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역사적 교육의 변천과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역사적 교육의 변천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삼국시대의 교육

2.고구려의 교육

3.백제의 교육

4.신라의 교육

5.고려시대의 교육

6.조선시대의 교육

7.실학

8.근대의 교육(개화기의 교육제도)

9.일본 식민지 통치 시대 교육

10.현대의 교육

본문내용

이념은 홍익인간을 토대로 한다.
(삼국유사, 자주인, 도덕인, 생산인, 평화인을 추구)
②교육목적은 도덕인의 양성에 둔다.
(과거의 교육이 경전교육, 과거 제도 발달의 영향으로 현재까지 내려옴)
③교육제도는 단선형 학제를 원칙으로 한다.
(교육의 기회균등, 교육 대중화, 교육내용의 차가 없음)
④교육방법은 개별교수를 원칙으로 한다.
⑤교육원리는 아동 중심의 자발성 원리를 토대로 한다.
⑥교육과정은 경험중심주의 교육과정을 금한다.
⑦교육관은 발달적 교육관을 지향한다.
(전인양성에 역점, 교육목적 성취에 역점)
⑧교육 평등성 이념 고취, 열린교육(교사는 안내자 역할) 추구
해방 이후 우리나라 교육의 변천과정
미군정시대의 교육(1945-1948)
①진보주의 교육운동의 영향받음
교육의 기본 틀을 마련한 시기로 7大 교육기본 방침을 설정하였다.
②최초 한글 교과서 『한글 첫걸음』을 편찬하였다.
실용주의 철학, 경험론적 사상, 생활자체를 말함
교육의 내재적 기능, 본질적 가치 추구
7대 교육기본 방침
㉠교육이념(홍익인간)
㉡교육지도(국가가 자발권을 가지면서)
㉢교육방법(개별교수)
㉣교육행정(민주주의 이념 고취한 행정, 공교육 체제)
㉤학습지도(자발성, 아동중심)
㉥의무교육
㉦교육기회 균등성 고취
정부 수립기의 교육(1948-1953)
1949 - 교육법 제정 공포
1950 - 의무교육 공포 실시 → 의무교육의 주체는 국가나 지방 자치단체
아동의 취학의무 - 친권자나 후견인이 쥔다.
친권자나 후견인이 없을 경우 부모가 쥔다.
의무교육비를 부담하는 법 : 지방교육재정 교부금법
1952 - 교육 자치제 실시(시,군 단위)
1차 교육과정 시기(1954-1963)
①전인교육 실시를 지향하였다.
도덕적 인간, 개성이 뚜렷한 자유민주시민, 공민적 자질을 배양한..
②지역사회 학교 운동을 전개하였다.(56년)
③산학 협동 교육체제를 추진하였다.(53-54년)
④향토 학교 운동을 전개하였다.(62년) → 해방이후 지역사회학교운동
⑤교육과정의 생활화를 추구하였다.(54년)
⑥교과서의 개편과 올바른 교육방법 실시를 추구하였다.(54년)
⑦국민교육 헌장의 발표, 새마을 교육, 유신교육 활동을 중시하였다.
교과과정특징
-정식으로 성립되어 교과 교육 중심으로 내적 체재가 조직되었다.
-생활중심의 단원 학습제를 도입하였다
교육사적특징
-우리가 만든 최초의 교육과정
-교과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 각 학교의 교과목, 기타 교육활동의 편제
-지적체계(知的體系) 중심, 생활중심 교육과정 개념 침투
-도의(道義) 교육 강조
-교과활동 + 특별활동
23차 교육과정시기(60-70년대 교육)
2차 교육과정(1963년 시행)- 경험중심 교육과정, 열린교육, 아동중심의 교육, 자발성원리의 교육, 시도 단위의 교육 자치제 실 시, 진보주의 교육이론이 본격 적용, 발달적 교2차교육과정특징
-생활 및 경험을 강조한 교육 내용이 내적 체재의 기간(基幹) 개념으로 반영
-교과중심, 지식 중심으로 입시교육의 부작용 생김
-학부모 의식 - 교과중심적 타성으로 생활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애로
교육사적특징
-생활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 학생들이 학교의 지도하에 경험하는 모든 학습활동의 총화
-경험중시, 자주성, 생산성, 유용성, 합리성, 지역성 강조
-교과활동 + 반공, 도덕생활 + 특별활동
3차 교육과정(1973년 시행) - 탐구정신 교육과정, 발전교육이론
3차 교육과정특징
-국민교육헌장이념구현
-국민적 자질함양 : 민족주체 의식 고양, 민족문화의 창조, 개인의 발전과 국가융성과의 조화
-인간교육 강화, 가치관 교육의 강화, 비인간화 환경 극복, 근면, 협동성 함양
-지식, 기술 교육 쇄신, 기본능력의 배영, 기본개념의 파악, 판단력, 창의력 함양 산학협동 교육의 강화
-학문중심, 민족주체 의식배양을 중시, 1979학년도 연구개발교과서가 발행
교육사적특징
-학문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 : 지식의 구조, 기본 개념과 원리 중시
-자발적 탐구를 통한 지식의 이해
-국민교육헌장(國民敎育憲章)이념 구현
-도덕과 신설, 교과활동 + 특별활동
4차 교육과정 시기(1980- )
교육과정특징
-고도 산업 사회에의 적응과 통일지향 등 미래사회에의 대응력 개발을 중시
교육사적특징
-인간중심 교육과정(학문, 경험주의 공존)
-교과, 경험, 학문, 인간중심의 조화
-개인적, 사회적, 학문적 적합성의 조화
-국민정신교육, 전인교육, 과학기술교육 강조
-통합 교과서에 의한 교과의 통합적 운영(국교 1,2학년)
-교과활동 + 특별활동
5.6차 통합 교육과정시기(1989- )
①시도 광역 단위의 교육 자치제를 실시하였다.(1991년)
②5.6차 통합교육과정을 실시하였다. (학문중심교육과정의 반동으로 나타남)
탐구학습 강조, 학습자의 창의성 고취 역점
인간성 : 전인, 창조인, 자주인, 도덕인, 건강인
③국제화, 개방화, 세계화 추구를 위한 교육을 전개하였다.
④창조적, 도덕적 한국인의 육성에 역점을 두었다.
⑤21C를 대비한 대 교육개혁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세계화를 위한 신교육의 비전
5차 교육사적 특징
-통합적 교육과정 (개정의 특징)
-교과, 경험, 학문, 인간중심의 조화(단일사조 지양)
-통합교육과정 제정(국교 1,2학년)
-기초교육, 미래사회 대비교육, 교육과정 운영의 효율성 강조
-다양한 교육과정 자료 개발 보급
-교과활동 + 특별활동
6차 교육사적 특징
-학교 교육과정
-추구하는 인간상 : 건강한 인간, 자주적 인간, 창의적 인간, 도덕적 인간
▣신교육 체제의 기본 특징
①학습자 중심교육으로의 전환
②교육의 다양화
③규제와 통제 중심의 교육운영으로부터 벗어나 자율과 책무성에 바탕을 둔 개별학교 중심의 학교운영으로 전환된다.
④자유와 평둥의 조화된 교육체제를 이룬다.
⑤21C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의 정보화, 첨단화를 구축, 열린교육 실시
⑥엄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와 이에 따른 지원 등 높은 교육을 추구하는 체제이다.
⑦열린교육, 개방된 교육, 자유방임적 교육, 학습자 중심의 교육, 개인의 적성 발휘
무한한 잠재력 발휘, 교육과정 운영에 자율성 고취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올바른 교육을 위한 행정지원체제가 되었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9.03.03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50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