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 질병에 관한 기술
Rotator Cuff Tear(회전근개 파열)
Ⅲ. 간호과정
- 간호사정
- 간호력, 신체검진, 검사, 치료 및 경과, 투약
- 간호과정의 적용
Ⅳ. 결론
- 참고문헌
- 실습후기
- 실습일지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 질병에 관한 기술
Rotator Cuff Tear(회전근개 파열)
Ⅲ. 간호과정
- 간호사정
- 간호력, 신체검진, 검사, 치료 및 경과, 투약
- 간호과정의 적용
Ⅳ. 결론
- 참고문헌
- 실습후기
- 실습일지
본문내용
ing을 시켜주셔서 정말 좋았다. 그리고 선생님들도 너무 친절하시고 잘 알려주셨다. 앞으로 남은 실습도 열심히 해야겠다는 다짐을 다시 하였다.
대상자 교육계획서 대상자명
한OO
성/연령
F/64
진단명
Rotator Cuff Tear(회전근개 파열)
교육대상
환자, 보호자(딸)
교육시기
수술 후
일시
2019.01.15. 14:00
주제
대주제) 수술 후 관리
소주제) 수술 후 운동과 통증관리
제목
자가통증조절기의 사용법, 수술 후 운동
학습목표
자가통증조절기에 대해 이해한다.
수술 후 운동을 실시한다.
평가목표
1. 교육 후 자가통증조절기를 사용할 수 있다.
2. 교육 후 수술 2일째 되는 날 운동을 실시한다.
활동과정
(시간)
세부 학습목표
학습내용
교육방법
교육매체
도입 (3분)
- 통증의 양상에 대해 설명 한다.
- 수술 후 일상생활에 대해 설명한다.
- 수술 후 마취가 풀리며 통 증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
- 수술 후 어지러울 수 있어 바로는 움직이지 못함을 설 명
구두
전개 (10분)
- PCIA에 대한 설명과 작동 법을 설명한다.
- PCIA의 부작용에 대해 설 명한다.
- 수술 후 운동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 PCIA 기능에 대한 설명
- 작동 방법에 대한 설명
- 10분 이내에 다시 눌러도 약물이 나오지 않음을 설명
- 부작용으로 구토증상이 있 음을 설명
- 몸을 움직여야 힘도 생기 고 혈액 순환도 좋아짐을 설명(누워서 운동 → 앉는 연습 → 침대에서 내려오 기)
구두
종결 (5분)
- 직접 PCIA 버튼을 작동 시 킨다.
- 운동법을 알려준다.
- 통증 시 버튼을 눌러 진통제 투여 될 수 있도록 설명
- 누워서 팔다리 움직이는 운 동, 좌우로 움직이는 운동 설명(충분한 연습 후 침상에서 내려올 것을 설명)
질의 응답
참고 문헌
송경숙 외: 기본간호중재와 술기술 (개정판)(2011), 수문사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자가통증조절장치 (PCA) 란?
환자 자신이 스스로 수술 후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통증 조절의 방법으로 주로 수술 후 환자의 의식이 돌아왔을 때 가장 먼저 표현하는 환자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자가 통증조절기이다.
◈ IV PCA: 정맥로를 통한 Automed의 적용
① 약물 : Tarasyn(Ketocin), Butophanol(Butophan) 두약을 대게 1:1의 비율로 해서 N/S 에 희석하여 투여한다.
② 투여방법: 기본적으로 계속해서 주입되는 양이 있고 (시간당 1ml)최소 10분 간격으로 환자가 버튼을 누를 때 들 어가는 양이 있다.(1ml bolus)
③ 장점
-환자가 요구할 때마다 투여하게 되는 투약의 지연성을 피할 수 있다.
-통증이 보다 빨리 완화되고 환자가 계속적으로 통증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약물은 정맥내로 투여한다.
-환자는 통증경감에 대한 조절을 기억한다.
-적은 용량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기계내 안전장치로 과량투여를 방지 할 수 있다.
④ 부작용
-오심, 졸리움, 가려움증
-의식혼미, 호흡곤란, 호흡횟수 10회 이하로 감소시, 구역/구토증상 발생시 PCA작동정지, 주치의에게 보고한다.
◈ 휴대용 PCA 장치는 미리 설정된 마약의 용량을 투여한다. 단시간 내에 다음 용량이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 해 1회 용량이 투여된 후 자동으로 통로를 차단시켜 용량을 조절한다.
수술 후 관리
성공적인 결과 또는 위험이나 부작용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면 수술하기 전부터 좋은 관리 및 능숙한 수술 솜씨 뿐만 아니라 수술 후에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술을 잘 끝냈어도 예상치 못했던 부작용이 생겨서 생명을 위협하거나 염증 등 새로운 병이 생기면 안 되기 때문에 수술 후 이상 증상은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고 빠른 발견과 처치가 중요합니다.
운동
수술 직후에는 될 수 있으면 몸을 빨리 움직이는 것이 좋습니다. 몸을 움직여야 힘도 생기고 혈액 순환도 좋아집니다. 처음에는 일어나기 어려우므로 누워서 몸을 좌우로 움직이고 팔다리 운동을 하면 좋습니다. 조금 힘이 생기면 윗몸을 일으켜서 앉는 연습을 합니다. 이런 연습을 충분히 한 후 일어나거나 침대에서 내려오는 것이 좋습니다.처음 일어나 침대에서 내려오거나 소변을 보러 갈 때는 위와 같은 운동 연습을 충분히 하지 않으면 어지러워서 넘어질 위험이 높아집니다.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져서 일어났지만 몇 걸음 못 가거나 화장실에 가서 현기증이 생기면 위험합니다. 그러므로 처음에는 보호자가 부축을 하는 것이 좋고 현기증이 생기는 것 같으면 이기려고 하지 말고 바로 아무 데나 주저앉는 것이 넘어지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이상 증상
수술이나 분만과 마취는 몸에 많은 영향을 주고 회복기는 신체 변동이 많은 때이므로 환자나 의료인 모두 이상 증상이 생기면 빠른 조치를 해야 됩니다. 많이 생기는 증상으로는 아프다, 피가 난다, 어지럽다, 가슴이 답답하다 등입니다.여기에서 문제는 수술이나 분만 후에 그러한 증상이 정상적인 회복 과정에서 잘 생기는데 정상적인 회복 과정과 이상 증상과의 구별이 어려울 때가 적지 않다는 것입니다. 같은 환자에서 같거나 비슷한 증상인데도 때에 따라서는 정상적인 회복 과정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그러므로 이상하다고 생각할 때, 그러한 증상을 한 번 말해서 괜찮다는 의료진의 대답을 들었지만 증상이 반복되거나 계속될 때 환자는 다시 말을 하고 의료진은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부작용 발견
수술을 하면 하루나 이틀의 회복 기간이 환자 관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큰 부작용이 잘 생기는 기간이기 때문입니다. 산부인과 수술 시 주로 생기는 부작용으로는 출혈과 감염입니다. 그러므로 내출혈이 없이 혈액 순환 기능이 정상인지 그리고 열이 얼마나 나는가를 확인하려고 혈압과 체온을 자주 잽니다.수술 후에는 통증이 하루나 이틀 많으므로 이 통증이 부작용으로 생긴 것인지 통증에 대하여 예민해서 그런지 구별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배의 통증으로 복부 진찰 자체가 어렵고 불명확하기 때문입니다. 약한 통증은 견뎌보지만 심한 통증은 꼭 의사나 간호사에게 호소하여 확인을 받도록 합니다.
대상자 교육계획서 대상자명
한OO
성/연령
F/64
진단명
Rotator Cuff Tear(회전근개 파열)
교육대상
환자, 보호자(딸)
교육시기
수술 후
일시
2019.01.15. 14:00
주제
대주제) 수술 후 관리
소주제) 수술 후 운동과 통증관리
제목
자가통증조절기의 사용법, 수술 후 운동
학습목표
자가통증조절기에 대해 이해한다.
수술 후 운동을 실시한다.
평가목표
1. 교육 후 자가통증조절기를 사용할 수 있다.
2. 교육 후 수술 2일째 되는 날 운동을 실시한다.
활동과정
(시간)
세부 학습목표
학습내용
교육방법
교육매체
도입 (3분)
- 통증의 양상에 대해 설명 한다.
- 수술 후 일상생활에 대해 설명한다.
- 수술 후 마취가 풀리며 통 증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
- 수술 후 어지러울 수 있어 바로는 움직이지 못함을 설 명
구두
전개 (10분)
- PCIA에 대한 설명과 작동 법을 설명한다.
- PCIA의 부작용에 대해 설 명한다.
- 수술 후 운동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 PCIA 기능에 대한 설명
- 작동 방법에 대한 설명
- 10분 이내에 다시 눌러도 약물이 나오지 않음을 설명
- 부작용으로 구토증상이 있 음을 설명
- 몸을 움직여야 힘도 생기 고 혈액 순환도 좋아짐을 설명(누워서 운동 → 앉는 연습 → 침대에서 내려오 기)
구두
종결 (5분)
- 직접 PCIA 버튼을 작동 시 킨다.
- 운동법을 알려준다.
- 통증 시 버튼을 눌러 진통제 투여 될 수 있도록 설명
- 누워서 팔다리 움직이는 운 동, 좌우로 움직이는 운동 설명(충분한 연습 후 침상에서 내려올 것을 설명)
질의 응답
참고 문헌
송경숙 외: 기본간호중재와 술기술 (개정판)(2011), 수문사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자가통증조절장치 (PCA) 란?
환자 자신이 스스로 수술 후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통증 조절의 방법으로 주로 수술 후 환자의 의식이 돌아왔을 때 가장 먼저 표현하는 환자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자가 통증조절기이다.
◈ IV PCA: 정맥로를 통한 Automed의 적용
① 약물 : Tarasyn(Ketocin), Butophanol(Butophan) 두약을 대게 1:1의 비율로 해서 N/S 에 희석하여 투여한다.
② 투여방법: 기본적으로 계속해서 주입되는 양이 있고 (시간당 1ml)최소 10분 간격으로 환자가 버튼을 누를 때 들 어가는 양이 있다.(1ml bolus)
③ 장점
-환자가 요구할 때마다 투여하게 되는 투약의 지연성을 피할 수 있다.
-통증이 보다 빨리 완화되고 환자가 계속적으로 통증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약물은 정맥내로 투여한다.
-환자는 통증경감에 대한 조절을 기억한다.
-적은 용량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기계내 안전장치로 과량투여를 방지 할 수 있다.
④ 부작용
-오심, 졸리움, 가려움증
-의식혼미, 호흡곤란, 호흡횟수 10회 이하로 감소시, 구역/구토증상 발생시 PCA작동정지, 주치의에게 보고한다.
◈ 휴대용 PCA 장치는 미리 설정된 마약의 용량을 투여한다. 단시간 내에 다음 용량이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 해 1회 용량이 투여된 후 자동으로 통로를 차단시켜 용량을 조절한다.
수술 후 관리
성공적인 결과 또는 위험이나 부작용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면 수술하기 전부터 좋은 관리 및 능숙한 수술 솜씨 뿐만 아니라 수술 후에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술을 잘 끝냈어도 예상치 못했던 부작용이 생겨서 생명을 위협하거나 염증 등 새로운 병이 생기면 안 되기 때문에 수술 후 이상 증상은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고 빠른 발견과 처치가 중요합니다.
운동
수술 직후에는 될 수 있으면 몸을 빨리 움직이는 것이 좋습니다. 몸을 움직여야 힘도 생기고 혈액 순환도 좋아집니다. 처음에는 일어나기 어려우므로 누워서 몸을 좌우로 움직이고 팔다리 운동을 하면 좋습니다. 조금 힘이 생기면 윗몸을 일으켜서 앉는 연습을 합니다. 이런 연습을 충분히 한 후 일어나거나 침대에서 내려오는 것이 좋습니다.처음 일어나 침대에서 내려오거나 소변을 보러 갈 때는 위와 같은 운동 연습을 충분히 하지 않으면 어지러워서 넘어질 위험이 높아집니다.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져서 일어났지만 몇 걸음 못 가거나 화장실에 가서 현기증이 생기면 위험합니다. 그러므로 처음에는 보호자가 부축을 하는 것이 좋고 현기증이 생기는 것 같으면 이기려고 하지 말고 바로 아무 데나 주저앉는 것이 넘어지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이상 증상
수술이나 분만과 마취는 몸에 많은 영향을 주고 회복기는 신체 변동이 많은 때이므로 환자나 의료인 모두 이상 증상이 생기면 빠른 조치를 해야 됩니다. 많이 생기는 증상으로는 아프다, 피가 난다, 어지럽다, 가슴이 답답하다 등입니다.여기에서 문제는 수술이나 분만 후에 그러한 증상이 정상적인 회복 과정에서 잘 생기는데 정상적인 회복 과정과 이상 증상과의 구별이 어려울 때가 적지 않다는 것입니다. 같은 환자에서 같거나 비슷한 증상인데도 때에 따라서는 정상적인 회복 과정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그러므로 이상하다고 생각할 때, 그러한 증상을 한 번 말해서 괜찮다는 의료진의 대답을 들었지만 증상이 반복되거나 계속될 때 환자는 다시 말을 하고 의료진은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부작용 발견
수술을 하면 하루나 이틀의 회복 기간이 환자 관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큰 부작용이 잘 생기는 기간이기 때문입니다. 산부인과 수술 시 주로 생기는 부작용으로는 출혈과 감염입니다. 그러므로 내출혈이 없이 혈액 순환 기능이 정상인지 그리고 열이 얼마나 나는가를 확인하려고 혈압과 체온을 자주 잽니다.수술 후에는 통증이 하루나 이틀 많으므로 이 통증이 부작용으로 생긴 것인지 통증에 대하여 예민해서 그런지 구별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배의 통증으로 복부 진찰 자체가 어렵고 불명확하기 때문입니다. 약한 통증은 견뎌보지만 심한 통증은 꼭 의사나 간호사에게 호소하여 확인을 받도록 합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회전근개파열-case study
회전근개 파열의 치료와 간호
회전근개파열(Rotator cuff rupture)과 수술간호
RCI(회전근개파열) 정형외과 성인 간호학 CASE STUDY 자료입니다^^
회전근개파열 케이스스터디 (회전근개손상 간호과정) - rotator cuff syndrome case study
[성인간호학][회전근개파열][회전근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회전근개 파열(RCT, Rotator Cuff Tear) Case Study
우측어깨회전근개파열, 간호과정,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계획,...
Injury of tendon of the rorator cuff of shoulder, 어깨의 회전근개의 힘줄 손상 케이스, O...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