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와 정의 - 내가 생각하는 정의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가와 정의 - 내가 생각하는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 등에 대해 고민하며 살고 있다. 나는 ‘운동권’이 되지는 않았으나 그들의 생각에는 어느 정도 동의를 표하곤 한다. 그리고 내 주변에 있는 그 사람들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기 보다는 오히려 친밀감을 느낀다. 그만큼 나의 가치관은 엄청나게 변화했다. 이에 따라 현재 내가 생각하는 정의에 대해 이야기할 때, 노직이 아닌 롤스, 드워킨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물론 롤스와 드워킨에 대해서는 앞서 이야기했듯이 전적으로 그들을 수용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어느 정도 의미 있는 사상이 아닌가 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마무리 하자면, 내가 생각하는 ‘정의’는 모두가 행복하고 아름답게 잘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물론 이것의 실현은 참 힘들 것이며 단순히 이상(ideal)에 불과한 것일지 모르겠다. 하지만 그럼에도 최대한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 이를 테면, 빈자, 장애인, 동성애자, 여성 등등에 대해 ‘보통의’(돈 있는 사람, 장애인이 아닌 사람, 이성애자, 남성 등등)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평등하게 대우해 주는 그런 사회가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그러기 위해서 나는 ‘운동’ 보다는 ‘공부’로 나의 길을 정하였다. 공부해서 얼마나 내 ‘정의’를 실현시킬 수 있을까는 아직 잘 모르겠지만 그래도 힘 닿는 데까지 할 것이다. 한편, 앞서서 롤스와 드워킨을 이야기 할 때는 일반적으로 이야기 하듯이, 빈자에 대해서만 주로 이야기 했지만 나의 ‘정의’는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관심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말했듯이,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에 대한 관심에서 나의 ‘정의’는 출발한다. 왜냐하면 ‘모두가 행복하고 아름답게 잘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약자들의 행복을 보장해 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강자들(남성, 이성애자, 장애인이 아닌 사람, 돈 있는 사람 등등)의 행복 역시 중요하지만 워낙 좋지 않은 상황에 있는 사람들을 생각하는 것이 우선이다. 이로써 “내가 생각하는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해 마무리 하도록 하겠다. 나의 ‘정의’를 좀 더 다듬으려는 노력, 구체화하려는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롤스와 드워킨이 좋은 출발점이 되어주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참고 문헌
김주성, <21세기와 고전/존 롤스 ‘정의론’: ‘최저임금제’가 필요한 이유>, 『조선일보』 2007년 2월 3일, D7면.
J.Rawls(1985), 『사회정의론』, 황경식 역, 서광사.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2.08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8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