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 질병에 관한 기술
colitis(대장염)
Ⅲ. 간호과정
- 간호사정
- 간호력, 신체검진, 검사, 치료 및 경과, 투약
- 간호과정의 적용
Ⅳ. 결론
- 참고문헌
- 실습후기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 질병에 관한 기술
colitis(대장염)
Ⅲ. 간호과정
- 간호사정
- 간호력, 신체검진, 검사, 치료 및 경과, 투약
- 간호과정의 적용
Ⅳ. 결론
- 참고문헌
- 실습후기
본문내용
] oral hydration teaching
04:08
[응급간호] sow가능하나 abd pain으로 NPO 중임
anti tx하며 support care중임
10dnk 40cc/hr 주입중임.
08:07
[응급간호] abd pain 지속적으로 호소함
notify to 내과 000,
buscopan I anp iv was done.
11:32
[응급간호] abd pain(+)
notify to 내과 000
★ 간호과정 II
간호사정
Assessment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1. “자꾸 설사를 해요. 오늘만 벌써 4번째에요.”
2. “열도 있는거 같아요.”
3. “이상하게 피부가 건조하고 목이 자꾸 말라요.”
1. 물을 계속 먹고 있는데도 갈증호소
2. 이틀 동안 체중이 2kg 감소. (53->51.2kg)
3. 피부 건조로 갈라지는 모습 보임.
4. v/s : BP-100/60/T-37.6℃/P-120회/min/R-29회/min)
800
600
1400
1500
2100
2530
5. I/O :
6. 설사 횟수 : 하루 4번 이상.
간호진단
Diagnosis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간호목표
Goal
☆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v/s 정상수치(BP: 120/80, T: 36~36.9℃, P: 60회~ 100회)로 측정된다.
2. 대상자는 7일 이내에 몸무게 2kg이 다시 찐다.
3. 대상자는 이틀 이내에 갈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4.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피부건조를 호소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Plan
1. 1)주기적으로 v/s을 측정한다.
2)수분 섭취와 배설량을 측정한다.
2. 주기적으로 체중을 측정한다.
3.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4. 1)피부상태를 관찰한다.
2)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격려한다.
간호수행
Intervention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1)주기적으로 v/s을 측정했다. (3시간 마다)
2)수분 섭취와 배설량을 측정했다. (하루에 수분섭취량과 소변이나 설사를 볼 때 마다 양을 측정하도록.)
2. 주기적으로 체중을 측정했다. (하루 두 번)
3. 구강간호를 시행했다.
4. 1)피부상태를 관찰했다.
2)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격려했다.
5. 탈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1. v/s는 대상자의 가장 기본적인 상태 변화 이므로. 체액 부족의 가장 주원인은 수분과 관련된 것이므로. 총 체액량을 유지하고 손실로 인한 체액 부족 증상을 빨리 관찰하여 더 심한 체액부족을 예방하기 위함.
2. 1kg의 체중 감소는 약 1L의 수분 소실과 관련되므로.
3. 입안의 청결을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본적인 간호이므로.
4. 체액의 부족으로 피부와 점막이 건조해지고 탄력성이 떨어지므로.
5. 수분 부족으로 인해 탈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해야함.
간호결과
Avaluation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v/s 정상수치(혈압 125/90, 체온 : 36.7도, 맥박 89회)로 측정된다.
2. 대상자는 7일 이내에 몸무게 2kg이 다시 찐다.(51.2->53kg)
3. 대상자는 이틀 이내에 갈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4.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피부건조를 호소하지 않는다.
간호사정
Assessment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1. “자꾸 설사를 하는데 갈수록 화장실 가는 횟수가 늘어나요:
2. “항문주위가 따가워요”
1.항문 주위의 redness
2.입원 전 부터 계속되는 설사(묽은 변)
3.설사 횟수 : 7-8회/1일
4.설사 양상 : greenish/소량/ 묽게
5.. v/s : BP-100/60/T-37.6℃/P-120회/min/R-29회/min)
간호진단
Diagnosis
설사와 관련된 피부손상
간호목표
Goal
피부손상이 점진적으로 치유된다.
간호계획
Plan
1. 대상자의 통증 부위, 양상을 사정한다.
2. 대상자에게 피부 위생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3. 처방에 따라 연고를 바른다.
4.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모니터한다.
5. 대상자의 시트를 교환한다.
간호수행
Intervention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2. 피부 병변을 만지거나 긁지 않도록 한다.
3. 멸균식염수로 상처를 세척한다,
4. 피부를 깨끗하게 해준다.
5. 피부를 건조시킨다.
6. 항문주위 피부간호를 실시한다.
7.연고(zinc oil)을 발라준다.
8.30도 이상 머리를 올리지 않도록 한다.
9.시트를 교환해준다.
1. 지속적인 사정과 관찰은 간호 후의 결과를 평가하는 근거가 되며 피부 손상의 악화를 막는다.
8. 반좌위를 취했을 때 체중이 발치 쪽으로 쏠려 통증이 심해지고 천골 부위의 피부는 움직이지 않으면서도 침요와 피부사이의 마찰에 의해서 혈관이나 조직이 손상을 입는다.
간호결과
Avaluation
1. 대상자의 항문주위 피부의 redness가 사라졌다,
2.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항문주위 통증이 통증척도 3점 이하로 감소되었다.
Ⅳ. 결론
1. 참고문헌
1) 조경숙, 김희경 외 8명, 『성인간호학 I』, 현문사, 2013.
2) Donita D'Amico, Colleen Barbarito, 『건강사정』, 수문사, 2011.
3) 서울속편한내과 http://lifegood88.blog.me/150190215035
4)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2. 실습후기
<느낀점>
101병동은 소화기내과라서 약물로 치료하는 환자들이 대부분이라 시술이나 수술이 거의 없어서 케이스 진단 내리는게 좀 많이 까다로웠다. 수선생님께서 케이스 할 환자를 골라주셨는데도 진단을 정하는데 며칠이 걸렸다. 101병동에서는 ABGA 검사 등록하는 것과 같은 심부름도 많이 하고 하면서 새로 배운 것들이 많다. 마지막 00대 실습이라서 그런지 끝날 때 조금 아쉽기도 하고 그랬다.
3. 결론
이 대상자는 복통 호소하여 입원 했는데 입원 중 설사호소, 갈증호소, 체중감소, 열이 있다고 호소하여 수분섭취 권장, 주기적으로 v/s과 체중 측정, 구강간호를 시행, 피부상태 관찰, 피부 건조해지지 않도록 격려함으로써 더 이상 위와 같은 증상을 호소하지 않아 퇴원했다.
04:08
[응급간호] sow가능하나 abd pain으로 NPO 중임
anti tx하며 support care중임
10dnk 40cc/hr 주입중임.
08:07
[응급간호] abd pain 지속적으로 호소함
notify to 내과 000,
buscopan I anp iv was done.
11:32
[응급간호] abd pain(+)
notify to 내과 000
★ 간호과정 II
간호사정
Assessment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1. “자꾸 설사를 해요. 오늘만 벌써 4번째에요.”
2. “열도 있는거 같아요.”
3. “이상하게 피부가 건조하고 목이 자꾸 말라요.”
1. 물을 계속 먹고 있는데도 갈증호소
2. 이틀 동안 체중이 2kg 감소. (53->51.2kg)
3. 피부 건조로 갈라지는 모습 보임.
4. v/s : BP-100/60/T-37.6℃/P-120회/min/R-29회/min)
800
600
1400
1500
2100
2530
5. I/O :
6. 설사 횟수 : 하루 4번 이상.
간호진단
Diagnosis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간호목표
Goal
☆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v/s 정상수치(BP: 120/80, T: 36~36.9℃, P: 60회~ 100회)로 측정된다.
2. 대상자는 7일 이내에 몸무게 2kg이 다시 찐다.
3. 대상자는 이틀 이내에 갈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4.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피부건조를 호소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Plan
1. 1)주기적으로 v/s을 측정한다.
2)수분 섭취와 배설량을 측정한다.
2. 주기적으로 체중을 측정한다.
3.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4. 1)피부상태를 관찰한다.
2)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격려한다.
간호수행
Intervention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1)주기적으로 v/s을 측정했다. (3시간 마다)
2)수분 섭취와 배설량을 측정했다. (하루에 수분섭취량과 소변이나 설사를 볼 때 마다 양을 측정하도록.)
2. 주기적으로 체중을 측정했다. (하루 두 번)
3. 구강간호를 시행했다.
4. 1)피부상태를 관찰했다.
2)피부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격려했다.
5. 탈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1. v/s는 대상자의 가장 기본적인 상태 변화 이므로. 체액 부족의 가장 주원인은 수분과 관련된 것이므로. 총 체액량을 유지하고 손실로 인한 체액 부족 증상을 빨리 관찰하여 더 심한 체액부족을 예방하기 위함.
2. 1kg의 체중 감소는 약 1L의 수분 소실과 관련되므로.
3. 입안의 청결을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기본적인 간호이므로.
4. 체액의 부족으로 피부와 점막이 건조해지고 탄력성이 떨어지므로.
5. 수분 부족으로 인해 탈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해야함.
간호결과
Avaluation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v/s 정상수치(혈압 125/90, 체온 : 36.7도, 맥박 89회)로 측정된다.
2. 대상자는 7일 이내에 몸무게 2kg이 다시 찐다.(51.2->53kg)
3. 대상자는 이틀 이내에 갈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4.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피부건조를 호소하지 않는다.
간호사정
Assessment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1. “자꾸 설사를 하는데 갈수록 화장실 가는 횟수가 늘어나요:
2. “항문주위가 따가워요”
1.항문 주위의 redness
2.입원 전 부터 계속되는 설사(묽은 변)
3.설사 횟수 : 7-8회/1일
4.설사 양상 : greenish/소량/ 묽게
5.. v/s : BP-100/60/T-37.6℃/P-120회/min/R-29회/min)
간호진단
Diagnosis
설사와 관련된 피부손상
간호목표
Goal
피부손상이 점진적으로 치유된다.
간호계획
Plan
1. 대상자의 통증 부위, 양상을 사정한다.
2. 대상자에게 피부 위생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3. 처방에 따라 연고를 바른다.
4.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모니터한다.
5. 대상자의 시트를 교환한다.
간호수행
Intervention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2. 피부 병변을 만지거나 긁지 않도록 한다.
3. 멸균식염수로 상처를 세척한다,
4. 피부를 깨끗하게 해준다.
5. 피부를 건조시킨다.
6. 항문주위 피부간호를 실시한다.
7.연고(zinc oil)을 발라준다.
8.30도 이상 머리를 올리지 않도록 한다.
9.시트를 교환해준다.
1. 지속적인 사정과 관찰은 간호 후의 결과를 평가하는 근거가 되며 피부 손상의 악화를 막는다.
8. 반좌위를 취했을 때 체중이 발치 쪽으로 쏠려 통증이 심해지고 천골 부위의 피부는 움직이지 않으면서도 침요와 피부사이의 마찰에 의해서 혈관이나 조직이 손상을 입는다.
간호결과
Avaluation
1. 대상자의 항문주위 피부의 redness가 사라졌다,
2.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항문주위 통증이 통증척도 3점 이하로 감소되었다.
Ⅳ. 결론
1. 참고문헌
1) 조경숙, 김희경 외 8명, 『성인간호학 I』, 현문사, 2013.
2) Donita D'Amico, Colleen Barbarito, 『건강사정』, 수문사, 2011.
3) 서울속편한내과 http://lifegood88.blog.me/150190215035
4)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2. 실습후기
<느낀점>
101병동은 소화기내과라서 약물로 치료하는 환자들이 대부분이라 시술이나 수술이 거의 없어서 케이스 진단 내리는게 좀 많이 까다로웠다. 수선생님께서 케이스 할 환자를 골라주셨는데도 진단을 정하는데 며칠이 걸렸다. 101병동에서는 ABGA 검사 등록하는 것과 같은 심부름도 많이 하고 하면서 새로 배운 것들이 많다. 마지막 00대 실습이라서 그런지 끝날 때 조금 아쉽기도 하고 그랬다.
3. 결론
이 대상자는 복통 호소하여 입원 했는데 입원 중 설사호소, 갈증호소, 체중감소, 열이 있다고 호소하여 수분섭취 권장, 주기적으로 v/s과 체중 측정, 구강간호를 시행, 피부상태 관찰, 피부 건조해지지 않도록 격려함으로써 더 이상 위와 같은 증상을 호소하지 않아 퇴원했다.
추천자료
간호관리학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Ulcerative Colitis][궤양성대장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간호과정
[간호과정] 폐렴케이스 Pneumonia case study - 폐렴케이스스터디 폐렴사례관리 폐렴간호과정...
복막염, penperitonitis, 복막염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복막염 수술 후 관리,...
폐렴 케이스
폐렴 케이스스터디
폐렴 Pneumonia 케이스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급성신부전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급성신부전 CASE STUDY 급...
방광암 케이스 (방광암 방광암 케이스 방광암 간호과정 방광암 case study 방광암 사례관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