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충수염
1) 정의
2) 원인& 병태 생리
3) 증상과 징후
4) 간호 진단
5) 치료& 간호
1) 정의
2) 원인& 병태 생리
3) 증상과 징후
4) 간호 진단
5) 치료& 간호
본문내용
변화와 같은 증상을 세심하게 모니터 함
통증이 복부에 전반적으로 퍼지면서 강직이나 단단해진다면 충수가 파열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음
수술 후 활력징후, 소변량, 의식수준, 정맥치료를 모니터하고 또한 대상자의 호흡상태와 수술상처를 사정함
충수가 파열된 대상자라면 배액관을 유지할 수 있음
(2) 간호
간호의 목적은 통증완화, 체액균형 유지, 불안 감소, 적절한 영양공급에 있음
수술 전 간호
수술 후 간호
정맥주사를 통해 체액손실을 보충하고 신장기능을 적절히 유지
발열 시 에는 acetaminophen 같은 해열제를 투여
감염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여
마비성장폐색을 예방하기 위해 비위관을 삽입
천공의 위험이 있으므로 관장은 하지 않으며 더운 찜질도 피해야 함
반좌위를 취하도록 하여 절개부위와 복부 장기의 긴장을 완화하고 통증을 줄임
개복술을 한 경우 봉합사는 수술 후 5~7일 사이에 제거함
정상활동은 보통 2~4주 후에 시작할 수 있음
복막염의 가능성이 있으면 절개부위에 배액관(drain)을 삽입함
장폐색증이나 이차적 출혈의 징후가 있는지 관찰함
농양이 골반, 횡격막하, 간 등에 생기면 고열, 빈맥, 백혈구 상승 등이 나타난다. 수술 후 발열이나 심한 통증이 없고, 합병증이 없으면 대개 수술 후 3~4일에 퇴원함
복강경을 이용하면 합병증이 없는 경우 수술 당일 퇴원할 수 있음
대상자와 가족에게 상처관리와 드레싱 교환에 대해 교육함
참고 문헌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정담 미디어 2011년 p. 743~745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2016년 p. 437~439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p. 397~398
통증이 복부에 전반적으로 퍼지면서 강직이나 단단해진다면 충수가 파열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음
수술 후 활력징후, 소변량, 의식수준, 정맥치료를 모니터하고 또한 대상자의 호흡상태와 수술상처를 사정함
충수가 파열된 대상자라면 배액관을 유지할 수 있음
(2) 간호
간호의 목적은 통증완화, 체액균형 유지, 불안 감소, 적절한 영양공급에 있음
수술 전 간호
수술 후 간호
정맥주사를 통해 체액손실을 보충하고 신장기능을 적절히 유지
발열 시 에는 acetaminophen 같은 해열제를 투여
감염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여
마비성장폐색을 예방하기 위해 비위관을 삽입
천공의 위험이 있으므로 관장은 하지 않으며 더운 찜질도 피해야 함
반좌위를 취하도록 하여 절개부위와 복부 장기의 긴장을 완화하고 통증을 줄임
개복술을 한 경우 봉합사는 수술 후 5~7일 사이에 제거함
정상활동은 보통 2~4주 후에 시작할 수 있음
복막염의 가능성이 있으면 절개부위에 배액관(drain)을 삽입함
장폐색증이나 이차적 출혈의 징후가 있는지 관찰함
농양이 골반, 횡격막하, 간 등에 생기면 고열, 빈맥, 백혈구 상승 등이 나타난다. 수술 후 발열이나 심한 통증이 없고, 합병증이 없으면 대개 수술 후 3~4일에 퇴원함
복강경을 이용하면 합병증이 없는 경우 수술 당일 퇴원할 수 있음
대상자와 가족에게 상처관리와 드레싱 교환에 대해 교육함
참고 문헌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정담 미디어 2011년 p. 743~745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2016년 p. 437~439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p. 397~3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