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마케팅믹스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제품, 가격, 유통, 촉진 관련 마케팅조사과업을 설명하시오.
I. 제품
1. 상표
2. 신제품 개발
3. 제품수명주기
II. 가격
III. 유통경로
IV. 촉진
* 참고문헌
I. 제품
1. 상표
2. 신제품 개발
3. 제품수명주기
II. 가격
III. 유통경로
IV. 촉진
* 참고문헌
본문내용
, 속성, 장점을 잠재구매자에게 알리고 설득하는 기능을 총괄하여 촉진이라고 한다. 촉진에 사용되는 수단으로는 광고(advertising), 인적 판매(Personal selling), 판매촉진(sales promotion), 홍보(Publicity)가 있는데, 촉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이러한 수단들의 결합을 촉진믹스라고 한다.
광고의 주요 매체는 신문, TV, 라디오, 잡지 등 대중매체이다. 광고가 대중매체를 통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그 공적인 성격에 의하여 광고내용이 합리화되는 경향이 있고, 하나의 메시지를 여러 번 반복할 수 있으며, 내용을 극화할 수 있고, 접촉인원 당 비용이 싸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반면, 설득력이 낮고 총광고비가 매우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어떤 매체를 통하든 전통적 광고는 미지의 대중을 상대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고객리스트를 작성하고 고객별 정보를 축적하여 개인으로서의 고객을 상대로 하는 광고가 증가될 것이다. 또한 인터넷을 활용한 광고의 형태가 최근 들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인적 판매는 판매원이 고객과의 대화를 통하여 촉진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판매원이 고객에게 직접 정보를 제공하고 설득하기 때문에 신축성이 높고, 구매결정의 후반기, 즉 고객이 제품을 평가하고 마을을 정하는 단계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광고에 비하여 청중을 듣게끔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판매조직을 유지하는 비용이 다른 어떤 촉진 수단보다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판매촉진은 주로 단기적 판매확대를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가격할인, 쿠폰, 무료견본, 경품, 리베이트, 판매경진 등의 수단이 있다. 쿠폰, 무료견본, 경품 등 주로 최종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판매촉진과 리베이트, 판매경진 등과 같이 주로 중간상에 대한 동기유발용으로 사용되는 판매촉진으로 분류된다.
홍보는 기업이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라디오, TV, 신문 등의 대중매체를 통하여 제품이나 서비스 또는 기업체에 관하여 상업적으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그러한 정보를 뉴스 또는 기사로서 보도하도록 함으로써 수요를 환기시키는 활동을 의미한다.
홍보의 장점은 대중들이 제품에 대한 정보를 뉴스를 통하여 얻게 됨으로써 신뢰성이 높다는 것이다. 홍보활동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먼저 홍보활동의 목적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이용할 메시지와 매체를 선택하여 집행한 후 그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광고의 주요 매체는 신문, TV, 라디오, 잡지 등 대중매체이다. 광고가 대중매체를 통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그 공적인 성격에 의하여 광고내용이 합리화되는 경향이 있고, 하나의 메시지를 여러 번 반복할 수 있으며, 내용을 극화할 수 있고, 접촉인원 당 비용이 싸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반면, 설득력이 낮고 총광고비가 매우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어떤 매체를 통하든 전통적 광고는 미지의 대중을 상대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고객리스트를 작성하고 고객별 정보를 축적하여 개인으로서의 고객을 상대로 하는 광고가 증가될 것이다. 또한 인터넷을 활용한 광고의 형태가 최근 들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인적 판매는 판매원이 고객과의 대화를 통하여 촉진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판매원이 고객에게 직접 정보를 제공하고 설득하기 때문에 신축성이 높고, 구매결정의 후반기, 즉 고객이 제품을 평가하고 마을을 정하는 단계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광고에 비하여 청중을 듣게끔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판매조직을 유지하는 비용이 다른 어떤 촉진 수단보다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판매촉진은 주로 단기적 판매확대를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가격할인, 쿠폰, 무료견본, 경품, 리베이트, 판매경진 등의 수단이 있다. 쿠폰, 무료견본, 경품 등 주로 최종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판매촉진과 리베이트, 판매경진 등과 같이 주로 중간상에 대한 동기유발용으로 사용되는 판매촉진으로 분류된다.
홍보는 기업이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라디오, TV, 신문 등의 대중매체를 통하여 제품이나 서비스 또는 기업체에 관하여 상업적으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그러한 정보를 뉴스 또는 기사로서 보도하도록 함으로써 수요를 환기시키는 활동을 의미한다.
홍보의 장점은 대중들이 제품에 대한 정보를 뉴스를 통하여 얻게 됨으로써 신뢰성이 높다는 것이다. 홍보활동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먼저 홍보활동의 목적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이용할 메시지와 매체를 선택하여 집행한 후 그 결과를 평가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