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내 삽관(Intubation)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관내 삽관(Intubatio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나 그로 인한 피부손상을 유발하는 분비물 제거
⑦ 환자가 구강삽관이면 bite lock이나 구강 인공기도를 제거한다.
환자가 E-T tube를 깨물고 공기의 흐름이 막히는 것을 막음
☞ Bite block은 tuberk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tube와 따로 정해야 함
⑧ toothettes와 구강세척제로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환자의 치아를 닦는다.
좋은 구강위생은 부비동염(sinusitis)이나 중이염(otitis media)의 발생위험을 낮춤
⑨ 구강내 tube를 반대편으로 옮긴다. bite block이나 구강인두 인공기도를 E-T tube를 따라서 삽입한다.
입술, 혀 , 구강내에 압력을 최소화하고 예방
⑩ 최소 leak volume과 최소 occlusion volume을 사용하여 적절한 cuff팽창을 확인한다.
흡인의 위험을 감소시킴, 위보다 폐로 가는 공기의 흐름을 확인
⑪ Tube의 위치를 재확인하고 치아와 코에서 tube의 위치를 기록한다.
치아에 닿는 tube의 위치는 보통 여성의 경우 21cm, 남성의 경우 23cm
⑫ E-T tube의 위치를 확인한다.
부주의하게 tube가 빠지는 것을 막음
☞ 특별제작된 tube holder, twill tape, adhesive tape를 포함하여 E-T tube를 안전하게 고정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음
4) 절차
기대되는 결과
기대되지 않는 결과
① 개방된 기도
② 잘 고정된 E-T tube
③ 분비물조절
④ 건강한 구강점막과 비강점막
① 빠진 E-T tube
② 막힌 E-T tube
③ cuff누출(leak)
④ 입, 입술, 또는 콧구멍의 욕창
① 환자와 가족에게 E-T tube간호의 목적을 포함하여 절차를 설명
② 가능하다면 E-T tube간호를 보조하기 위한 환자의 역할을 설명
환자의 협조를 구함으로써 tube care를 쉽게 함
③ 환자에게 E-T tube를 가진 동안에 말을 할 수 없으나 다른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을 설명
환자와 가족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킴
④ 우발적인 tube의 이탈을 예방하기 위해 때로 환자의 손을 못 움직이게 억제해야함을 설명
환자와 가족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킴
5) 환자 및 가족교육
① 환자와 가족교육
③ 분비물의 양, 형태, 색깔
⑤ ET tube의 위치 재고정
⑦ 구강간호
⑨ Cuff 누출(leak)의 유무
⑪ ET tube의 위치표시
② 환자의 흡인에 대한 내성(tolerance)
④ 비강배액의 유무
⑥ ET tube의 retaping
⑧ 입술, 구강, 혀의 상태
⑩ Cuff 부풀리는데 사용한 공기의 양
⑫ ET tube가 삽입된 콧구멍
6) 기록
9. 기관삽관의 합병증 ① 국소손상
원인
- 너무 험한 조작으로 입술, 잇몸, 혀, 인두, 성대, 기관 등에 상처
- 앞윗니를 버팀으로 사용하면 치아가 빠질 수 있다
예방
- 조심스럽게 밀어넣으면서 충분한 시야를 확보
- 후두경을 지렛대로 사용하지 말 것
② 부정맥
원인 : 산소부족, 또는 높은 탄산혈증때의 미주신경 또는 교감신경의 과다자극
③ 위내용물의 기관내 흡인
원인 : 구토 또는 위내용물의 수동적 역류에 의한 기관내 흡인
예방
- 마스크만의 장시간 환기를 피한다(위 팽만 위험이 있다)
- 삽관중에는 복부를 압박하여 위내압을 상승시키는 일이 없게 한다
- 재빠르게 삽관한다 : 깨어있는 환자는 구토를 유발
④ 식도내 삽관
원인 : 성대로 가는 시야가 불충분하여 잘못 식도에 집어넣었을 때
예방 : 성대를 정확히 보면서 삽관할 것
⑤ 기관지 삽관
원인 : 기관내 삽관을 너무 깊게 하여 우측 주기관지에 넣었을 때
예방
- 커프가 성대 바로밑에 있을 만큼 삽입
- 튜브를 단단히 제위치에 고정. 테이프를 튜브끝에 고정시키지 말고 입에서 나온 자리에 고정
⑥ 다른 합병증은 삽관기술 자체보다 기관내 튜브 자체에 기인. 중요한 것 가운데 성문부종, 기관연화증, 기관협착 등
참고문헌
전시자 외. (2005).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김근숙 외. 2005. 중환자간호. 군자출판사
이순행 외. 2004. 중환자간호매뉴얼. 군자출판사
서문자 외. 2004. 성인간호학 상 Ⅰ. 수문사
너스케이프 http://www.nurscape.net/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tutu486?Redirect=Log&logNo=80027510673
E- learning http://infor.hc.ac.kr:8090/
구글 http://www.google.co.kr/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2.23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2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