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생활지도 및 상담 - 문제 행동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생활지도 및 상담 - 문제 행동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상 아동 소개

2. 행동 특성

3. 문제 행동

4. 문제 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방식

5. 예측되는 문제 행동의 원인

6. 문제 행동에 대한 대처방안

7. 예비교사로서의 대처방법

8. 느낀 점

9.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음식 재료도 조리법을 변경하여 모양과 색깔, 맛을 자주 바꿔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끔씩 별식을 만들어 식욕에 변화를 주도록 한다.
⑭ 바람직한 간식제공하기
아이들이 부담을 느낄 정도로 한 끼에 너무 많은 양의 음식을 먹이기보다는 식사를 일정한 시간에 하고 간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유아시기에는 오전과 오후 2회, 아동기에는 1회가 바람직하며 다음 식사까지 2시간 정도의 간격을 두어 다음 식사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⑮ 스스로 먹도록 격려해주기
아이가 음식을 흘리거나 느리게 먹더라도 먹여주지 말고 혼자 끝까지 먹도록 해야 한다. 또한 혼자 먹기 힘들어 하는 경우, 아이 손을 잡고 먹여주다 점차 스스로 하도록 한다.
식사준비에 참여시키기
엄마가 요리할 때 아이도 요리에 참여하고 식사준비에 참여시킴으로써 먹는 것에 관심을 유도한다. 아이는 정성껏 함께 준비한 음식을 맛있게 먹게 된다.
식사시간에 집중을 못하는 행동
① 식사시간에는 TV를 끄고, 식사 전에 반드시 화장실에 다녀오도록 한다. 식사 전 후로는 감사 인사를 하게하며, 식사 중에 놀기 위해 자리를 뜨면 바로 밥상을 치워 제 시간에 밥을 먹어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준다.
편식하는 아이를 위한 지침
① 음식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준다.
② 음식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시간을 충분히 제공한다.
③ 또래 친구들을 자주 초대하여 함께 밥을 먹도록 한다.
④ 식사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예쁜 그릇을 이용한다.
뭘 사준다거나 다른 음식에 숨겨서 먹이면 버릇이 더 나빠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니 주의한다.
⑥ 좋아하는 것만 먹게 하면 새로운 음식을 접하기 더욱 힘들어진다.
⑦ 안 먹는 음식은 놀이를 통해 즐거운 분위기에서 먹어볼 수 있도록 한다.
7. 예비교사로서의 대처방법
편식을 하거나 밥을 잘 먹지 않는 아이들은 가정과 연계하여 지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실습과 국가근로를 하면서 편식을 하는 아이들을 많이 봤었는데 교사가 아무리 아이들이 잘 먹을 수 있도록 노력해도 쉽게 개선되지 않는 것을 느꼈다.
따라서 내가 교사가 된다면 부모가 아무리 자신의 아이는 억지로 먹이는 것을 원치 않아도 부모 상담을 통해서 부모가 아이의 건강을 위해 아이의 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게 도울 것이고, 가정통신문에 아이들의 편식에 도움이 되는 방법들을 자주 알려드림으로써 부모와 함께 협조하여 아이의 바른 식사습관 형성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교사가 될 것이다.
또한 채소를 좋아하지 않는 아이들이 많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아이들과 채소 프로젝트 수업을 함께 계획하여 진행해보고 싶다. 몇 주간의 채소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농산물을 재배하는 곳도 직접 방문하여 채소를 접해보면서 자연스럽게 채소에 대한 거부감이 사라지고 친근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한 자신만의 채소를 직접 심어보고 키워보면서 채소와 한층 더 친해질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 이다.
그리고 유치원에 교육봉사를 나갔을 때 아이들과 함께 둘러 앉아 밥을 먹은 적이 있는데 너무 좋은 방법인 것 같아서 교사가 된다면 모둠별로 돌아가면서 아이들과 함께 밥을 먹고 싶다. 아이들과 함께 밥을 먹으면서 아이들의 식사습관에 관심을 많이 기울여 아이들이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을 파악하여 그 음식과 친해질 수 있도록 가정과 연계하여 노력할 것이다. 또한 아이들이 잘 먹는다면 칭찬도 많이 해주어 아이들이 더 잘 먹을 수 있도록 강화해줄 것 이고, 좋아하지 않는 음식이 있다면 조금씩 먹어보고 접해볼 수 있도록 가까이에서 격려해주고 도움을 주고 싶다. 또한 아이들과 둘러앉아 먹으면서 아이들에게 바른 식사습관과 식사예절의 모델링이 되어주어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보고 배울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8. 느낀 점
문제행동을 하는 아이와 관련된 과제를 하게 되면서 내가 접해보았던 아이 중에 어떤 문제행동을 가진 아이를 접했을 때 가장 힘들었는지를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나는 편식을 하는 아이를 접했을 때 아이를 일일이 먹여주어야 하는 것이 너무 힘들었고, 먹여주어도 입에서 씹지 않고 삼키지를 않는 아이들을 보면서 편식이라는 문제행동을 자세히 알고 싶은 마음에 편식을 하는 아이를 대상으로 과제를 하게 되었다.
과제를 하기 전에는 그저 점심시간에 잘 먹지 않는 아이들을 다 먹을 수 있도록 먹여주면 된다는 생각 뿐 이였고, 아이들이 어떻게 하면 편식을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하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 편식을 하는 원인과 여러 가지 대처방법이 많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그 중 자신감 길러주기라는 방법으로 아이들이 식사를 하기 전에 “나는 김치도 먹을 수 있다!” 와 같은 구호를 외치게 하여 싫어하는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자신감을 길러주는 대처방법이 일상생활에서도 활용하기 쉽고 재미있는 방법인 것 같아 교사가 되었을 때 꼭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처럼 교사나 부모가 되었을 때 여러 가지 대처방법들을 활용하여 아이의 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고, 아이들의 편식이 심해지기 전에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 같아 유능한 교사가 되기 위해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아 뿌듯한 마음이 든다.
또한 “문제 부모는 있어도 문제 아이는 없다“라는 말처럼 아이들의 편식은 가정에서 어떤 영향을 받느냐가 정말 중요한 것 같다. 따라서 교사가 된다면 가정에서 아이의 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부모와 함께 노력하는 교사가 되어 아이들의 마음뿐만 아니라 신체적으로 건강한 아이들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교사가 되고 싶다.
참고문헌
『유아생활지도』 장선철정현숙. 태영출판사 2016. P. 275~276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SBS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제작팀.
영진 닷컴, SBS 프로덕션. 2007. P. 114~134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시즌 2』 SBS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제작팀.
영진 닷컴, SBS 프로덕션. 2008. P. 130~138
『아동건강교육』 김숙이손수민고선옥신리행. 정민사. 2014. P. 143~145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3.03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50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