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현상으로서의 섹드립에 대한 정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문화 현상으로서의 섹드립에 대한 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사
3. 연구대상
4. 연구방법

Ⅱ. 본론
  1. ‘섹드립’의 탄생
  2. 섹드립의 언어적 구성과 성적욕구의 내재성
3. 한국사회의 미디어 문화를 통해 본 ‘섹드립’의 확산
1)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
2) 페이스북(FACE BOOK)
3) 케이블 채널의 유행과 SNL 코리아
4. ‘섹드립’을 향한 비판
 
Ⅲ.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할 뿐만 아니라 성적욕구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이 옳은 것처럼 여겨져 온 것이다. 성적욕구의 표출은 과거의 춘화(春花)나 음담패설과 같은 전통적인 방식의 화법에서도 늘 존재해 왔으나 섹드립이라는 새로운 농담의 범주에 대한 명칭과 개념의 확립은 2010년 이후에 이루어졌다. 연구를 통해 섹드립은 기존의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상에서만 유통되던 섹드립을 기반으로 한 유머 콘텐츠들이 SNS의 성장으로 더 폭넓은 연령대와 성향을 지닌 이들에게 유입됨으로써 일반적으로 많은 이들이 공감하는 대중적인 농담이 되었음을 유추해냈다. 이에 기존의 지상파 방송 3사에 비해 비교적 방송심의규제로부터 자유로운 케이블 채널들이 섹드립을 토대로 한 토크쇼 및 예능을 많은 배출해냈고, 이를 향유하는 이들이 증가하며 섹드립이라는 개념이 확립되고 그 범주가 설정되자 많은 이들이 이를 하나의 문화로서 무의식적으로 인지하고 공유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성경험에서는 개개인의 특수성 보다는 보편성이 나타난다. 섹드립에는 모든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지점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섹드립의 발화자는 이를 추상적인 개념으로 전달하기 위해 언어유희와 은유의 화법을 통해 재치를 활용하며 섹드립을 접한 이는 직접적 간접적 경험을 통해 맥락과 상황을 이해하게 되고 그 안에서 공감과 유머러스함을 느끼게 된다. 모든 이가 공감을 표현하는 화제에 대해 함께 공감함으로써 집단에 속해있다는 안정감을 경험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동시에 또 공감을 통해 성이라는 은신의 대상을 잠시나마 함께 공유하고 내재된 성욕을 농담으로 치환하여 표출함으로써 해소감과 쾌락을 느끼게 된다.
섹드립이 대중에게 활발하게 수용되는 동시에 몇몇 단어와 문장은 유행어처럼 사용되는 까닭에 상품의 홍보에까지 섹드립이 이용되고 있다. 이는 방송과 온라인 플랫폼, 일상담화에서 통용되던 섹드립이 대중문화의 영역으로 더 넓게 확장되고 있다는 증거이지만 아직 그 범주에 대한 명확한 개념의 확립을 거치지 않았기에 논란의 여지 또한 가중되고 있다. 섹드립이 단순한 인터넷 은어로만이 아닌 하나의 문화현상으로서 확립되기 위해서는 그 경계에 대한 논의와 탐구, 그리고 대중들의 관심이 더욱 요구될 것이다.
■참고문헌
지그문트 프로이트 (Freud Sigmund),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열린책들, 2003
조기형, 이상억, 『한자성어 고전명언구 대사전 23000어』, 이담북스, 2011.
구현정,「구어와 담화 : 연구의 활용」 『우리말 연구』, 우리말학회, 제28권, 2011.
권지현, 김명혜, 「디시인사이드 ‘주군의 태양’ 갤러리 구성원 유형화를 통한 인터넷 팬 커뮤니티 권력관계 특성연구」, 『언론학연구』,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제18권, 2014.
김경희, 김주연, 「인터넷 커뮤니티 개설자의 개설동기와 커뮤니티 속성에 대한 연구」,『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제13호, 2004.
김수아, 김세은, 「‘좋아요’가 만드는 ‘싫어요’의 세계 페이스북 ‘여성혐오’ 페이지 분석」, 『미디어, 젠더 & 문화』 2호, 한국 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김해연, 「야구 용어의 비유적 의미의 은유 이론적 분석」, 『언어』 제41권 제2호, 한국언어학회, 2016.
나익주, 「한국어에서의 성욕의 은유적 개념화」, 『담화와 인지』 제10권 제1호,담화·인지언어학회, 2003.
윤가현, 「종교와 성(性)」, 『종교문화학보』 제 6집, 한국종교문화학회, 2009.
전혜영, 「한국어 표현에 나타나는 여행 은유」, 『이화어문논집』 제 33집, 이화어문학회, 2014
정예림, 이성춘, 이은선, 「게시물의 상호작용성 및 유형, 소비자의 브랜드 구매정도가 페이스북 브랜드 팬 페이지 내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 연구』 제 24권 6호, 한국광고학회, 2013.
최수진, 「TV 시청흐름 변화 및 채널 간 역학관계 분석」, 『한국방송학보』, 한국방송학회, 제27권 제5호, 2013.
최수진, 「케이블TV 채널 소비와 문화적 다식성-편식성 가설에 대한 탐색」,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6호, 한국언론학회, 2013.
탁해성, 조환규, 「인터넷 커뮤니티 사용자의 댓글 연결망 구성 및 분석」,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정보과학회, 2013.
홍삼열, 오재철,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자 접속요인 비교분석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를 중심으로」,『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2.
황유선 ,「페이스북 일상담화의 감정 탐색」,『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한국콘텐츠학회, 2016.
인터넷 카페/커뮤니티 관련조사, 『리서치보고서』 마크로밀엠브레인, 제2012권 제2호, 2012
「보편화된 성문화, 라면 먹고 갈래?」, 포항공대신문, 2016.7.7.
http://times.postech.ac.kr/news/articleView.html?idxno=8863
「‘성적 농담’과 성희롱」,경향신문, 2016.7.7.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7072050025&code=990100
vs <마녀사냥> ‘섹드립’의 강자를 찾아서」, 아이즈 매거진, 2013.09.10.
http://ize.co.kr/articleView.html?no=2013090821107284886
「곽정은 장기하 성희롱“몸에서 폭발적 에너지, 침대 위 모습 상상」, MBN, 2014.11.05.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2063409
「곽정은, 19禁 논란에 “마녀사냥 당하지 않겠다”」, 경향신문, 2014.11.06.
http://m.khan.co.kr/ent_sp_view.html?artid=201411061543231&code=960801&med_id=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국내 페이스북 이용자 추이, SOCIALBAKERS, https://www.socialbakers.com/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3.0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9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