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이론가
II. 인간의 본성에 대한 관점
1. 인간의 지형학적 마음
2. 인간의 정신적 구조
3. 인간의 발달단계
1) 1단계 : 구강기
2) 2단계 : 항문기
3) 3단계 : 남근기
4) 4단계 : 잠복기
5) 5단계 : 생식기
III. 문제의 근원
IV. 상담이론의 주요 개념
1. 합리화
2. 부정
3. 동일시
4. 투사
5. 억압 혹은 억제
6. 반동형성
7. 퇴행
8. 고착
9. 승화
V. 상담의 목표 및 기법
1. 자유연상
2. 해석
* 참고문헌
II. 인간의 본성에 대한 관점
1. 인간의 지형학적 마음
2. 인간의 정신적 구조
3. 인간의 발달단계
1) 1단계 : 구강기
2) 2단계 : 항문기
3) 3단계 : 남근기
4) 4단계 : 잠복기
5) 5단계 : 생식기
III. 문제의 근원
IV. 상담이론의 주요 개념
1. 합리화
2. 부정
3. 동일시
4. 투사
5. 억압 혹은 억제
6. 반동형성
7. 퇴행
8. 고착
9. 승화
V. 상담의 목표 및 기법
1. 자유연상
2. 해석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감정이나 생각을 갖음으로써 느끼는 불안을 해소하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알코올중독이 될까봐 두려운 생각을 가진 사람이 술은 굉장히 좋은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7) 퇴행
퇴행(regression)은 자신이 이미 지나온 그 이전의 발달단계로 되돌아가는 기제이다. 예를 들어, 어떤 아동이 동생이 태어났을 경우 동생에게 빼앗긴 사랑과 관심을 되찾고 싶어 떼었던 젖병을 다시 찾는다든지 하는 경우이다.
(8) 고착
고착(fixation)은 퇴행과 비슷한 방어기제인데, 퇴행처럼 이전 발달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현 발달단계에서 다음 발달단계로 올라가지 않고 계속 머무르는 기제이다. 이것은 현재의 즐거운 상태에 계속 있길 원해서이거나, 다음 발달단계로 올라갈 때 감수해야 할 위험을 피하기 원할 때 이러한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9) 승화
승화(sublimation)는 방어기제들 중 몇 안 되는 긍정적 방어기제라 할 수 있다. 승화는 바람직하지 않은 욕망이나 리비도적 욕구 등을 생산적인 방향으로 바꾸어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에너지로 표현하는 기제이다.
V. 상담의 목표 및 기법들
정신분석적 상담의 목표는 가장 근본적인 목표는 무의식에 내재된 트라우마, 즉 심리적 상처 및 해결되지 못한 욕구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끌어내어 의식화하는 것이다. 즉, 자신의 무의식에 묻혀있는 심리적 상처의 존재를 깨닫고 그 원인에 대한 통찰을 얻어야만 그 심리적 상처에 의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렇게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과정은 본인에게 매우 고통스럽고 어려운 과정이며, 따라서 상담기간도 몇 년씩 걸릴 수 있는 길고 험난한 과정이다. 무의식에 묻혀있는 심리적 상처나 욕망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들을 몇 가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유연상
자유연상(free association)은 Freud에 의해 발전한 기법으로서 편안하고 조용한 분위기의 상담실에서 내담자는 편안히 소파에 눕고 마음 속에 떠오르는 것을 무엇이든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한다. 이때 상담가는 내담자의 시선이 닿지 않는 곳에 앉아서 주로 이야기를 듣고 질문을 한다. 상담가는 내담자에게 질문을 너무 많이 하거나 판단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도록 한다. 설령 내담자가 두서없는 이야기를 한다고 해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이 두서없는 이야기에 숨겨진 일관된 감정과 생각들을 찾아내려고 노력해야 한다.
(2) 해석
해석(interpretation)은 자유연상이나 꿈 등에서 나타날 것들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 해석할 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첫째. 해석하려는 내용이 내담자가거의 의식화했을 때, 즉 의식적으로 인지하기 시작했을 시점에 해석을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내담자의 해석한 내용을 거부하여 저항하거나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둘째, 내담자가 받아들일 수 있을 수준까지만 해석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내담자가 심리적 상처나 충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내담자의 무의식적 내용을 해석하기 앞서 내담자가 가진 방어기제나 저항 같은 부분을 먼저 해석해주어야 한.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7) 퇴행
퇴행(regression)은 자신이 이미 지나온 그 이전의 발달단계로 되돌아가는 기제이다. 예를 들어, 어떤 아동이 동생이 태어났을 경우 동생에게 빼앗긴 사랑과 관심을 되찾고 싶어 떼었던 젖병을 다시 찾는다든지 하는 경우이다.
(8) 고착
고착(fixation)은 퇴행과 비슷한 방어기제인데, 퇴행처럼 이전 발달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현 발달단계에서 다음 발달단계로 올라가지 않고 계속 머무르는 기제이다. 이것은 현재의 즐거운 상태에 계속 있길 원해서이거나, 다음 발달단계로 올라갈 때 감수해야 할 위험을 피하기 원할 때 이러한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9) 승화
승화(sublimation)는 방어기제들 중 몇 안 되는 긍정적 방어기제라 할 수 있다. 승화는 바람직하지 않은 욕망이나 리비도적 욕구 등을 생산적인 방향으로 바꾸어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에너지로 표현하는 기제이다.
V. 상담의 목표 및 기법들
정신분석적 상담의 목표는 가장 근본적인 목표는 무의식에 내재된 트라우마, 즉 심리적 상처 및 해결되지 못한 욕구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끌어내어 의식화하는 것이다. 즉, 자신의 무의식에 묻혀있는 심리적 상처의 존재를 깨닫고 그 원인에 대한 통찰을 얻어야만 그 심리적 상처에 의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렇게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과정은 본인에게 매우 고통스럽고 어려운 과정이며, 따라서 상담기간도 몇 년씩 걸릴 수 있는 길고 험난한 과정이다. 무의식에 묻혀있는 심리적 상처나 욕망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들을 몇 가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유연상
자유연상(free association)은 Freud에 의해 발전한 기법으로서 편안하고 조용한 분위기의 상담실에서 내담자는 편안히 소파에 눕고 마음 속에 떠오르는 것을 무엇이든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한다. 이때 상담가는 내담자의 시선이 닿지 않는 곳에 앉아서 주로 이야기를 듣고 질문을 한다. 상담가는 내담자에게 질문을 너무 많이 하거나 판단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도록 한다. 설령 내담자가 두서없는 이야기를 한다고 해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이 두서없는 이야기에 숨겨진 일관된 감정과 생각들을 찾아내려고 노력해야 한다.
(2) 해석
해석(interpretation)은 자유연상이나 꿈 등에서 나타날 것들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 해석할 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첫째. 해석하려는 내용이 내담자가거의 의식화했을 때, 즉 의식적으로 인지하기 시작했을 시점에 해석을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내담자의 해석한 내용을 거부하여 저항하거나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둘째, 내담자가 받아들일 수 있을 수준까지만 해석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내담자가 심리적 상처나 충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내담자의 무의식적 내용을 해석하기 앞서 내담자가 가진 방어기제나 저항 같은 부분을 먼저 해석해주어야 한.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글래서의 생애와 이론 분석 및 현실치료에 대한 모든 것[A+ 추천 레포트★★★★★]
가족상담치료 이론(정신분석적~해결중심적)
상담의 과정 이론별 정리
[상담심리학 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핵...
[방통대/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핵심적 내용을 정...
[방송통신대학교 2017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행동수...
(2017년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 설명한 후 핵...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설명 핵심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