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와 감염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전관리와 감염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발생, 직원감염으로 인한 인력손실
생산력과 국가세제원의 절감
병원 사망률 증가의 중요한 원인
→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병원 감염관리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효율적 감염관리
감염 종류
효과적인 감염관리 방법
감염감소율(%)
창상감염
집중적인 감시활동과 관리
+
집도의 에게 감염률 보고
감염관리 의사가 활동
20
35
균혈증
집중적인 감시활동과 관리
+
감시활동 1년이상 지속
250변상당 1명의 감염관리자
감염관리 의사
15
35
요로감염
집중적인 감시활동 1년 이상지속
+
250병상당 1명의 감염관리자
38
폐렴(수술환자)
집중적인 감시활동과 관리
+
250병상당 1명의 감염관리자
27
폐렴(내과환자)
집중적인 감시활동과 관리
13
모든 감염
집중적인 감시활동과 관리
32
3) 감염관리 대책
감염관리체계
- 감염관리 정책, 병원감염조사 실시
- 병원감염의 실상 파악 후 우선순위 결정
(1) 무균술
내과적 무균술 : 의료인의 개인건강 및 위생과 환자의 개인위생관리, 손씻기
외과적 무균술 : 병원균이나 기타 다른 미생물이 전혀 없는 멸균상태를 유지하는 것
: 수술영역과 같이 특수영역에서 미생물이 전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
(2) 직원의 감염관리
병원 직원은 일반 직장의 직원에 비해 감염에 노출될 기회가 많을 뿐만 아니라 실직적 으로 감염률이 높다.
직원이 감염되면 감염의 저장소로서 감염의 전파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직원의 건강과 복지의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환자들의 보호 측면에서도 고려되어야 한다.
① 감염질환 검사 및 예방접종
- 직원이 병원에 새로 채용되는 경우 신체검사를 통해서 감염질환의 유무와 예방접종을 모두 시행하였는지 확인
- 질병의 종류와 전파의 위험도에 따라 예방접종을 시행
- 감염에 노출을 막기 위해 건강검진과 예방접종을 통해 직원 자신도 보호하고 환자도 보호 하도록 함
② 감염성 질환에 노출된 후 관리 방법
- 응급실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 필ㅇ한 조치를 받은 후 ‘근무 중 손상복서’를 작성하 여 보고 하도록 함
- 필요한 예방조치를 할 경우, 해당 직원은 예방조치의 효과와 부작용, 기타 다른 예방 법, 예방조치를 하지 않았을 때의 감염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해하여야 함
- 근무를 제한하는 전염성 질환일 경우 근무를 제한하도록 한다.
* 참고문헌
김인숙 외 (2013) 최신 간호관리학 개정판, 현문사
염영희 외(2015) 간호관리학, 수문사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2.24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