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걷고 있지만 정말 그들이 원하는 것일까??라는 생각이 갑자기 들었다. 내가 갑자기 신내림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정말 무섭고 살아가기 힘들 것 같다. 기독교서적에서 읽었었는데 한 목사님이 귀신에게 씌인 무당에게서 귀신을 쫓아냈는데 목사님에게 화를 내면서 보상을 하라고했다고 한다. 목사님은 귀신에게 벗어나 자신의 삶을 살아가기 바랬던 것이고 그 무당은 돈을 벌기위해선 그렇게 살아가기를 원했던 것이다. 이렇게 민간신앙의 문화와 기독교문화에서도 많은 충돌이 일어나는 것 같다.
이번 책을 읽으면서 무당, 굿은 무섭다. 이렇게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한국의 문화로 그리고 제주도의 문화로 받아들이고 좀 더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함을 느꼈다. 그리고 제주도의 민간신앙에 대해서 많은 것을 알게 된것 같아서 재미있었다.
이번 책을 읽으면서 무당, 굿은 무섭다. 이렇게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한국의 문화로 그리고 제주도의 문화로 받아들이고 좀 더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함을 느꼈다. 그리고 제주도의 민간신앙에 대해서 많은 것을 알게 된것 같아서 재미있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학개론 - 무속인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 - 독후감
사회학개론 - 독후감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은 후에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 - 독후감
사회학개론 - 우리 주위에 항상 같이 있던 민간신앙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 - 독...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나서 - 독후감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 -제주인의 삶에 깃든 민간신앙의 얼 -...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은후에 - 독후감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은 후 - 무의식 속의 민간신앙 - 독후감
사회학개론 - 독후감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은 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