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의 주요 도덕교육 이론 - 불교 - 도가 - 유교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서양의 주요 도덕교육 이론 - 불교 - 도가 - 유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함양된 상태는 성인(聖人)의 마음 그 자체이다. 그것은 인간이 지향해야 할 가장 크고 아름다운 마음이다. 또, 도덕적으로 완성된 사람이다. 다시 말하면, 학교의 도덕교육은 학생들이 이러한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마음의 핵심부를 보다 크고, 아름답게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Ⅳ. 기독교 사상과 도덕교육
1. 기독교 신앙과 도덕교육
기독교 사상과 윤리종교이론과의 근본적 차이점
일반적 윤리종교이론
기독교 사상
이상적인 모델을 제시해, 현재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끊임없이 노력해서 그 이상적인 상태에 도달해가게 하는 것 (교사의 역할 : 도달을 위해 지도하고 도와줌)
자기부정 → 현재의 나를 버리고, 그 빈자리에 예수의 영을 받아들여 대신해서 살아가게 함으로써 죄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 (이성과 관련없음)
기독교 신앙 더 깊이 설명: 인간의 모든 문제는 신성 안에서만 해결이 됨
♥ 신성 : 이성보다 더욱 우수한, 완전무결한 능력 (인간의 지적 능력을 초과하는 문제를 해결) 따라서 신을 알기 위해서는 신성에 의지
♥ 신앙 : 인간이 신성을 받아들이는 행위
그 중 신앙의 행위 : 자신이 이때까지 소유하던 마음의 소유권을 버리고 그 소유권을 신에게 이양하는 행위로, 인간은 본이 아니게 감각적 쾌락을 추구하는 속성, 즉 죄성을 타고 태어남, 이 죄의 본성이 인간의 몸을 가득 채우고 나면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밖으로 죄의 행동이 흘러나오게 됨, 이러한 행동은 인간을 비도덕적 삶으로 이끌고 그는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보고 스스로 실망하고 좌절, 죄의 힘이 이성의 힘을 압도하고 있기 때문에 이성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자신이 빠져 있는 실존의 부조리를 스스로의 힘으로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다고 느끼고 신에게 구원을 요청하게 되는 것이 신앙의 행위
♥ 예수를 마음의 주인으로 삼은 채 죄를 지었을 때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죄사함의 기도를 하면 죄사함을 받을 수 있다.
♥ 예수가 이미 십자가에서 피흘려 죽으심으로 우리의 죄값을 치르고 우리를 사버렸기 때문에 예수의 공로로 우리는 그를 의지하면 죄를 용서받고 다시 깨끗해질 수 있다는 이유.
♥죄를 또 반복한다 하더라도 성경에서는 매일 자신의 잘못을 회개하면 용서해준다고 쓰여 있다. 그러나 날마다 잘못하고 회개하는 일만 되풀이하는 것은 신앙이 성장하지 않는 일이다. 신앙의 성장은 매일 예수를 닮아가는 삶을 사는 것을 말한다. 죄의 노예가 되지 않기 위해 한 점의 죄도 없는 예수의 마음을 닮아가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와 같은 인간의 노력을 신앙생활이라고 한다.
2. 기독교 사상과 학교 도덕교육의 방법
♥ 학교 도덕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학년별로 빠져들기 쉬운 죄 목록을 만들고 어떻게 죄가 다가왔으며, 중독될 때의 현상,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해서 가르쳐야 함
☞ 도덕적 문제의 내면에는 죄의 문제 존재,(죄란 인간을 나태하게 만들고 파괴하고 부정적인 결과 초래, 개인을 파멸시키고 주위 사람들을 해치고 사회를 파괴하는 것)
☞ 죄의 특성 : 개인 지향적, 순간적, 말초적, 인간을 쉽게 유혹, 쉽게 중독되고 전염
☞ 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평소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반성하고 자신이 어떤 죄를 지으면서 살아가는지 찾아내고, 스스로 죄라는 것을 느낄 때 그것을 버리는 결단과 용기가 중요
☞ 평소에 쾌락 중심의 삶을 벗어나 죄를 극복해야 한다. 같은 맥락에서 쾌락의 강도를 조금씩 줄이거나, 자신의 주변 환경을 정결과 금욕의 환경으로 조성하는 방법이 있다.
☞ 영적인 만족감 : 인간이 죄와 욕심을 버리고 신령한 삶을 살게 될 때 얻는 상쾌함
☞ 진실한 신앙인은 성경 말씀을 늘 새기고 그것을 생활에 실천하며 살아야 함
3. 성경에 나타난 도덕적 삶의 내용
♥ 성경의 모든 구절은 학생들의 도덕교육에 큰 교훈을 준다.
- ‘가장 근본적인 도덕적 삶의 자세’
* 골로새서 3장 2절 “위의 것을 생각하고 땅의 것을 생각하지 말라”
* 데살로니가 전서 5장 22절 “악은 어떤 모양이라도 버리라”
* 갈라디아서 5장 16-24절 : 성스런 삶과 쾌락적 삶을 비교하여 묘사
☞ 모든 비도덕적 일의 원인은 인간의 정욕과 탐심에 있기 때문에 이것을 없애야한다. 육체의 일은 인간이 해서는 안 될 일을 가르킨다.
* 고린도 전서 13장 : 사랑의 가치
☞ 사랑은 무조건 덮어주는 것이 아니라 바르게 인도하는 것이다. 기독교 사랑의 개념에는 정의를 무시하고 감싸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하게 생활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2.08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