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외과적 관리
1) 혈관내 치료와 색전화
◇ 색전절차
백금 코일, 철사, 색전성 물질에 의해 동맥류를 막는 것
① 혈관조영술 절차 수행
→ 뇌혈관 조영술 사용 : 뇌의 선택된 혈관으로 집어 넣는 것을 용이하게 함
② 목 부위의 동맥류가 보이면, 작은 백금 철사를 조심스럽게 동맥류로 인도한다.
③ 각 코일은 동맥류 안쪽에서 공모양으로 구부러질 때까지 나아간다.
: 동맥류 낭으로 동맥혈이 흐르지 못하도록
④ 각 코일이 낭에 맞춰질 때, 소량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땜납이 파괴되고 동맥류에 코일
이 남게된다.
⑤ 동맥류에 남은 코일로 인해 동맥류가 색전될 때 혈전이 시작된다.
⑥ 절차를 완료하기 위해 혈관조영술이 수행된다.
2) 동맥류 결찰
금속클립으로 동맥류를 외과적 제거하는 것 ⇒ 재출혈의 위험 감소
개두술 절개
① 동맥류 분리
② 금속클립은 동맥류의 목 위를 결찰하게 된다
수술 시기
Ⅰ~Ⅱ
지주막하 출혈 후 3일 내 수술
Ⅲ~Ⅳ
10-14일 사이에 결찰술을 받는다
⇒ 임상상태와 동맥류의 등급에 근거
수술 시 문제점
- 혈관경련이 있는 동안 지연
⇒ 혈관경련 시 수술 : 사망률과 이환율 증가
- 높은 동급의 동맥류를 가진 대상자
⇒ 재출혈의 위험
- 한 병원에서 다른 병원으로 전송시키는 것의 지연
- 수술에 동의하기를 주저하는 대상자나 가족 ⇒ 신속한 중재의 지연
수술 후
- 대상자의 신경학적 상태 모니터; 심장모니터링
- 일반적 수술 후 간호 제공
참고문헌
이항련 외(2007).성인간호학. 수문사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 현문사
김분한 외(2002).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1) 혈관내 치료와 색전화
◇ 색전절차
백금 코일, 철사, 색전성 물질에 의해 동맥류를 막는 것
① 혈관조영술 절차 수행
→ 뇌혈관 조영술 사용 : 뇌의 선택된 혈관으로 집어 넣는 것을 용이하게 함
② 목 부위의 동맥류가 보이면, 작은 백금 철사를 조심스럽게 동맥류로 인도한다.
③ 각 코일은 동맥류 안쪽에서 공모양으로 구부러질 때까지 나아간다.
: 동맥류 낭으로 동맥혈이 흐르지 못하도록
④ 각 코일이 낭에 맞춰질 때, 소량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땜납이 파괴되고 동맥류에 코일
이 남게된다.
⑤ 동맥류에 남은 코일로 인해 동맥류가 색전될 때 혈전이 시작된다.
⑥ 절차를 완료하기 위해 혈관조영술이 수행된다.
2) 동맥류 결찰
금속클립으로 동맥류를 외과적 제거하는 것 ⇒ 재출혈의 위험 감소
개두술 절개
① 동맥류 분리
② 금속클립은 동맥류의 목 위를 결찰하게 된다
수술 시기
Ⅰ~Ⅱ
지주막하 출혈 후 3일 내 수술
Ⅲ~Ⅳ
10-14일 사이에 결찰술을 받는다
⇒ 임상상태와 동맥류의 등급에 근거
수술 시 문제점
- 혈관경련이 있는 동안 지연
⇒ 혈관경련 시 수술 : 사망률과 이환율 증가
- 높은 동급의 동맥류를 가진 대상자
⇒ 재출혈의 위험
- 한 병원에서 다른 병원으로 전송시키는 것의 지연
- 수술에 동의하기를 주저하는 대상자나 가족 ⇒ 신속한 중재의 지연
수술 후
- 대상자의 신경학적 상태 모니터; 심장모니터링
- 일반적 수술 후 간호 제공
참고문헌
이항련 외(2007).성인간호학. 수문사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 현문사
김분한 외(2002).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