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일반외과)-appendicitis(충수염)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S(일반외과)-appendicitis(충수염)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례소개

2. 문헌고찰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적 검사
5) 치료
6) 간호중재
7) 특수치료
8) 합병증

3.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4.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신체사정(physical examination)
(5) 진단을 위한 검사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2) 간호과정 기록지
-충수절제술로 인한 조직외상과 관련된 통증
-전신마취로 인한 호흡기계의 억제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전신마취로 인한 순환기계의 억제와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본문내용

)
gas out 여부를 관찰하였다. (gas out이 되지 않으면 복부 불편 감이 생길 수 있으므로, gas out이 되지 않으면 배가 부글 거리 는 증상이 있을 수 있다 고 설명하고 gas out 여부를 관찰 하 였다.)
감염유무를 확인하였다.(혈액검사를 통하여 감염유무를 사정 했 으나 WBC 가 9.9로 정상으로 나타나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 았으며 Hgb이 낮아 빈혈의 위험성이 있었지만 op 후 검사에 서는 정상으로 나타났다. 수술부위의 상처는 무균적 dressing 을 하여 감염을 예방했으며 ozzing이 있는지 관찰하였다.)
통증완화방법을 설명하였다. (복대로 잘 지지하도록 설명했으며 편안한 체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침상에서 다리운동을 하 도록 설명하여 회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술 다음날부터 보행을 하도록 격려하고 보행시 통증 없이 보 행을 잘 하는지 관찰했다. (10/20)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고 대상자를 관찰했다.
(진통제로 Tarasyn 1 을 I.M으로 투여하였다)
evaluation
활력증후는 정상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등을 마사지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환자는 약간의 통증을 표현하였다. (VAS: 4점)
gas out은 아직 되지 않았으므로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였다.
환자는 다음날 병실 복도를 천천히 걸어 다녔다.
# 2.Nsg Dx: 전신마취로 인한 호흡기계의 억제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10월 19일)
Subjective Data
“ 아휴.. 힘들어...”
Objective Data
환자에게서 마취약 냄새가 났다.
가래 끓는 소리가 들렸다.
기침을 하였다.
숨을 크게 들이쉬고 내쉬고 하였다.
얼굴을 찡그리고 있다.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환자는 환기를 최대화하고 공기흐름을 증진시킬 수 있다.
plan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호흡하기 쉬운 자세를 취한다.
호흡에 방해되는 통증을 제거한다.
기침과 심호흡을 격려한다.
피부색을 사정한다.
호흡기계 합병증 여부를 관찰한다.
Implication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호흡은 16회로 환자는 숨쉬기가 힘들어 보였으며, 가래 끓는 소리가 들렸다. 흉곽의 움직임이 비교적 컸다.)
통증의 이유를 설명하여 안심하도록 하였다.(수술 중 자세와 억제대 사용으로 근육통이 있을 수 있으며, 기도 내 삽관으로 인해 인후통이 있을 수 있다는 것과 점차 나아질 것임을 설명 하였다.
호흡하기 쉬운 자세를 취하도록 교육하였다.(좌위나 반 좌위를 취하여 호흡이 쉽도록 하였다.)
적절한 체위변경을 지도하였다. (최소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 하여 신체 내 환기를 도울 수 있도록 설명하였다.)
호흡에 방해되는 통증을 제거했다.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하도 록 하였다.)
기침과 심호흡을 격려하였다.(환자의 의식을 깨워 수술 직 후 부터 심호흡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심호흡을 해야지 폐의 합 병증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 하였으며, 가래는 기침을 해서 뱉어 내라고 교육하였다.)
피부색을 사정하였다.(적절한 환기로 인해 창백한 피부의 색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호흡기계 합병증 여부를 관찰한다.(특이한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evaluation
통증은 괜찮다고 하며 자발적으로 호흡하였다.
지속적으로 심호흡과 기침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았다.
피부색이 창백했으나 정상으로 돌아왔다.
퇴원시(10/23) 까지 호흡기계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았다.
# 3. Nsg Dx : 전신마취로 인한 순환기계의 억제와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 10 월 19 일)
Subjective Data
“손이 붓는 것 같아요”
Objective Data
수술직후 V/S 140/90-76-16-36.1' 이었다.
손, 발이 차다.
손이 정상에 비하여 부어있다.
소변을 아직 보지 못하였다.
체온이 36.1도로 저체온을 나타냈다.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혈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plan
V/S을 측정한다.
순환기 합병증을 사정한다.
합병증의 대처방법을 교육한다.
운동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권장한다.
소변을 보았는지를 사정한다.
Implication
V/S을 측정하였다.(140/90-76-16-36.1도로 op 전에 60회보다 맥 박이 빨랐으며, 저체온의 양상을 보였다.)
순환기 합병증을 사정하였다. (혈전성 정맥염의 사정을 위하여 Homan씨 증상을 관찰하였다. 발목을 배측 굴곡시 장딴지에 통증을 느끼는 것이며, 하지정맥이 돌출되었는지를 확인하였 다.)
순환기 합병증의 예방법을 교육하였다.
( -환자의 혈관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피하고, 다리를 포개는 것 등을 하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 침상에 있을 경우 최소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시키고,
발목운동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운동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권장한다. (조기 이상은 신체의 혈 류의 흐름을 증진시켜, 부종의 경감을 돕고, 가스배출을 돕기 때문에 회복에 중요함을 설명하고, 수술 다음날부터 운동하도 록 권장하였다. 처음 침대 밖에 서면 어지러울 수 있으므로 침 대에 걸터앉아 천천히 다리를 흔드는 운동을 시작 하도록 설명 하고, 수액선을 조심해서 다루어야 한다고 말했다.)
소변을 보았는지를 사정하였다. (수술 후 4시간 이전에 소변을 보아야 함을 설명하고, 소변을 보지 못할 경우 복부를 눌러보 아 요의를 느끼게 하거나, 따뜻한 물을 회음부에 부어 소변을 돕는다. 그렇지 않다면 관을 넣어 빼낸 다는 것을 설명하고, 자 발적으로 소변을 보도록 격려하였다. 처음 소변을 본 후에 간 호사에게 알리도록 설명하였다.)
지속적으로 환자를 관찰하였다.
evaluation
V/S이 정상범위로 되었다. (120/70-74-20-36.5)
사지의 색깔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손, 발의 부종이 감소하였다.
수술 후 3시간 후 소변을 보았다고 말하였다.
하루에 2번 이상 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전시자 외(2000). 성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2. 임상간호메뉴얼 (한윤복 외) / 수문사
3. 서길희 외, 기본간호학 상 하, 수문사, 2000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1.12.12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7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