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목적 및 이론적 배경
Ⅱ. 기본과제 및 준비 시 고려 사항
Ⅲ.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및 적용
Ⅳ. 프로그램의 실시: 예시
*주요 참고 문헌*
Ⅱ. 기본과제 및 준비 시 고려 사항
Ⅲ.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및 적용
Ⅳ. 프로그램의 실시: 예시
*주요 참고 문헌*
본문내용
5 : 00
: 15 : 15
: 30 : 30
: 45 : 45
6 : 00 6 : 00
: 15 : 15
: 30 : 30
: 45 : 45
7 : 00 7 : 00
: 15 : 15
: 30 : 30
: 45 : 45
8 : 00 8 : 00
: 15 : 15
: 30 : 30
: 45 : 45
9 : 00 9 : 00
: 15 : 15
: 30 : 30
: 45 : 45
10: 00 10: 00
: 15 : 15
: 30 : 30
: 45 : 45
11: 00 11: 00
: 15 : 15
: 30 : 30
: 45 : 45
12: 00 12: 00
3. 학습전략: SQ2RDER
훑어보기(survey)
↓
의문제기(question)
↓
답을 찾으며 읽기(read)
↓
외어두기(recite)
↓
되새기기(digest)
↓
활용하기(expand)
↓
마무리하기(review)
가. 훑어보기(survey)
공부할 내용을 상세히 살펴보기 전에 전반적인 구성과 중심 개념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는 단계
효과
1) 학습량과 소요시간을 파악
2) 학습 계획표를 작성하는 데 도움
3) 이해하기가 다소 수월
4) 중요한 부분에 주의를 집중
방법
1) 한 두 단원을 개관할 때
(가) 장의 제목
(나) 소제목
(다) 그림, 도표
(라) 소제목 밑의 문장 몇 줄
(마) 각 단원의 요약 부분
(바) 주요개념( 주로 진한글씨, 이탤릭체)
2) 책 한 권을 전부 개관할 때
(가) 서문(머리말) 읽기
(나) 목차(차례) 읽기
(다) 단원 제목
(라) 단원 요약
(마) 장의 제목
(바) 장의 요약 읽기
(사) 각 장의 소제목 읽기
(아) 각 소제목에 해당되는 그림과 도표 읽기
(자) 중심 개념을 찾아본다
참고 문헌
김동일, 박경애, 김택호(1995). 청소년 시간, 정신 에너지 관리 훈련프로그램. 서울: 청소년대화 의 광장.
김영진(1998). 효율적인 학습상담법. 서울: 양서원.
김형태, 오익수, 김원중, 김동일(1996). 청소년 학업상담. 서울: 청소년대화의 광장.
서병완(1998) 학습습관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대학생생활연구, 제6호, 59-84, 한양대학 교 학생생활연구소.
서울대 교육학과 상담연구실(1996). 학습전략훈련프로그램. 서울: 저자.
이장호, 김정희(1992).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법문사.
이종목, 오익수(1984) 성취동기 육성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실시효과, 학생생활연구, 29-58, 전남 대 학생생활연구소.
이형득(1995).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이혜성(1988) 잠재력 개발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대학생활연구, 제6집, 41-58,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홍경자, 김태호, 남상인, 오익수(1996). 청소년 집단상담. 서울: 청소년대화의 광장.
Baker, L., & Brown, A. (1984). Metacognitive skills of reading. In D. P. Pearson (Ed.), Handbook of research in reading, New York: Longman.
Deshler, D. & Schumaker, J. (1988). An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ing students how to learn. In J. Graden, J. Zine, & M. Curtis(Eds.), Alternative educational delivery systems: Enhancing instructional options for all students (pp. 391-411).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Psychologists.
Fravell, J. H. (1976). Metacognitive aspects of problem solving. In L. B. Resnick (Ed.), The nature of intelligence. Hillsdalee, NJ: Erlbaum.
Idol, L, & Croll, V. (1987). Story-mapping training as a means of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Disability Quarterly, 10, 214-229.
Lenz, B., Schumaker, J, & Deshler, D., & Beals, V. (1984). Leading strategies curriculum: The word identification strategy. Lawrence: The University of Kansas.
Palincsar, A. & Brown, A. (1986). Interactive teaching to promote independent learning from text. Reading Teacher, 39(8), 771-777.
Palincsar, A. & Brown, A. (1988). Teaching and practicing thinking skills to promote comprehension in the context of group problom solving.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9(1), 53-59.
Rose, M., Cundick, B., & Higbee, K. (1983). Verbal rehearsal and visual imagery: Mnemonic aids for learning-disabled childre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16, 352-354.
Swanson, H. (1989). Strategy instruction: Overview of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effective use. reading Disability Quarterly, 12, 3-12.
Wong, B. (1985). Self-questioning instructional research: A review.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5, 227-268.
: 15 : 15
: 30 : 30
: 45 : 45
6 : 00 6 : 00
: 15 : 15
: 30 : 30
: 45 : 45
7 : 00 7 : 00
: 15 : 15
: 30 : 30
: 45 : 45
8 : 00 8 : 00
: 15 : 15
: 30 : 30
: 45 : 45
9 : 00 9 : 00
: 15 : 15
: 30 : 30
: 45 : 45
10: 00 10: 00
: 15 : 15
: 30 : 30
: 45 : 45
11: 00 11: 00
: 15 : 15
: 30 : 30
: 45 : 45
12: 00 12: 00
3. 학습전략: SQ2RDER
훑어보기(survey)
↓
의문제기(question)
↓
답을 찾으며 읽기(read)
↓
외어두기(recite)
↓
되새기기(digest)
↓
활용하기(expand)
↓
마무리하기(review)
가. 훑어보기(survey)
공부할 내용을 상세히 살펴보기 전에 전반적인 구성과 중심 개념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는 단계
효과
1) 학습량과 소요시간을 파악
2) 학습 계획표를 작성하는 데 도움
3) 이해하기가 다소 수월
4) 중요한 부분에 주의를 집중
방법
1) 한 두 단원을 개관할 때
(가) 장의 제목
(나) 소제목
(다) 그림, 도표
(라) 소제목 밑의 문장 몇 줄
(마) 각 단원의 요약 부분
(바) 주요개념( 주로 진한글씨, 이탤릭체)
2) 책 한 권을 전부 개관할 때
(가) 서문(머리말) 읽기
(나) 목차(차례) 읽기
(다) 단원 제목
(라) 단원 요약
(마) 장의 제목
(바) 장의 요약 읽기
(사) 각 장의 소제목 읽기
(아) 각 소제목에 해당되는 그림과 도표 읽기
(자) 중심 개념을 찾아본다
참고 문헌
김동일, 박경애, 김택호(1995). 청소년 시간, 정신 에너지 관리 훈련프로그램. 서울: 청소년대화 의 광장.
김영진(1998). 효율적인 학습상담법. 서울: 양서원.
김형태, 오익수, 김원중, 김동일(1996). 청소년 학업상담. 서울: 청소년대화의 광장.
서병완(1998) 학습습관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대학생생활연구, 제6호, 59-84, 한양대학 교 학생생활연구소.
서울대 교육학과 상담연구실(1996). 학습전략훈련프로그램. 서울: 저자.
이장호, 김정희(1992).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법문사.
이종목, 오익수(1984) 성취동기 육성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실시효과, 학생생활연구, 29-58, 전남 대 학생생활연구소.
이형득(1995).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이혜성(1988) 잠재력 개발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대학생활연구, 제6집, 41-58,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홍경자, 김태호, 남상인, 오익수(1996). 청소년 집단상담. 서울: 청소년대화의 광장.
Baker, L., & Brown, A. (1984). Metacognitive skills of reading. In D. P. Pearson (Ed.), Handbook of research in reading, New York: Longman.
Deshler, D. & Schumaker, J. (1988). An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ing students how to learn. In J. Graden, J. Zine, & M. Curtis(Eds.), Alternative educational delivery systems: Enhancing instructional options for all students (pp. 391-411).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Psychologists.
Fravell, J. H. (1976). Metacognitive aspects of problem solving. In L. B. Resnick (Ed.), The nature of intelligence. Hillsdalee, NJ: Erlbaum.
Idol, L, & Croll, V. (1987). Story-mapping training as a means of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Disability Quarterly, 10, 214-229.
Lenz, B., Schumaker, J, & Deshler, D., & Beals, V. (1984). Leading strategies curriculum: The word identification strategy. Lawrence: The University of Kansas.
Palincsar, A. & Brown, A. (1986). Interactive teaching to promote independent learning from text. Reading Teacher, 39(8), 771-777.
Palincsar, A. & Brown, A. (1988). Teaching and practicing thinking skills to promote comprehension in the context of group problom solving.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9(1), 53-59.
Rose, M., Cundick, B., & Higbee, K. (1983). Verbal rehearsal and visual imagery: Mnemonic aids for learning-disabled childre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16, 352-354.
Swanson, H. (1989). Strategy instruction: Overview of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effective use. reading Disability Quarterly, 12, 3-12.
Wong, B. (1985). Self-questioning instructional research: A review.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5, 227-268.
추천자료
[★우수레포트★][약물 남용] 약물남용과 청소년복지 - 청소년기 약물남용의 실태, 약물의 종류...
법과 제도상 청소년의 연령 범위를 청소년에 대한 보호와 청소년 인권 측면에서 논하시오.
[사회복지학개론] 빈곤 청소년 정책의 현황과 과제, 빈곤 청소년의 사회 경제적 결과, 규모와...
자아정체감이란 무엇이고, 왜 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의 형성이 중요한지 기술하고, 자신이 청...
[사회조사방법론] 청소년 체험활동 연구제안서 - 청소년 체험활동 : 청소년의 체험활동 실태...
[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 가출 대처방안 - 가출 예방을 위한 사회적 지지 체계의 강화와 가...
[청소년문제와 보호] 청소년의 심리발달 특성에 따른 이해 - 급격한 신체변화, 더욱 빨라진 ...
[청소년심리 공통] 1. 청소년기의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한 가지를 ...
(인간과심리 공통) 당신의 청소년기를 되돌아보고, 청소년기에 가장 힘들었던 점은 무엇이었...
인간과심리)당신의 청소년기를 되돌아보고, 청소년기에 가장 힘들었던 점은 무엇이었는지 기...
인간과 심리]당신의 청소년기를 되돌아보고, 청소년기에 가장 힘들었던 점은 무엇이었는지 기...
오늘날 청소년 비행이 날로 격증하고 있는데 청소년 비행의 원인과 지도 방안에 대해 논해보...
[청소년심리 공통] 자아정체감이란 무엇이며, 왜 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의 형성이 중요한지 ...
현대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문제의 종류와 원인에 대해 열거하고 청소년 문제를 예방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