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로이드(Freud)의 심리성적 이론
I. 구강기(출생-1세)
II. 항문기(2-3세)
III. 남근기(4-6세)
IV. 잠복기(7-12세)
V. 생식기(12세 이후)
VI. 프로이드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 참고문헌
I. 구강기(출생-1세)
II. 항문기(2-3세)
III. 남근기(4-6세)
IV. 잠복기(7-12세)
V. 생식기(12세 이후)
VI. 프로이드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기애착적인 경향을 보이나, 생식기에는 타자인 이성으로부터 성적 만족을 얻으려 하는 이성애착적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이 시기는 이성애착기(heterosexual priod)이다.
이 시기에 순조로운 발달을 성취한 청년은 타인에 관심을 갖고 협동의 자세로 성숙시켜 간다. 즉, 이타적이고 숙성한 특징을 보이지만 남근기를 성공적으로 거치지 못해 권위에 대해 적대감을 가지고 동성을 동일시하는 데 혼란이 생긴 아동들은 성에너지를 합당하고 원만하게 처리할 능력을 키우지 못하게 되어 권위에 반항하고 비행을 저지르거나 이성에 적응곤란을 보이게 된다.
각 발달단계를 성공적으로 끝내지 못했을 경우에는 2가지 형태로 발달이 왜곡될 수 있다. 첫 번째는 고정화 현상(fixation)으로 이것은 한 발달단계에서 머물고 다시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경우는 어떤 특정한 단계에서 지나치게 만족스러운 경험을 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을 거부하고 그 단계에서 계속 요구되는 만족을 즐기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는 퇴행(regression)으로 현재 처해 있는 발달단계에서 적응하기가 너무 어려워서 또는 고통스러워서 그것을 이겨낼 수 없다면 그 개인은 전 단계, 즉 자기가 방금 벗어난 전 단계로 후퇴해 버리는 현상이다.
이 2가지 형태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어떤 아이가 손톱을 깨물거나 손가락을 발거나 또는 성인이 줄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많이 마시거나, 또는 수다스러운 것도 어떻게 보면 구강기에 있었던 입을 중심으로 하는 만족을 찾으려는 현상이라 볼 수 있다.
또한Freud에 의하면 상당히 강박적이며 톡톡 쓰며 굉장히 공격적인 사람은 항문기 때 자기의 대변을 꼭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 오는 만족감을 유지하려고 하는 현상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퇴행 현상으로는 상당히 활발하고 잘 놀던 아이가 동생을 본 뒤에 다시 젖을 먹거나 오줌을 싸는 현상으로 이것은 퇴행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Freud의 정신분석이론이 교육적으로 주는 시사점은 아래의 표 같다.
VI. 프로이드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단계
연령
특징
1. 구강기
0-1세
- 리비도가 구강(입술, 입, 혀)에 집중되어 있다.
- 충동의 즉각적인 만족에 빠진다.
- id가 지배
2. 항문기
2-3세
- 리비도가 항문에 집중되어 있다.
- 성만족의 근원은 배설물을 보유하고 배설하는 것이다.
- id와 ego가 지배
3. 남근기
4-6세
- 리비도가 성기부위에 집중되어 있다.
- 생식기에 관심을 갖게 되고 생식기가 성만족의 근원이 된다.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갖는다.
- id, ego, superego가 지배
4. 잠복기
7-12세
- 성만족에 대한 관심이 없어지고 같은 성의 부모를 동일시 한다.
- 리비도의 지향대상은 친구, 동성의 친구가 되고 동일시 대상도 주로 친구가 된다.
- id, ego, superego가 지배
5. 생식기
12세 이후
- 병적인 애착과 퇴행을 제외하고 어른의 형태와 같은 성만족에 관심을 갖는다.
- 성적/공격적 충동이 이성에 대한 흥미와 관심으로 나타나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이 시기에 순조로운 발달을 성취한 청년은 타인에 관심을 갖고 협동의 자세로 성숙시켜 간다. 즉, 이타적이고 숙성한 특징을 보이지만 남근기를 성공적으로 거치지 못해 권위에 대해 적대감을 가지고 동성을 동일시하는 데 혼란이 생긴 아동들은 성에너지를 합당하고 원만하게 처리할 능력을 키우지 못하게 되어 권위에 반항하고 비행을 저지르거나 이성에 적응곤란을 보이게 된다.
각 발달단계를 성공적으로 끝내지 못했을 경우에는 2가지 형태로 발달이 왜곡될 수 있다. 첫 번째는 고정화 현상(fixation)으로 이것은 한 발달단계에서 머물고 다시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경우는 어떤 특정한 단계에서 지나치게 만족스러운 경험을 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을 거부하고 그 단계에서 계속 요구되는 만족을 즐기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는 퇴행(regression)으로 현재 처해 있는 발달단계에서 적응하기가 너무 어려워서 또는 고통스러워서 그것을 이겨낼 수 없다면 그 개인은 전 단계, 즉 자기가 방금 벗어난 전 단계로 후퇴해 버리는 현상이다.
이 2가지 형태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어떤 아이가 손톱을 깨물거나 손가락을 발거나 또는 성인이 줄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많이 마시거나, 또는 수다스러운 것도 어떻게 보면 구강기에 있었던 입을 중심으로 하는 만족을 찾으려는 현상이라 볼 수 있다.
또한Freud에 의하면 상당히 강박적이며 톡톡 쓰며 굉장히 공격적인 사람은 항문기 때 자기의 대변을 꼭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 오는 만족감을 유지하려고 하는 현상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퇴행 현상으로는 상당히 활발하고 잘 놀던 아이가 동생을 본 뒤에 다시 젖을 먹거나 오줌을 싸는 현상으로 이것은 퇴행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Freud의 정신분석이론이 교육적으로 주는 시사점은 아래의 표 같다.
VI. 프로이드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단계
연령
특징
1. 구강기
0-1세
- 리비도가 구강(입술, 입, 혀)에 집중되어 있다.
- 충동의 즉각적인 만족에 빠진다.
- id가 지배
2. 항문기
2-3세
- 리비도가 항문에 집중되어 있다.
- 성만족의 근원은 배설물을 보유하고 배설하는 것이다.
- id와 ego가 지배
3. 남근기
4-6세
- 리비도가 성기부위에 집중되어 있다.
- 생식기에 관심을 갖게 되고 생식기가 성만족의 근원이 된다.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갖는다.
- id, ego, superego가 지배
4. 잠복기
7-12세
- 성만족에 대한 관심이 없어지고 같은 성의 부모를 동일시 한다.
- 리비도의 지향대상은 친구, 동성의 친구가 되고 동일시 대상도 주로 친구가 된다.
- id, ego, superego가 지배
5. 생식기
12세 이후
- 병적인 애착과 퇴행을 제외하고 어른의 형태와 같은 성만족에 관심을 갖는다.
- 성적/공격적 충동이 이성에 대한 흥미와 관심으로 나타나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교육학]정신분석이론
정신분석이론을 토대로 한 나의 일생에 대한 이론적용과, 주관적 평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기본원칙과 중심개념,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성격구조와 심리성...
정신분석학
인간행동과사회환경A) 행동발달에 대한 정신분석이론의 입장과 요점(프로이드, 에릭슨, 융의 ...
[성격발달이론-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 심리성적이론(심리성적발달단계) 에릭슨의 심리사회...
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주요개념과 특징 심리성적발달단계 정신분석...
[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Freud), 에릭슨(Erikson), 아들러(Adler), 융(Jung)의 이론(정신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