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방법
1.2 선행연구
제 2 장 본론
2.1 한국영화
2.1.1 한국영화의 의미와 의의
2.1.2 한국영화의 변천과정
2.1.3 한국영화의 인식
2.2 한국영화시장의 발전 및 오류
2.1.1 한국영화시장의 발전
2.1.2 발전으로 인한 오류 및 한계
2.3 한국영화산업의 독과점
2.3.1 영화산업 성공전략의 폐해
2.3.2 독과점으로 인한 대처방안
제 3 장 결론
참고문헌
1.1 연구의 목적 및 방법
1.2 선행연구
제 2 장 본론
2.1 한국영화
2.1.1 한국영화의 의미와 의의
2.1.2 한국영화의 변천과정
2.1.3 한국영화의 인식
2.2 한국영화시장의 발전 및 오류
2.1.1 한국영화시장의 발전
2.1.2 발전으로 인한 오류 및 한계
2.3 한국영화산업의 독과점
2.3.1 영화산업 성공전략의 폐해
2.3.2 독과점으로 인한 대처방안
제 3 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게 될 것이고, 전문성과 독창성, 감독의 열정과 노력이 담긴 영화다운 영화들이 차츰 사라지게 될 것이라 전망된다.
2.3.2 독과점으로 인한 대처방안
현 한국영화계는 대기업의 독과점으로 인한 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한 대처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첫 번째로 독과점을 막기 위한 소규모 영화에 대한 제작 및 투자에 대한 기회가 많이 생겨날 수 있도록 정부와 영화진흥원에서 정책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정책이 기반이 되어 기회를 창출한다면 한국영화발전에 더 앞서나갈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는 영화발전을 위한 투자가 늘어나야 할 것이다. 영화를 상품화하는 것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밑바탕이 되는 기술, 촬영 등에 대한 부분이 전문성을 갖춰야한다.
세 번째로는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전문 인력을 갖추지 못한다면 한 편의 영화조차 만들기 쉽지 않고 기술부분이나 현장력부문이 많이 뒤처지게 되기 때문이다.
네 번째로 스크린쿼터 제도를 저예산영화나 독립영화와 같은 소규모영화와 연계시켜 스크린에서 더 다양한 영화를 볼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렇게 된다면 상업영화 뿐만 아니라 작은 영화들도 일정기간 동안에는 극장에서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로는 인식의 변화이다. 지금의 영화현실에 대해 관객들이 느끼고, 경험할 수 있게 많이 알리고, 영화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찾도록 해주어야 한다. 또 사회적 관심도 필요한 만큼 문화관광부나 영화진흥원에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처방안들이 하나 둘 이루어진다면 더 좋은 영화 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한국영화산업은 무궁한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문제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으로써 우리가 추구해 나가야할 방향을 파악하기가 수월해질 것이고, 쉽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해외인지도 또한 좋아질 것이고 경쟁력은 물론 경제적인 효과 또한 더 많이 창출해나갈 수 있다.
제 3 장 결 론
오늘날의 영화산업은 현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17년은 최대의 관객 수라는 타이틀을 걸 수 있었고, 투자·제작부분에서도 수익률이 높아진 것을 앞에서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는 스크린쿼터제의 우려와 반발에도 불구하고 한국영화의 지지도가 더 상승하였으며, 외국영화보다 수익면이나 흥행률이 훨씬 높았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 한국영화는 인지도를 높여가며 국제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고, 날로 한국영화시장에 뛰어드는 해외영화산업계의 모습도 자주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한국영화계는 나날이 빛을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의 전망이 더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의 결과는 앞으로의 한국영화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지금 당장의 윤곽적인 면모는 충분히 발전단계에 들어서서 뛰어한 결과물을 만들어냈지만 분명 여기에는 문제점과 한계점이 발목을 붙잡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다. 그러므로 문제점과 한계점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을 인식하고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생각해보는 것이 이 연구가 시사하는 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대기업의 독과점에 대한 내용을 다시 살펴보자면, 분명 좋은 점도 많았지만 앞으로의 한국영화산업의 발전에는 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독과점으로 인해 소규모의 영화산업은 나날이 어려워지고 폐업하는 경우가 많으며, 상업적 영화보다는 다양한 장르에서 여러 영화들이 출품되어야하는 데 이 또한 이루기 힘든 현실이 되고 있다. 또한 영화발전을 위해 중점을 두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당장의 이익이 우선이 되어 자기업의 이득만 챙기는 현실이다. 이는 중요한 부분으로 경제적인 것에만 치우쳐 다른 것들을 살피지 못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과도 비슷하다. 이처럼 영화 산업계는 한국의 사회적 상황과도 연관성이 많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영화산업이 이끌어오는 막대한 영향력을 생각한다면 지금부터라도 해결방안 위해 힘쓰고 노력해야할 것이다.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서는 관객들의 관심, 사회적인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관심을 시작으로 점차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양성을 소홀히 하지 말고, 소규모 제작이나 투자자들에 대한 기회를 늘려, 많은 영화인들이 자신만의 영화를 만들어 나갈 수 있길 바란다. 지금 현실에서 겪는 급속한 성장보다는 이런 것들이 시간 소비가 더 많이 될 것이다. 하지만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 나간다면 앞으로의 한국영화산업의 발전은 물론 한국영화는 세계적으로 나아갈 것이라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도영(2005). 한국영화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한국 영화시장 의 규모와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Korean film exports. 석사논문-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승현·송현주·정완규(2011). 한국영화의 흥행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2009~2010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1권 4호.
배상준(2012). 한국영화의 독과점과 인력양성의 문제. 인문콘텐츠 제 27호.
원승환(2013). 한국 영화산업의 성장전략, 독(毒)이 되어 돌아오다-독과점 시장이 되어버린 한국 영화시장. 플랫폼, 제41호.
‘설국열차’ 프랑스 300개 스크린 개봉, 韓 영화 최대 규모, 뉴스엔 이소담 기자,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310291330559610
(2013. 12.02 검색)
한국영화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1104&cid=200000000&categoryId=200003538 (2013.12.01 검색)
한국영화 죽겠다고? 스크린쿼터의 아이러니한 결말, OSEN 최나영 기자
http://osen.mt.co.kr/article/G1109551632 (2013.12.2 검색)
한국영화 정책과 산업-한국 영화 산업과 대기업 -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5290&cid=3873&categoryId=3883
(2013.12.02 검색)
2.3.2 독과점으로 인한 대처방안
현 한국영화계는 대기업의 독과점으로 인한 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한 대처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첫 번째로 독과점을 막기 위한 소규모 영화에 대한 제작 및 투자에 대한 기회가 많이 생겨날 수 있도록 정부와 영화진흥원에서 정책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정책이 기반이 되어 기회를 창출한다면 한국영화발전에 더 앞서나갈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는 영화발전을 위한 투자가 늘어나야 할 것이다. 영화를 상품화하는 것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밑바탕이 되는 기술, 촬영 등에 대한 부분이 전문성을 갖춰야한다.
세 번째로는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전문 인력을 갖추지 못한다면 한 편의 영화조차 만들기 쉽지 않고 기술부분이나 현장력부문이 많이 뒤처지게 되기 때문이다.
네 번째로 스크린쿼터 제도를 저예산영화나 독립영화와 같은 소규모영화와 연계시켜 스크린에서 더 다양한 영화를 볼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렇게 된다면 상업영화 뿐만 아니라 작은 영화들도 일정기간 동안에는 극장에서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로는 인식의 변화이다. 지금의 영화현실에 대해 관객들이 느끼고, 경험할 수 있게 많이 알리고, 영화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찾도록 해주어야 한다. 또 사회적 관심도 필요한 만큼 문화관광부나 영화진흥원에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처방안들이 하나 둘 이루어진다면 더 좋은 영화 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한국영화산업은 무궁한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문제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으로써 우리가 추구해 나가야할 방향을 파악하기가 수월해질 것이고, 쉽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해외인지도 또한 좋아질 것이고 경쟁력은 물론 경제적인 효과 또한 더 많이 창출해나갈 수 있다.
제 3 장 결 론
오늘날의 영화산업은 현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17년은 최대의 관객 수라는 타이틀을 걸 수 있었고, 투자·제작부분에서도 수익률이 높아진 것을 앞에서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는 스크린쿼터제의 우려와 반발에도 불구하고 한국영화의 지지도가 더 상승하였으며, 외국영화보다 수익면이나 흥행률이 훨씬 높았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 한국영화는 인지도를 높여가며 국제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고, 날로 한국영화시장에 뛰어드는 해외영화산업계의 모습도 자주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한국영화계는 나날이 빛을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의 전망이 더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의 결과는 앞으로의 한국영화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지금 당장의 윤곽적인 면모는 충분히 발전단계에 들어서서 뛰어한 결과물을 만들어냈지만 분명 여기에는 문제점과 한계점이 발목을 붙잡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다. 그러므로 문제점과 한계점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을 인식하고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생각해보는 것이 이 연구가 시사하는 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대기업의 독과점에 대한 내용을 다시 살펴보자면, 분명 좋은 점도 많았지만 앞으로의 한국영화산업의 발전에는 독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독과점으로 인해 소규모의 영화산업은 나날이 어려워지고 폐업하는 경우가 많으며, 상업적 영화보다는 다양한 장르에서 여러 영화들이 출품되어야하는 데 이 또한 이루기 힘든 현실이 되고 있다. 또한 영화발전을 위해 중점을 두고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당장의 이익이 우선이 되어 자기업의 이득만 챙기는 현실이다. 이는 중요한 부분으로 경제적인 것에만 치우쳐 다른 것들을 살피지 못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과도 비슷하다. 이처럼 영화 산업계는 한국의 사회적 상황과도 연관성이 많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영화산업이 이끌어오는 막대한 영향력을 생각한다면 지금부터라도 해결방안 위해 힘쓰고 노력해야할 것이다.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서는 관객들의 관심, 사회적인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관심을 시작으로 점차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양성을 소홀히 하지 말고, 소규모 제작이나 투자자들에 대한 기회를 늘려, 많은 영화인들이 자신만의 영화를 만들어 나갈 수 있길 바란다. 지금 현실에서 겪는 급속한 성장보다는 이런 것들이 시간 소비가 더 많이 될 것이다. 하지만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 나간다면 앞으로의 한국영화산업의 발전은 물론 한국영화는 세계적으로 나아갈 것이라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도영(2005). 한국영화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한국 영화시장 의 규모와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Korean film exports. 석사논문-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승현·송현주·정완규(2011). 한국영화의 흥행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2009~2010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1권 4호.
배상준(2012). 한국영화의 독과점과 인력양성의 문제. 인문콘텐츠 제 27호.
원승환(2013). 한국 영화산업의 성장전략, 독(毒)이 되어 돌아오다-독과점 시장이 되어버린 한국 영화시장. 플랫폼, 제41호.
‘설국열차’ 프랑스 300개 스크린 개봉, 韓 영화 최대 규모, 뉴스엔 이소담 기자,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310291330559610
(2013. 12.02 검색)
한국영화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1104&cid=200000000&categoryId=200003538 (2013.12.01 검색)
한국영화 죽겠다고? 스크린쿼터의 아이러니한 결말, OSEN 최나영 기자
http://osen.mt.co.kr/article/G1109551632 (2013.12.2 검색)
한국영화 정책과 산업-한국 영화 산업과 대기업 -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5290&cid=3873&categoryId=3883
(2013.12.02 검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