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지발달이론
I.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1. 감각운동기
2. 전조작기
3. 구체적 조작기
4. 형식적 조작기
II.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III. 정보처리이론
* 참고문헌
I.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1. 감각운동기
2. 전조작기
3. 구체적 조작기
4. 형식적 조작기
II.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III. 정보처리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용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고 봄으로써, 컴퓨터의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인간의 뇌와 신경계 및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에 해당하는 특정 문제해결을 위한 계획이나 책략을 구성요소로 삼고 있다(Flavell, 1971). 이러한 구성요소는 부호화(encoding), 저장(storage), 인출(retrieval)이라는 세 가지 기본 과정의 기초가 된다. 부호화는 정보가 필요할 때 기억해 낼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록하는 과정이고, 저장은 정보를 기억 속에 넣어두는 과정이며, 인출은 필요할 때 저장된 정보를 꺼내는 과정이다.
그림. 정보처리체계 모델
위의 그림은 정보처리체계의 모델을 보여 준다. 감각기관을 통해 외부환경으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게 되면 이 정보는 감각등록기(sensory register), 단기기억 또는 작업기억(short-term, or working memory), 장기기억(long-term memory)이라는 일련의 조직화된 처리단위를 거치게 된다. 먼저, 정보를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저장하는 감각기억은 감각정보가 인지체계에 처음 등록되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감각등록기라고도 한다. 시각기억의 경우 정보는 1초 이내, 청각기억의 경우 정보는 2초 정도까지 유지된다. 다음 단계는 매우 제한적인 용량을 가진 단기기억(작업기억)으로서, 감각기억에 등록된 정보 가운데 주의집중을 받은 일부 정보가 단기기억으로 전이된다. 즉, 여러 번 반복해서 외우거나 좀 더 친숙한 범주로 조직화하는 전략으로 조작을 받은 정보는 단기기억에 계속 유지되거나 장기기억으로 전이되지만, 그렇지 않은 정보는 새로 단기기억에 유입되는 다른 정보에 의해 치환된다. 이러한 단기기억(작업기억)의 복잡한 활동들은 중심집행기(central executive)에 의해 통제된다. 즉, 중심집행기는 체계에 이미 유입된 정보를 조정하고, 어떤 정보에 주의를 집중할 것인지, 연제 정보를 인출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문제해결, 이해, 탐색과 비교 등의 과정을 통제한다. 셋째, 장기기억은 용량이 거의 무한대로서, 단기기억의 정보 가운데 정신조작을 받은 정보가 전이되어 저장되고 이후에 다시 인출된다.
새로운 기출이 발달해 감에 따라 컴퓨터의 구조와 프로그램이 점점 복잡해지듯이 인간의 인지과정도 아동에서 성인으로 성장하는 동안 점점 더 복잡해진다. 예를 들면, 여덟 살 아동이 열 개의 단어를 외울 수 있을 때, 열네 살 아동은 스무 개의 단어를 외울 수 있다. 이것은 열네 살 아동의 뇌와 신경계가 여덟 살 아동에 비해 더 성숙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이것은 하드웨어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차이는 아동기에 갖지 못하는 기억 책략을 청년기에 와서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이것은 소프트웨어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애다(Kail, 1992; Santrock, 1981; 정옥분, 2004, P. 53 재인용).
정보처리이론에 따르면, 아동은 발달하면서 점진적으로 정보처리능력이 발달하는데, 이는 아동으로 하여금 점점 더 복잡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Chen & Siegler, 2000). 정보처리이론에서의 발달에 대한 연구는 아동이 어떻게 정보를 기억하고 조직하는지와 성인과 아동 간의 인지능력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들을 밝히는 데 관심을 둔다. 최근 정보처리이론의 관점에서 발달을 탐구하는 연구자들은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인정하면서 그 이론을 보다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그리하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달리 정보처리이론의 관점에서는 인간이 단계적 변화를 거쳐 발달한다는 것으로 설명하지 않고, 발달을 보다 더 연속적인 것으로 본다. 이러한 연구자들로는 정보처리용량을 중시하는 케이스(Case)나 파스쿠알 레온(Pascual-Leone) 등의 신피아제학파(neo-Piagetian)와 정보처리전략을 학습과정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지글러(Siegler)를 들 수 있다(신명희 외, 1998, P. 63).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그림. 정보처리체계 모델
위의 그림은 정보처리체계의 모델을 보여 준다. 감각기관을 통해 외부환경으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게 되면 이 정보는 감각등록기(sensory register), 단기기억 또는 작업기억(short-term, or working memory), 장기기억(long-term memory)이라는 일련의 조직화된 처리단위를 거치게 된다. 먼저, 정보를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저장하는 감각기억은 감각정보가 인지체계에 처음 등록되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감각등록기라고도 한다. 시각기억의 경우 정보는 1초 이내, 청각기억의 경우 정보는 2초 정도까지 유지된다. 다음 단계는 매우 제한적인 용량을 가진 단기기억(작업기억)으로서, 감각기억에 등록된 정보 가운데 주의집중을 받은 일부 정보가 단기기억으로 전이된다. 즉, 여러 번 반복해서 외우거나 좀 더 친숙한 범주로 조직화하는 전략으로 조작을 받은 정보는 단기기억에 계속 유지되거나 장기기억으로 전이되지만, 그렇지 않은 정보는 새로 단기기억에 유입되는 다른 정보에 의해 치환된다. 이러한 단기기억(작업기억)의 복잡한 활동들은 중심집행기(central executive)에 의해 통제된다. 즉, 중심집행기는 체계에 이미 유입된 정보를 조정하고, 어떤 정보에 주의를 집중할 것인지, 연제 정보를 인출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문제해결, 이해, 탐색과 비교 등의 과정을 통제한다. 셋째, 장기기억은 용량이 거의 무한대로서, 단기기억의 정보 가운데 정신조작을 받은 정보가 전이되어 저장되고 이후에 다시 인출된다.
새로운 기출이 발달해 감에 따라 컴퓨터의 구조와 프로그램이 점점 복잡해지듯이 인간의 인지과정도 아동에서 성인으로 성장하는 동안 점점 더 복잡해진다. 예를 들면, 여덟 살 아동이 열 개의 단어를 외울 수 있을 때, 열네 살 아동은 스무 개의 단어를 외울 수 있다. 이것은 열네 살 아동의 뇌와 신경계가 여덟 살 아동에 비해 더 성숙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이것은 하드웨어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차이는 아동기에 갖지 못하는 기억 책략을 청년기에 와서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이것은 소프트웨어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애다(Kail, 1992; Santrock, 1981; 정옥분, 2004, P. 53 재인용).
정보처리이론에 따르면, 아동은 발달하면서 점진적으로 정보처리능력이 발달하는데, 이는 아동으로 하여금 점점 더 복잡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Chen & Siegler, 2000). 정보처리이론에서의 발달에 대한 연구는 아동이 어떻게 정보를 기억하고 조직하는지와 성인과 아동 간의 인지능력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들을 밝히는 데 관심을 둔다. 최근 정보처리이론의 관점에서 발달을 탐구하는 연구자들은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인정하면서 그 이론을 보다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그리하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달리 정보처리이론의 관점에서는 인간이 단계적 변화를 거쳐 발달한다는 것으로 설명하지 않고, 발달을 보다 더 연속적인 것으로 본다. 이러한 연구자들로는 정보처리용량을 중시하는 케이스(Case)나 파스쿠알 레온(Pascual-Leone) 등의 신피아제학파(neo-Piagetian)와 정보처리전략을 학습과정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지글러(Siegler)를 들 수 있다(신명희 외, 1998, P. 63).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현대적 아동관에 가장 부합된다고 생각하는 아동발달이론을 제시하고 그 근거를 자신의 보육...
[아동발달]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정보처리이론, 비고츠키(Vygotsk...
아동의 인지발달 - 피아제의 인지발달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이론 및 정보처리 이론
아동의 사고와 논리의 발달 과정에 대한 가장 유력한 이론은 삐아제의 인지발달 4단계 이론인...
아동과학교육과 관련하여 피아제의 이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발달이론] 발달이론의 비교 - 정신분석이론(정신역동적 이론), 피아제(Piaget) 인지발달이론...
[인지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인지발달단계),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사회문화...
[인간발달이론] 아동발달이론(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이론, 피...
[인지이론]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비고츠키(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정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