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앙은 너무 질이 떨어 졌다고 해야 한다. 지금의 상태로 가다가는 문화가 아닌 그저 미신으로 남아 갈수도 있다. 그러니 하루 빨리 지금의 상태를 예전으로 남기고 무당들 또한 수를 줄여서 약간의 희귀성을 지니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정직하게 계승자를 만들어 계승형태로 가야 하게 되어야 한다. 그래야 굿이나 무당처럼 무형문화재를 만들어 더욱 더 보존가치를 높여서 미신으로 남기보다는 문화로 남아서 후손들에게 물려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끝으로 책으로 민간신앙을 보면서 흥미로웠고 더욱 조사를 했으면 할 정도로 흥미를 느꼈다.. 그리고 내가 사는 제주에 대한 내용이었기 때문에 좀 더 깊이 봤던 것 같고 레포트를 쓰면서 좋은 경험이라고도 생각한다. 나중에 다시 한번 읽어봤으면 하는 책이 였다고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학개론 - 무속인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 - 독후감
사회학개론 - 독후감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은 후에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 - 독후감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 - 독후감
사회학개론 - 우리 주위에 항상 같이 있던 민간신앙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 - 독...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나서 - 독후감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고 -제주인의 삶에 깃든 민간신앙의 얼 -...
사회학개론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은 후 - 무의식 속의 민간신앙 - 독후감
사회학개론 - 독후감 -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을 읽은 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