잠 들 수 있도록 교육
1. 마음이 편하지 않아서 밤, 낮 구분 없이 자주 자다 깨다를 반복해서 계속 피곤하고 힘이 없다고 말함.
2. 낮 동안 가만히 누워있기보다 ambulation을 하는 등 활동을 하려고 노력함.
3. 조용한 환경에 있으니 긴장이 덜하다고 말함.
4. 아파서 깨지 않고 잘 잤다고 말함.
5. 마음이 훨씬 편해진다고 함.
6. 비교적 빨리 잠들 수 있었다고 함.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대상자는 낮 동안 회복을 위한 활동을 하였고, 밤에 한 번 깼지만 7시간정도 잘 잤다고 말하였다.
대상자는 어제보다 잠을 푹 자서 덜 피곤하다고 말하였다.
3. 천천히 조심해서 일어나는 모습 보임.
4. 식사를 다 마치도록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며, 잘 먹고 쉬니까 힘이 조금 나는 것 같다고 말함.
5. 넘어질 염려가 줄어드는 것 같다고 말함.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대상자는 낙상위험이 있음을 인식하여 side rail을 올리고, 충분한 휴식과 식사를 하려고 노력하며 천천히 조심하는 등의 낙상 예방 행동을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통증 호소와 기력저하 호소 없이 ambulation을 수행하였다.
Problem #. 3: 식욕저하, 통증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영양부족위험
General Goal(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충분한 영양섭취를 통해 영양부족위험을 줄인다.
Predicted Behavioral Outcome Object(s):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에 제공되는 식사를 80%이상 섭취했다고 말할 것이다.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에 충분한 영양섭취의 중요성을 알고 이를 위해 노력할 것이다.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에 식욕이 50%이상 나아졌다고 말할 것이다.
Nursing Strategies(간호중재)
Patient Responses(간호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1. 대상자의 식욕정도와 원인요소를 사정.
2. 충분한 영양섭취가 회복에 도움이 됨을 교육하여 동기부여시킴.
3. 식사할 때 abdominal binder로 수술부위를 지지하여 앉아서 천천히 먹도록 하고 보호자에게 곁에서 격려하도록 교육.
4. 식사 시간에 밝고 즐거운 분위기 조성.
1. 수술 후 아파서 식욕이 떨어졌으며, 지난 이틀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아서 밥 생각이 더 없다고 말함.
2. 잘 먹고 빨리 나았으면 좋겠다고 말함.
3. 혼자 식사하는 것보다 남편이 곁에서 식사를 충분히 하도록 격려해주니 좀 더 충분한 식사를 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함.
4. 축 처지는 모습 없이 적극적으로 식사함.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대상자는 제공되는 식사를 90%이상 섭취했다고 말했다.
대상자는 충분한 영양섭취의 중요성을 알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는 식욕이 크게 좋아지지는 않았으나 30%정도 나아졌다고 말했다.
Problem #. 4: 통증,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General Goal(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불안정도가 낮아질 것이다.
Predicted Behavioral Outcome Object(s):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에 불안정도가 1점 이하로 줄어들 것이다.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에 수술 후 관리에 대해 알고 수행할 것이다.
Nursing Strategies(간호중재)
Patient Responses(간호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1. 대상자의 불안정도와 원인요소를 사정.
2. 복강경 담낭절제술 후 어깨통증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하고, 통증이 심할 경우 호출하도록 교육.
3. 수술 후 당분간은 지방이 많은 음식은 피하고, 금주와 금연을 실천하고, 변이 묽게 나올 수 있음을 설명
4. 충분한 영양섭취, ambulation이 회복에 도움이 됨을 설명하고 격려함.
5. 복부를 지지한 상태로 심호흡과 효율적인 기침하는 법을 시범보이며 따라하도록 격려.
6. 정서적지지(대상자와 좋은 인간관계를 수립하고 의료팀이나 보호자가 대상자 곁에 있어준다.)
1. 0~10점 중 5점정도의 불안이 있다고 말하였고, 가끔 수술부위 통증과 어깨통증이 나타날 때, 수술 후 조심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몰라서 불안하다고 함.
2. 이상이 없다는 것을 알고 안심이 된다고 함.
3. 설명을 주의 깊게 들음.
4. 식사를 적극적으로 하려고 노력하며, 하루 5-6번 정도 ambulation 지속적으로 수행함.
5. 적극적으로 밝은 표정으로 시범에 따라 수행함.
6. 동산병원 간호사들이 모두 친절하게 잘 대해줘서 마음이 편하고 좋다고 말함.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대상자는 불안정도가 5점에서 1점으로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대상자는 심호흡과 기침을 틈틈이 실천하고, 적극적으로 식사와 ambulation을 수행하였다.
Problem #. 5: 불안, 비효율적인 수면양상과 관련된 피로
General Goal(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충분한 수면을 통해 피로감이 줄어든다.
Predicted Behavioral Outcome Object(s):
대상자는 간호하는 날 낮잠을 되도록 자지 않고, 다음 날 아침에 밤 동안 깨지 않고 6시간 이상 충분히 잤다고 말할 것이다.
대상자는 간호한 다음 날 어제보다 피로감이 덜하다고 말할 것이다.
Nursing Strategies(간호중재)
Patient Responses(간호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1. 대상자의 피로정도와 원인요소를 사정
2. 낮 동안 회복을 위한 활동을 하도록 격려함
3.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함.
4. 자기 전 통증이 심할 경우 간호사에게 알려 약을 먹고 자도록 교육.
5. 정서적 지지 (대상자의 말을 충분히 들어주고, 보호자에게 대상자 곁에 있도록 함.)
6. 잠들기 전 심호흡을 하고 평안한 생각을 하는 등 이완요법을 통해 쉽게 잠 들 수 있도록 교육
1. 마음이 편하지 않아서 밤, 낮 구분 없이 자주 자다 깨다를 반복해서 계속 피곤하고 힘이 없다고 말함.
2. 낮 동안 가만히 누워있기보다 ambulation을 하는 등 활동을 하려고 노력함.
3. 조용한 환경에 있으니 긴장이 덜하다고 말함.
4. 아파서 깨지 않고 잘 잤다고 말함.
5. 마음이 훨씬 편해진다고 함.
6. 비교적 빨리 잠들 수 있었다고 함.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대상자는 낮 동안 회복을 위한 활동을 하였고, 밤에 한 번 깼지만 7시간정도 잘 잤다고 말하였다.
대상자는 어제보다 잠을 푹 자서 덜 피곤하다고 말하였다.
추천자료
복강경담낭절제술 문헌고찰 및 case study
수술실 실습 복강경 담낭 절제술 Laparoscopic Cholecystectomy(LC)
10A acute cholecytitis -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폐질환][간세포암][갑상선암][뇌출혈]폐질환 케이스스터디(CaseStudy), 간세...
Gallbladder stone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담석증 복강경 담낭 절제술 (GB stone gall...
Gallbladder cancer (담낭암) 대상자에 관한 사례연구보고서
Cholecystectomy (담낭절제술 케이스 스터디, 담낭절제술 CASE STUDY, 담낭절제술 간호과정, ...
수술실 CASE STUDY :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복강경 담낭절제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