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관찰 아동 소개
2. 관찰 아동선정 이유
3. 문제행동 관찰 사례
4. 내가 생각하는 문제행동 시 부모의 대처방법
5. 문제행동 시 교사의 대처방법
6. 문제행동의 원인
7. 문제행동에 대한 대안
8. 느낀 점
9. 참고 문헌
2. 관찰 아동선정 이유
3. 문제행동 관찰 사례
4. 내가 생각하는 문제행동 시 부모의 대처방법
5. 문제행동 시 교사의 대처방법
6. 문제행동의 원인
7. 문제행동에 대한 대안
8. 느낀 점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는 싸움이 났을 때 승만이에게 타임아웃을 적용한다. 하지만 교사가 타임아웃을 올바르게 적용하지 못하였다. 특히 유아의 싸움을 금지시킬 때는 공평한 자세를 취해야 하는데 승만이만 놀이에서 분리시켜 타임아웃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승만이는 싸움에 대한 결과에 대해 억울함만 남아있다. 따라서 교사는 싸움이 생겼을 경우, 공평한 자세를 취하며 선과 악의 기준을 분명히 제시하고 그때 그때 분명하게 타일러야 한다. 또한, 상황에 대해 서로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하며, 싸운 아동들 모두 타임아웃에 적용해야 한다. 단, 싸움을 먼저 건 아동은 타임아웃의 시간을 조금 더 길게 주어야 한다.
넷째, 공격적인 행동은 친구를 가지면 저절로 없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많은 친구와 사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따라서 교사는 공격적인 유아의 장점에 대해 친구들에게 간접적으로 이야기해줄 필요가 있다. 또한, 또래관계가 원만한 유아 1~2명을 공격적인 유아와 함께 놀이를 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친구들의 행동을 보고 공격적인 유아가 모델링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승만이의 경우에도 같은 반에 모든 친구들이 좋아하는 남자아이 한 명과 놀이할 때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지 않고 놀이를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가 의도적이지만 자연스럽게 놀이 집단을 구성해 줄 필요도 있다.
8. 느낀 점
승만이와 한 달 간 경험하면서 승만이의 좋은 점을 볼 수 있었고, 친구들이 승만이를 나쁜 친구로 보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 있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좋을지 몰랐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행동원인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고, 행동에 대한 대안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기록할 수 있어서 좋은 시간이었다. 또한, 이론적으로 배웠던 내용들을 관찰한 유아에게 적용하면서 ‘좀 더 빨리 알았더라면 한 달 동안 더 많이 인정해주고 받아주었을 텐데’라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앞으로 내가 맡을 유아는 각자 다양한 환경과 기질, 성격,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각기 다른 행동과 그 원인을 가지고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하면서 더 많이 공부하고 연구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다. 그리고 모든 아이들에게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없으므로 융통성 있게 적용하고 지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교사가 한 대처방법에 대해 기록하면서, 같은 부적응행동을 보이더라도 그 행동과 원인을 바라보는 교사의 관점도 다르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안도 다를 수 있다는 걸 느꼈다. 그러면서 나는 객관적이고 수용적인 교사가 되어 유아를 바르게 지도하도록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또한 부모교육을 위한 교사로서의 지식과 태도를 올바르게 배우고 기억하여서 나와 함께 협력하는 부모들에게 효과적인 지도 방법과 내용을 알려줌으로써 협력적인 관계를 잘 맺어가고 싶다고 생각했다.
9. 참고문헌
1) 유아생활지도. 장선철 · 정헌숙. 태영출판사. 2016.
2) 유아교사를 위한 생활지도 및 상담. 황선희. 양서원. 2015.
3) 생활지도와 상담. 김청자 · 정진선. 태영출판사. 2012.
넷째, 공격적인 행동은 친구를 가지면 저절로 없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많은 친구와 사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따라서 교사는 공격적인 유아의 장점에 대해 친구들에게 간접적으로 이야기해줄 필요가 있다. 또한, 또래관계가 원만한 유아 1~2명을 공격적인 유아와 함께 놀이를 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친구들의 행동을 보고 공격적인 유아가 모델링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승만이의 경우에도 같은 반에 모든 친구들이 좋아하는 남자아이 한 명과 놀이할 때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지 않고 놀이를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가 의도적이지만 자연스럽게 놀이 집단을 구성해 줄 필요도 있다.
8. 느낀 점
승만이와 한 달 간 경험하면서 승만이의 좋은 점을 볼 수 있었고, 친구들이 승만이를 나쁜 친구로 보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 있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좋을지 몰랐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행동원인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고, 행동에 대한 대안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기록할 수 있어서 좋은 시간이었다. 또한, 이론적으로 배웠던 내용들을 관찰한 유아에게 적용하면서 ‘좀 더 빨리 알았더라면 한 달 동안 더 많이 인정해주고 받아주었을 텐데’라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앞으로 내가 맡을 유아는 각자 다양한 환경과 기질, 성격,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각기 다른 행동과 그 원인을 가지고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하면서 더 많이 공부하고 연구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다. 그리고 모든 아이들에게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없으므로 융통성 있게 적용하고 지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교사가 한 대처방법에 대해 기록하면서, 같은 부적응행동을 보이더라도 그 행동과 원인을 바라보는 교사의 관점도 다르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안도 다를 수 있다는 걸 느꼈다. 그러면서 나는 객관적이고 수용적인 교사가 되어 유아를 바르게 지도하도록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또한 부모교육을 위한 교사로서의 지식과 태도를 올바르게 배우고 기억하여서 나와 함께 협력하는 부모들에게 효과적인 지도 방법과 내용을 알려줌으로써 협력적인 관계를 잘 맺어가고 싶다고 생각했다.
9. 참고문헌
1) 유아생활지도. 장선철 · 정헌숙. 태영출판사. 2016.
2) 유아교사를 위한 생활지도 및 상담. 황선희. 양서원. 2015.
3) 생활지도와 상담. 김청자 · 정진선. 태영출판사. 2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