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년 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 북한이 연평도에 포탄을 퍼붓기 시작했다. 우리 군이 13분 뒤 K-9 자주포로 대응 포격을 했지만 170여 발의 포탄이 연평도 곳곳에 떨어져 해병대원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이 전사하고 민간인 2명이 사망했다. 6·25전쟁 이후 처음으로 남한 땅을 겨냥한 북의 포격도발이었다. 지금도 연평도 곳곳에는 불타버린 민가를 비롯해 그날의 상처가 남아 있다.
김정일이 사망하고 아들 김정은이 권력을 승계했지만 북한의 도발 야욕은 변함이 없다. 김정은은 8월 연평도에서 불과 8km 떨어진 장재도 포진지를 찾아 “우리 지역에 단 한 발의 포탄이 떨어져도 지체 없이 섬멸적인 반(反)타격을 가하라”고 북한군에 지시했다. 김정은은 연평도 포격전에 참여했던 무도 기지도 방문했다. 올해 5∼8월 서해안의 초도에서 실시한 상륙훈련, 공격헬기 50여 대 최전방 배치, 황해남도 용연군 고암포에 들어선 공기부양정 기지는 북한의 기습도발 징후를 보여준다.
북한은 연평도 포격 8개월 전인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앞바다에 잠수정을 침투시켜 해군 초계함 천안함을 공격했다. 군은 해군 전사자 46명의 혼령 앞에 “적이 대한민국의 풀 한 포기, 물 한 방울이라도 건드리면 백배 천배 응징하겠다”고 다짐했지만 연평도 기습공격에 강력히 대응하지 못했다. 내일로 다가온 연평도 2주기는 북이 도발할 경우 철저히 응징하겠다는 각오를 다지는 계기가 돼야 한다.
북한은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무력화하기 위해 도발을 멈추지 않고 있다. 백령도와 연평도는 우리에게는 서해를 지키는 불침(不沈)의 전함과 같지만 북한에는 옆구리를 파고들어 온 비수다.
북한 어린이돕기 ‘수북한 밥상’ 운영자원한 @@@씨
“2008년 처음 평양에 갔을 때 몸집이 유난히 작은 북한 아이들이 눈에 띄었어요. 그때부터 어떻게 하면 그들을 도울 수 있을까 고민했죠.”
대북지원 시민단체 ‘어린이어깨동무’의 활동가인 김정혜(32·사진)씨는 지난 22일부터 북한 어린이를 돕기 위해 새로운 사업을 시작했다.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하자센터)가 1층 카페를 시민단체들에 요일별로 위탁운영을 맡기자, 그가 수요일마다 카페 운영을 자원한 것이다.
김씨는 ‘수북한 밥상’(수요일에는 북녘 어린이 한명과 밥상을 나눠요) 포스터를 카페 앞에 붙이고, 매주 수요일마다 이곳에서 카페 겸 식당을 연다. 그 수익금으로 북한 어린이 한명에게 한끼 식사를 지원하자는 뜻이다.
그는 식단을 짜면서도 취지를 살리려고 노력했다. “저녁 메뉴로 개성공단에서 사온 말린 고사리와 도라지, 버섯 등으로 북한산 나물비빔밥을 만들고, 꿀차에 들어갈 꿀도 북한에서 사왔어요.”
김씨는 성공회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어린이어깨동무에서 5년간 활동가로 일했다. 어깨동무는 평양에 어린이병원과 두유공장 건립 비용을 지원하는 등 활발한 대북지원 사업을 벌여왔다.
수북한 밥상의 식사류는 4000~4500원이고, 북한산 나물비빔밥 외에 단체주문이 가능한 양은 도시락과 일본식 라멘 등이 있다.
글 윤형중 기자 hjyoon@hani.co.kr,
사진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연평도 관련 뉴스 동영상(1분 26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5&aid=0000193785 (북 포격에 민간인 2명 사망)
이제 만나러 갑니다 동영상(3분 15초)
http://blog.naver.com/ichannela?Redirect=Log&logNo=140166184624&jumpingVid=84ECB883CDD26E223DB565572051454162FB (장마당에서 구걸하는 꽃제비 현실)
(2) 활동지 2(타인의 시선으로 바라보기_OPV)
문제(아이디어)
확인
북한과의 관계
관련되는
사람 찾기
두 가지
관점에서
생각하기
전쟁
경제적 지원
전쟁
경제적 지원
합리적인 해결안 선택하기
3. 3차시
(1) 그림 ‘통일부 공익광고’
(2) 시 ‘끊어진 철길’, 신경림
끊어진 철길 -철원에서
신경림
끊어진 철길이 동네 앞을 지나고
\'금강산 가는 길\'이라는 푯말이 붙은
민통선 안 양지리에 사는 농사꾼 이철웅씨는
틈틈이 남방한계선 근처까지 가서
나무에서 자연꿀 따는 것이 사는 재미다
사이다병이나 맥주병에 넣어 두었다가
네댓병 모이면 서울로 가지고 올라간다
그는 친지들에게 꿀을 나누어주며 말한다
\"이게 남쪽벌 북쪽벌 함께 만든 꿀일세
벌한테서 배우세 벌한테서 본뜨세\"
세밑 사흘 늦어 배달되는 신문을 보면서
농사꾼 이철웅씨는 남방한계선 근처 자연꿀따기는
올해부터는 그만두어야겠다 생각한다
\'금강산 가는 길\'이라는 푯말이 붙은 인근
버렸던 땅값 오르리라며 자식들 신바람 났지만
통일도 돈 가지고 하는 놀음인 것이 그는 슬프다
그에게서는 금강산 가는 철길뿐 아니라
서울 가는 버스길도 이제 끊겼다.
(3) 미니 100분 토론 설계서
토론 주제
토론 제목
모둠명 :
역할
분담
역 할
이 름
구체적 내용
모둠장
사회자
패널 1
패널 2
패널 3
패널 4
지원 1
지원 2
지원 3
* 패널의 경우, 직함을 포함해서 구체적 역할을 서술할 것
(4) 미니 100분 토론 방청 소감문
방청객 성명
방청 모둠
주 제
제 목
내 용
방청 소감
Ⅴ 마치며
주제 선정부터 수업 계획까지 어느 하나 쉬운 것이 없었던 과제였다. 외국인이 한국의 남북 관계라는 민감한 사안에 어떻게, 어디까지 접근하면 좋을지 고민이 많았다.
무엇보다도 가장 신경이 쓰였던 점은 지도안이나 수업 자료가 수업을 구성하는 사람의 성향이 반영되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학습자가 좀 더 객관적인 입장에서 좌파와 우파의 시각을 정확히 파악하고, 남북 관계의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고민하여 선택하는 과정을 경험하도록 하고 싶었다. 그러나 사실 우파의 입맛에 맞는 예술 작품을 찾기란 쉽지 않았다. 안보 의식을 일깨우는 영화보다는 코리아나 웰컴투 동막골, JSA 등과 같은 영화들처럼 끈끈한 민족애를 일깨우는 영화가 주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로 부족함이 많은 과제지만, 끝내고 보니 왠지 모를 뿌듯함까지 느껴진다.
김정일이 사망하고 아들 김정은이 권력을 승계했지만 북한의 도발 야욕은 변함이 없다. 김정은은 8월 연평도에서 불과 8km 떨어진 장재도 포진지를 찾아 “우리 지역에 단 한 발의 포탄이 떨어져도 지체 없이 섬멸적인 반(反)타격을 가하라”고 북한군에 지시했다. 김정은은 연평도 포격전에 참여했던 무도 기지도 방문했다. 올해 5∼8월 서해안의 초도에서 실시한 상륙훈련, 공격헬기 50여 대 최전방 배치, 황해남도 용연군 고암포에 들어선 공기부양정 기지는 북한의 기습도발 징후를 보여준다.
북한은 연평도 포격 8개월 전인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앞바다에 잠수정을 침투시켜 해군 초계함 천안함을 공격했다. 군은 해군 전사자 46명의 혼령 앞에 “적이 대한민국의 풀 한 포기, 물 한 방울이라도 건드리면 백배 천배 응징하겠다”고 다짐했지만 연평도 기습공격에 강력히 대응하지 못했다. 내일로 다가온 연평도 2주기는 북이 도발할 경우 철저히 응징하겠다는 각오를 다지는 계기가 돼야 한다.
북한은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무력화하기 위해 도발을 멈추지 않고 있다. 백령도와 연평도는 우리에게는 서해를 지키는 불침(不沈)의 전함과 같지만 북한에는 옆구리를 파고들어 온 비수다.
북한 어린이돕기 ‘수북한 밥상’ 운영자원한 @@@씨
“2008년 처음 평양에 갔을 때 몸집이 유난히 작은 북한 아이들이 눈에 띄었어요. 그때부터 어떻게 하면 그들을 도울 수 있을까 고민했죠.”
대북지원 시민단체 ‘어린이어깨동무’의 활동가인 김정혜(32·사진)씨는 지난 22일부터 북한 어린이를 돕기 위해 새로운 사업을 시작했다.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하자센터)가 1층 카페를 시민단체들에 요일별로 위탁운영을 맡기자, 그가 수요일마다 카페 운영을 자원한 것이다.
김씨는 ‘수북한 밥상’(수요일에는 북녘 어린이 한명과 밥상을 나눠요) 포스터를 카페 앞에 붙이고, 매주 수요일마다 이곳에서 카페 겸 식당을 연다. 그 수익금으로 북한 어린이 한명에게 한끼 식사를 지원하자는 뜻이다.
그는 식단을 짜면서도 취지를 살리려고 노력했다. “저녁 메뉴로 개성공단에서 사온 말린 고사리와 도라지, 버섯 등으로 북한산 나물비빔밥을 만들고, 꿀차에 들어갈 꿀도 북한에서 사왔어요.”
김씨는 성공회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어린이어깨동무에서 5년간 활동가로 일했다. 어깨동무는 평양에 어린이병원과 두유공장 건립 비용을 지원하는 등 활발한 대북지원 사업을 벌여왔다.
수북한 밥상의 식사류는 4000~4500원이고, 북한산 나물비빔밥 외에 단체주문이 가능한 양은 도시락과 일본식 라멘 등이 있다.
글 윤형중 기자 hjyoon@hani.co.kr,
사진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연평도 관련 뉴스 동영상(1분 26초)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5&aid=0000193785 (북 포격에 민간인 2명 사망)
이제 만나러 갑니다 동영상(3분 15초)
http://blog.naver.com/ichannela?Redirect=Log&logNo=140166184624&jumpingVid=84ECB883CDD26E223DB565572051454162FB (장마당에서 구걸하는 꽃제비 현실)
(2) 활동지 2(타인의 시선으로 바라보기_OPV)
문제(아이디어)
확인
북한과의 관계
관련되는
사람 찾기
두 가지
관점에서
생각하기
전쟁
경제적 지원
전쟁
경제적 지원
합리적인 해결안 선택하기
3. 3차시
(1) 그림 ‘통일부 공익광고’
(2) 시 ‘끊어진 철길’, 신경림
끊어진 철길 -철원에서
신경림
끊어진 철길이 동네 앞을 지나고
\'금강산 가는 길\'이라는 푯말이 붙은
민통선 안 양지리에 사는 농사꾼 이철웅씨는
틈틈이 남방한계선 근처까지 가서
나무에서 자연꿀 따는 것이 사는 재미다
사이다병이나 맥주병에 넣어 두었다가
네댓병 모이면 서울로 가지고 올라간다
그는 친지들에게 꿀을 나누어주며 말한다
\"이게 남쪽벌 북쪽벌 함께 만든 꿀일세
벌한테서 배우세 벌한테서 본뜨세\"
세밑 사흘 늦어 배달되는 신문을 보면서
농사꾼 이철웅씨는 남방한계선 근처 자연꿀따기는
올해부터는 그만두어야겠다 생각한다
\'금강산 가는 길\'이라는 푯말이 붙은 인근
버렸던 땅값 오르리라며 자식들 신바람 났지만
통일도 돈 가지고 하는 놀음인 것이 그는 슬프다
그에게서는 금강산 가는 철길뿐 아니라
서울 가는 버스길도 이제 끊겼다.
(3) 미니 100분 토론 설계서
토론 주제
토론 제목
모둠명 :
역할
분담
역 할
이 름
구체적 내용
모둠장
사회자
패널 1
패널 2
패널 3
패널 4
지원 1
지원 2
지원 3
* 패널의 경우, 직함을 포함해서 구체적 역할을 서술할 것
(4) 미니 100분 토론 방청 소감문
방청객 성명
방청 모둠
주 제
제 목
내 용
방청 소감
Ⅴ 마치며
주제 선정부터 수업 계획까지 어느 하나 쉬운 것이 없었던 과제였다. 외국인이 한국의 남북 관계라는 민감한 사안에 어떻게, 어디까지 접근하면 좋을지 고민이 많았다.
무엇보다도 가장 신경이 쓰였던 점은 지도안이나 수업 자료가 수업을 구성하는 사람의 성향이 반영되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학습자가 좀 더 객관적인 입장에서 좌파와 우파의 시각을 정확히 파악하고, 남북 관계의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고민하여 선택하는 과정을 경험하도록 하고 싶었다. 그러나 사실 우파의 입맛에 맞는 예술 작품을 찾기란 쉽지 않았다. 안보 의식을 일깨우는 영화보다는 코리아나 웰컴투 동막골, JSA 등과 같은 영화들처럼 끈끈한 민족애를 일깨우는 영화가 주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로 부족함이 많은 과제지만, 끝내고 보니 왠지 모를 뿌듯함까지 느껴진다.
키워드
추천자료
[통일교육]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방법, 학교통일교육의 실제, 통일교육의 문제점, 통...
[통일교육][통일][학교통일교육][남북통일][통일교육프로그램][안보교육][남북관계]통일교육...
흡연예방교육자료(학습자료), 합창교육자료(학습자료), 수개념형성교육자료(학습자료), 분수...
수학과 통계영역, 국어과 멀티미디어 수업자료(교수자료), 과학과 빛과그림자영역, 체육과 민...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의미, 학교통일교육의 현황, 학교통일교육의 교사 자세, 학교...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 교사자세][학교통일교육 제고방안]학교통일교육의 목표, 학교통...
[통일교육][통일교육 접근방법][통일교육 지도방법]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변천과정, ...
초등학교 사회 수업지도안 6학년 1학기 3. 대한민국의 발전
[교육학] 논쟁 문제 수업 모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