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건 (토양 폐기물 분뇨 의복 주택 위생 해충 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보건 (토양 폐기물 분뇨 의복 주택 위생 해충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은 물체를 정확하게, 빨리 볼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피 로 를 덜어주고 재해발생을 방지하는 등 생산성과 직결됨
기본적 최저조명의 정도는 15~20foot candle이상이어야 함
다음경우는 조명정도를 높여야 함
: 어두운 색깔을 취급할때와 같이 피사체의 반사율이 저하될때
취급물체와 주위와의 색깔의 대조가 뚜렷하지 않을때
계속적으로 눈을 쓰고 정밀작업을 할때
시력이 나쁘거나 눈의 결함이 있을때
(3)조도의 기준
표준조도는 작업의 내용에 따라 50lux~1,000lux에 이르며 보통작업에 있어서는 200lux 면 충분함
(4)휘도와 눈부심
완전한 조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에 적합한 밝기가 필요할 뿐 아니라 눈부심이 없어야함
눈부심은 망막의 부위에 따라 조도가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불쾌감
눈부심원인 :
-망막의 좁은 부위에 강렬한 빛이 들어와서 지나치게 망막을 자극하여 눈 이 이에 순응하지 못하는 경우
-중심시야 부위의 휘도와 주위의 휘도의 비가 10:1을 넘는 경우
(5) 자연조명
자연조명은 태양을 광원으로 하며 직접 실내에 조사되는 빛과 옥외에서 확산 도는 반 사된 빛이 옥내에 들어와서 이루어짐
낮에 야외조도는 밝은 날일때 3,000lux정도이고 어두운 날씨일때는 2,000lux정도임
생활하는데 필요한 소요량은 100~1,000lux이므로 그이상의 조명은 불필요함
실내에 들어오는 광선의 양은 창의면적, 창의방향, 개각과 입사각, 차단물, 벽의색과 관계있음
창의면적(크기) :
- 일반주택의 창의 면적은 그 방의 바닥면적의 5/1~1/7 적당
-창폭 을 넓히는 것보다 위치를 높이는 것이 좋음
- 2중창의 내외창의 간격은 5cm 이내여야 함
창의방향 :
- 남향을 원칙으로 하되 동쪽으로 18°,서쪽으로 8°까지가 좋음
- 주택의 일조량은 하루 최소 4시간 이상이어야 힘
- 남창은 여름에 닐 조량이 최저가 되고 겨울에는 방 안쪽가지 입사가 되어 최대가 됨
개각과 입사각 :
- 개각은 실내의 한 지점A과 창의 윗단B, 창밖의 차광물의위 끝을 연결하는 BAD
각도를 말함
- 개각이 클수록 실내는 밝음(보통 4~5°이 상이 좋음)
- 입사각은 AB와 A점을 통과하는 수평선 AC와 연결하는 선을 이루는 각 BAC를 말하 며 28°이상이 좋음
차광의 방법 :
- 창을 통하여 들어오는 빛이 너무 많아서 지나치게 밝으면 시력에 장애가 올 수 있음
- 광선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창 앞에 광선을 차단시키는 물건을 부착함
벽의 색
(6)인공조명
고체, 액체, 가스 등의 연소산물을 이용하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조명하는 방법
현재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조명방법을 쓰고 있음
인공조명의 방법에는 직접조명, 간접조명 및 반간접조명의 3가지가 있음
부적당한 조명에 의한 장애 : 근시, 만성피로, 정신적불안감, 피로감, 작업능률의 감퇴
3)실내온도의 조절
(1)난방과 냉방
실내온도가 10~28℃사이에서는 특별히 실내온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음
10℃이하일 때 난방을 하고 28℃이상에서는 냉방을 필요로 함
주택의 난방은 국소난방, 중앙난방, 지역난방 등으로 나뉘며 냉방은 국소냉방과 중앙냉 방이 있으며 국소냉방장치는 선풍기, 에어컨 등이 있음
(2)환기
실내공기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오염되어 실내에 각종 먼지, 가스, 냄새, 세 균등이 증가되고 온도 및 습도가 높을 때 신선한 공기로 바꾸어 쾌적하고 신선한 공기 를 흡입토록 하는 것
자연환기
-실내외의 기온 차, 기압차, 기체의 확산성 등이 원동력이 됨
기계적 환기
-환기 량 : 환기에 의하여 출입하는 공기의양
1인 1시간당 필요 환기 량 V=K/CO-C
V: 1인 1시간당 필요환기 량
K:1인1시간당 호출되는 CO2량
CO:실내공기의 CO2의 허용농도
C:정상외기의 CO2함유량
표준 소요 환기 량 : 통상적으로 퇘감대, 쾌적 온도, 탄산가스의 함유량, 유독가스의 함유량 등을 표준으로 하여 산출함
6.해충
1) 구제의 원칙
위생해충 : 인간에게 질병을 매개하는 것과 질병과는 직접관계 없으나 혐오감을 주는 곤충
구제대상동물의 발생원 및 서식처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근복적이고 중요함
대상동물의 생타 습성에 따라 구제를 실시
발생초기에 구제실시
한 가정 또는 한 지역에 구충, 구서를 실시하는 것보다 광범위하게 동시에 실시
2) 위생해충에 의한 피해
(1) 직접적인 피해
기계적 외상 : 곤충에 물렸을 에 피부조직의 파괴
이차적 감염 : 자교에 의한 기계적 외상이나 파리, 지네 등이 물은 부위에 병원성 박테 리아 감염에 의한 피부염
체내기생 : 인체조직에 침입하여 기생하는 경우
독성물질의 주입 : 지네, 독거미 등에 물렸을 때 독성물질의 주입으로 인한 피해
자교 시 주입된 이물질에 대한 감수성 : 곤충에 물렸을 때 붓거나, 발적이 있는 경우
(2) 간접적인 피해
모기 : 황열, 말라리아, 일본뇌염, 사상충증
벼룩 : 페스트, 발진 염
진드기 : 급성출혈열, 재귀열, 록키산 홍반열
이 : 발진티푸스
집파리 : 살모넬라증, 장티푸스, 적리
(3) 구제방법
① 모기
고인 물, 늪지 등을 없애고, 하수는 지하에 매몰하는 하수도로 연결
성충이 숨은 풀숲이나 덤불은 베어버림
통풍이 잘 되도록 환경개선
기계적 방법 : 유충 포식어류를 사육하여 유충을 먹게 함
화학적 방법 : DDT, BHC, Iin-cane, chlordane, dieldrin
→ 갑이 싸고 효과가 크나 가축에 해로룸
기타 : 살충제, 망창, 모기장, 기피제, 모기향
② 파리
쓰레기통 - 뚜껑을 닫고 자주 버림
변소 - 변기와 퍼내는 곳에 스크린을 달아 위생적 관리, 퇴비장의 개선, 하수구청결
기계적 방법 : 파리채, 파리잡이 테이프, 파리통
③ 바퀴벌레
상품화된 트랩 (끈끈이)
살충제 : 독이법 연무법, 훈중법 잔류 분무 및 분제
집안의 서식처와 먹이를 제거, 늘 청결하게 유지
④ 쥐
쥐약, 쥐덧, 쥐틀, 밀폐된 장소에 훈중법(유독가스 사용)
고양이를 길러 잡아 먹도록 하는 방법,
참고문헌
지역사회 간호각(분야벽),2016,정연강외,현문사
지역사회간호학 2015,김성실외,정문각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3.0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