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소년 학업상담
I. 학업상담의 실제
II. 학업상담의 위한 학습전략 프로그램
1. 전략적 교육과정
2. 전략적 훈련절차
3. 전략적 환경
* 참고문헌
I. 학업상담의 실제
II. 학업상담의 위한 학습전략 프로그램
1. 전략적 교육과정
2. 전략적 훈련절차
3. 전략적 환경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계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오리엔테이션 : 학생들이 전략을 적용할 수 있는 상황을 인식하게 한다.
- 활성화 : 학생들이 전략을 적용하도록 격려하고 그 결과를 점검해 본다.
- 수정 : 전략을 적용해 보고 새로운 상황의 요구에 맞추어 전략을 수정하도록 한다.
- 유지 : 다양한 상황(가정과 학교) 등에서 전략을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표적인 전략적 교수활동은 다음과 갈다.
- 선행조직자와 정리 활용
- 원리에 대한 토론
- 예상되는 것에 대한 토론
- 이해한 것에 대해 재검토하고 점점
- 독립적이고 자기 주도적 학습의 조장
- 밀도 있는 훈련과정
- 훈련 진행 상황 정정
- 피드백 제공
- 완전학습
내용 강화 단계는 무슨 내용을 가르칠 것인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의미 있는 방법으로 전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된다. 내용 강화 단계는 학생들이 조직하고, 이해하고, 기억해 낼 수 있는 방법으로 학습내용을 제시하기 위하여 계획과 절차를 작성한 것이다. 내용 강화 단계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둘째, 추상적인 개념들이 구체적인 형태로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정보가 적절히 조직되어 제시되어야 한다.
넷째, 정보와 정보간의 관계가 분명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구별해야 한다.
(3) 전략적 환경
학습전략 훈련 모델은 전략적 학습 환경을 촉진하기 위하여 학습지원을 위한 협력관계 구성기법, 관리기법, 평가기법, 발달기법 등을 포함한다. 협력관계 구성기법은 학습문제해결을 위하여 교사, 학부모, 학생, 카운슬러가 협력관계를 구성할 수 있도록 조직하는 것이다. 관리기법은 학생의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 시간관리, 학습 자료 관리, 전문가의 조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법이다.
평가기법은 내담자에 대한 체계적인 피드백을 하기 위한 것이며, 발달기법은 내담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후 여러 가지 전략을 체계적으로 구안하고 발달시키는 것이다.
상담자는 학습자들에게 학습전략을 가르치기 위해서 먼저 학생의 현 수준을 진단하고, 학생들이 전략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위기와 조건을 조성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각각의 전략을 설명하고 시범보이고 훈련자의 지도하에 연습을 하도록 하며, 그 결과에 대한 형성평가를 하고 다른 상황에 일반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오리엔테이션 : 학생들이 전략을 적용할 수 있는 상황을 인식하게 한다.
- 활성화 : 학생들이 전략을 적용하도록 격려하고 그 결과를 점검해 본다.
- 수정 : 전략을 적용해 보고 새로운 상황의 요구에 맞추어 전략을 수정하도록 한다.
- 유지 : 다양한 상황(가정과 학교) 등에서 전략을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표적인 전략적 교수활동은 다음과 갈다.
- 선행조직자와 정리 활용
- 원리에 대한 토론
- 예상되는 것에 대한 토론
- 이해한 것에 대해 재검토하고 점점
- 독립적이고 자기 주도적 학습의 조장
- 밀도 있는 훈련과정
- 훈련 진행 상황 정정
- 피드백 제공
- 완전학습
내용 강화 단계는 무슨 내용을 가르칠 것인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의미 있는 방법으로 전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된다. 내용 강화 단계는 학생들이 조직하고, 이해하고, 기억해 낼 수 있는 방법으로 학습내용을 제시하기 위하여 계획과 절차를 작성한 것이다. 내용 강화 단계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둘째, 추상적인 개념들이 구체적인 형태로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정보가 적절히 조직되어 제시되어야 한다.
넷째, 정보와 정보간의 관계가 분명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구별해야 한다.
(3) 전략적 환경
학습전략 훈련 모델은 전략적 학습 환경을 촉진하기 위하여 학습지원을 위한 협력관계 구성기법, 관리기법, 평가기법, 발달기법 등을 포함한다. 협력관계 구성기법은 학습문제해결을 위하여 교사, 학부모, 학생, 카운슬러가 협력관계를 구성할 수 있도록 조직하는 것이다. 관리기법은 학생의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 시간관리, 학습 자료 관리, 전문가의 조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법이다.
평가기법은 내담자에 대한 체계적인 피드백을 하기 위한 것이며, 발달기법은 내담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후 여러 가지 전략을 체계적으로 구안하고 발달시키는 것이다.
상담자는 학습자들에게 학습전략을 가르치기 위해서 먼저 학생의 현 수준을 진단하고, 학생들이 전략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위기와 조건을 조성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각각의 전략을 설명하고 시범보이고 훈련자의 지도하에 연습을 하도록 하며, 그 결과에 대한 형성평가를 하고 다른 상황에 일반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