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적인 미국의 교육문제점을 해소하고 전체 교육경쟁력을 제고하고 있다. 이러한 NCLB의 4대원리는 책무성의 원리, 자율성의 원리, 방법론의 원리, 선택권의 원리이다. 청소년개발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청소년의 능력을 개발하여 그들이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청소년들의 잠재 역량 개발을 도와줌으로써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도전에 직면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을 강조한다.
● Boys and Girls Club(BGCA)
Boys and Girls Club은 미국의 모든 50개주 및 푸에르토리코, 버진 군도 및 전 세 계 미군 내 설치된 미국의 대표적인 청소년활동시설로 청소년의 학습과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과 장소를 제공하며 방과 후 청소년들을 돌볼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청소년들은 Boys and Girls Club 활동을 통해 생활향상 프로그램 등을 체험할 수 있다. Boys and Girls Club은 미 헌장을 수상하고 재정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기관으로 미 정부로부터 관련 부분을 수상하는 등 미국 비영리 청소년단체 중 17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Boys and Girls Club Nearly은 미국 전역에 4,000 chartered Club을 운영하고 있으며 50,000명의 전문 지도자를 확보하고 있다. Boys and Girls Club의 주 활동대상 연령은 13 ~ 18세이지만 프로그램에 따라 기본적인 대상은 6 ~ 18세이다. 또한 미국 원주민 출신 및 소수가정 출신의 청소년에 대한 운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미국캠핑협회(ACA)
미국캠핑협회(ACA)는 1910년에 설립되었으며 캠프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청소년들에 게 다양한 캠핑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민간 시설이다. 미국캠핑협회는 캠프 커뮤니티를 위해 안전한 청소년 육성 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적절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미국 전역에 80여개의 ACA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 YMCA(기독교청년회)
YMCA는 1844년 설립된 기독교청년회로 젊은이들의 정신적.영적 상태의 개선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전 세계 120여 개국 1만여 개의 YMCA가 있으며 청소년의 인격과 지도력 훈련교육 및 청소년 문화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지역의 YMCA가 청소년활동시설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중 뉴욕시티에는 27개의 YMCA가 있다. 뉴욕시티의 YMCA는 젊은 사람들(Young people)을 격려하고 학업 성적의 지원 및 자부심을 구축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며 안전하게 생산 활동을 할 수 있는 방과 후 장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② 캐나다
캐나다는 영어권과 불어권으로 나누어진 10개 주정부의 연합국가 체계이다. 연방정 부 차원의 청소년정책을 각 주정부에서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특기할 만한 청 소년정책으로는 범국가적 아동청소년친화도시 구축 정책이 있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아동청소년의 지역사회 발전 기여와 쾌적한 환경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원주민청소년의 도심지역 정착을 돕기 위해 조직된 도심원주민청소년협회에서는 밴쿠버에 원주민청소년센터 건립을 추진 중에 있다.
③ 중남미 국가
대부분의 중남미 국가는 절대적 빈곤 및 상습적인 폭력사태로 인해 청소년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체계를 갖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베네수엘라의 청소년음악 프로그램인 엘시스테마는 국제적인 성공사례로 모범이 되고 있다. 최근 엘살바도르는 국가치안위원회(CNSP)를 국가청소년위원회(CONJUVE/Consejo National de Juventud)로 재조직하여 체계적인 취약청소년 지원사업을 하고 있으며 한국 KOICA의 지원을 받고 있다. 엘살바도르의 청소년정책은 다음과 같다.
● 교육부 추진 Flexible 프로그램
Flexible 프로그램은 중퇴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지원하고 있 으며 중퇴생들이 복학을 신청하면, 교재를 제공하고 토요일을 이용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본인이 희망할시 고등학교 학제까지 마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있다.
● 학교 폭력 방지 및 예방 프로그램
2007년 EU의 지원으로 교육부와 국가치안위원회 지원 프로그램이며 방학 중 프로 그램으로서 산살바도르주 24개 도시의 350개 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방학 중 학교의 교육 및 보호를 받지 못해 폭력집단에 가담하거나 폭력의 유혹에 빠지 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4개 분야의 교사 20~30명이 자원봉사로 활동을 지원하며(체육, 예술, 사회복지, 과학), 경찰, 체육원, 지역단체와 협력하여 진행하고 있다.
● 청소년 범죄, 폭력 예방을 위한 3단계 정책
① 교육을 받지 못하는 아동청소년들을 위한 프로그램 진행
② 범죄의 위험에 노출된 아동청소년들의 지원 프로그램 진행
③ 범죄단체에 가담한 경험이 있는 아동청소년의 사회복귀 프로그램 진행
9. 청소년 수련시설에 대한 활성화 방안
1) 외국 청소년시설을 시사점으로하여 양적확보 측면과 국립청소년시설에 대한 국가예산의 우선배정, 국가 청소년 정책에서 청소년 프로그램의 의무 또는 자발적 참여의 제도화, 다양한 형태의 청소년 시설 운영, 전국에 있는 국립청소년시설을 통한 청소년 정보망의 구축 등 운영활성화의 시사점으로 도출한다.
2) 운영측면에 있어서 국립청소년 수련시설에서 청소년 수련활동을 주가 아닌 특성화시설에 따른 활동이 주가 되는 국립수련시설이 필요한 것인지 논의를 해야 한다.
3)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에서 조직을 직접 통합 운영함으로써 조직 인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대신에 현장의 활동운영부 인원을 추가함으로써 인건비에 대한 부담과 업무과정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4) 청소년들이 보다 더 원할한 청소년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국립청소년시설의 확충이나 민간청소년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대책 등 정책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5) 기존 시설에 대해 시설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한 리모델링과 노후시설 및 기자재의 교체와 안전성에 대하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의 지속적인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
● Boys and Girls Club(BGCA)
Boys and Girls Club은 미국의 모든 50개주 및 푸에르토리코, 버진 군도 및 전 세 계 미군 내 설치된 미국의 대표적인 청소년활동시설로 청소년의 학습과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과 장소를 제공하며 방과 후 청소년들을 돌볼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청소년들은 Boys and Girls Club 활동을 통해 생활향상 프로그램 등을 체험할 수 있다. Boys and Girls Club은 미 헌장을 수상하고 재정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기관으로 미 정부로부터 관련 부분을 수상하는 등 미국 비영리 청소년단체 중 17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Boys and Girls Club Nearly은 미국 전역에 4,000 chartered Club을 운영하고 있으며 50,000명의 전문 지도자를 확보하고 있다. Boys and Girls Club의 주 활동대상 연령은 13 ~ 18세이지만 프로그램에 따라 기본적인 대상은 6 ~ 18세이다. 또한 미국 원주민 출신 및 소수가정 출신의 청소년에 대한 운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미국캠핑협회(ACA)
미국캠핑협회(ACA)는 1910년에 설립되었으며 캠프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청소년들에 게 다양한 캠핑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민간 시설이다. 미국캠핑협회는 캠프 커뮤니티를 위해 안전한 청소년 육성 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적절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미국 전역에 80여개의 ACA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 YMCA(기독교청년회)
YMCA는 1844년 설립된 기독교청년회로 젊은이들의 정신적.영적 상태의 개선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전 세계 120여 개국 1만여 개의 YMCA가 있으며 청소년의 인격과 지도력 훈련교육 및 청소년 문화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지역의 YMCA가 청소년활동시설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중 뉴욕시티에는 27개의 YMCA가 있다. 뉴욕시티의 YMCA는 젊은 사람들(Young people)을 격려하고 학업 성적의 지원 및 자부심을 구축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며 안전하게 생산 활동을 할 수 있는 방과 후 장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② 캐나다
캐나다는 영어권과 불어권으로 나누어진 10개 주정부의 연합국가 체계이다. 연방정 부 차원의 청소년정책을 각 주정부에서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특기할 만한 청 소년정책으로는 범국가적 아동청소년친화도시 구축 정책이 있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아동청소년의 지역사회 발전 기여와 쾌적한 환경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원주민청소년의 도심지역 정착을 돕기 위해 조직된 도심원주민청소년협회에서는 밴쿠버에 원주민청소년센터 건립을 추진 중에 있다.
③ 중남미 국가
대부분의 중남미 국가는 절대적 빈곤 및 상습적인 폭력사태로 인해 청소년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체계를 갖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베네수엘라의 청소년음악 프로그램인 엘시스테마는 국제적인 성공사례로 모범이 되고 있다. 최근 엘살바도르는 국가치안위원회(CNSP)를 국가청소년위원회(CONJUVE/Consejo National de Juventud)로 재조직하여 체계적인 취약청소년 지원사업을 하고 있으며 한국 KOICA의 지원을 받고 있다. 엘살바도르의 청소년정책은 다음과 같다.
● 교육부 추진 Flexible 프로그램
Flexible 프로그램은 중퇴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지원하고 있 으며 중퇴생들이 복학을 신청하면, 교재를 제공하고 토요일을 이용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본인이 희망할시 고등학교 학제까지 마칠 수 있도록 지원 하고 있다.
● 학교 폭력 방지 및 예방 프로그램
2007년 EU의 지원으로 교육부와 국가치안위원회 지원 프로그램이며 방학 중 프로 그램으로서 산살바도르주 24개 도시의 350개 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방학 중 학교의 교육 및 보호를 받지 못해 폭력집단에 가담하거나 폭력의 유혹에 빠지 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4개 분야의 교사 20~30명이 자원봉사로 활동을 지원하며(체육, 예술, 사회복지, 과학), 경찰, 체육원, 지역단체와 협력하여 진행하고 있다.
● 청소년 범죄, 폭력 예방을 위한 3단계 정책
① 교육을 받지 못하는 아동청소년들을 위한 프로그램 진행
② 범죄의 위험에 노출된 아동청소년들의 지원 프로그램 진행
③ 범죄단체에 가담한 경험이 있는 아동청소년의 사회복귀 프로그램 진행
9. 청소년 수련시설에 대한 활성화 방안
1) 외국 청소년시설을 시사점으로하여 양적확보 측면과 국립청소년시설에 대한 국가예산의 우선배정, 국가 청소년 정책에서 청소년 프로그램의 의무 또는 자발적 참여의 제도화, 다양한 형태의 청소년 시설 운영, 전국에 있는 국립청소년시설을 통한 청소년 정보망의 구축 등 운영활성화의 시사점으로 도출한다.
2) 운영측면에 있어서 국립청소년 수련시설에서 청소년 수련활동을 주가 아닌 특성화시설에 따른 활동이 주가 되는 국립수련시설이 필요한 것인지 논의를 해야 한다.
3)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에서 조직을 직접 통합 운영함으로써 조직 인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대신에 현장의 활동운영부 인원을 추가함으로써 인건비에 대한 부담과 업무과정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4) 청소년들이 보다 더 원할한 청소년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국립청소년시설의 확충이나 민간청소년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대책 등 정책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5) 기존 시설에 대해 시설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한 리모델링과 노후시설 및 기자재의 교체와 안전성에 대하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의 지속적인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
추천자료
[청소년수련활동][사회복지정책][청소년수련시설][청소년수련시설 친환경적 건축 방안]청소년...
청소년수련시설의 개요와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수련시설의 개요, 필요성, 기본원리,...
[청소년수련시설][청소년수련시설의 현황][청소년수련시설의 활용방법]청소년수련시설의 개념...
[A+평가 레포트]우리나라 청소년수련시설 현황과 활성화 방안
[청소년수련시설 (靑少年修練施設)] 청소년수련시설의 개념과 종류, 필요성과 기능 및 역할 &...
우리나라 청소년수련시설에서 행해지는 프로그램을 찾아 분류하고 해당 내용에 대한 자신의 ...
최근 여성가족부의 대규모 주택단지 청소년수련시설 의무화 폐지 논란이 있었는데 여가부의 ...
청소년수련시설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조사
한국청소년수련시설개요 현황 및 개선방안 분석
청소년수련시설의 유형을 알아보고 요즘 청소년수련활동의 참여가 저조한 청소년수련관(자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