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분만의 단계 출산에 대한 접근(분만법 출산방법) - 무통분만 제광절개 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출산] 분만의 단계 출산에 대한 접근(분만법 출산방법) - 무통분만 제광절개 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출산

I. 분만의 단계
1. 1단계 : 개구기
2. 2단계 : 출산기
3. 3단계 : 후산기

II. 출산에 대한 접근(분반법 ; 출산방법)
1. 무통분만
2. 제왕절개
3. 라마즈 분만
1) 이완법
2) 연상법
3) 호흡법
4. 폭력 없는 탄생 : 인권분만
5. 수중분만
6. 그네 분만
7. 공 분만

* 참고문헌

본문내용

혹은 가족은 산모의 근육이나 관절을 만져 보아 힘이 들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힘을 빼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2) 연상법
자궁수축으로 인한 진통을 느낄 때 그 통증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일생동안 살면서 경험한 즐겁고 행복했던 일이나 아름다운 장면을 떠올리도록 하여 통증에 대처하는 방법이다. 기분 좋은 일을 머릿속에 그려봄으로써 능동적으로 엔돌핀의 분비를 증가시켜 통증을 감소시키게 된다. 조용한 휴식처, 좋았던 기억, 신혼여행의 추억, 까르르 웃는 아기의 웃음소리 등을 연상함으로써 긴장을 줄이고 고통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 온다. 진통이 오기 시작하면 쉽게 연상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산전에 진통이 없는 상태에서 하루 20분씩 연습하여야 한다.
3) 호흡법
라마즈 분만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흉식호흡을 한다. 흉식호흡은 산소를 체내에 충분히 공급하여 근육이완을 돕고 태아에게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해 준다. 또한 진통 시에 통증에 집중되던 관심을 호흡에 분산시킴으로써 통증을 덜 느끼게 하는 효과가 있다. 산전 분만교실에 참가하여 남편과 함께 이 호흡법을 연습하고 진통 시에 남편이 산모의 호흡을 코치하고 함께 해 주어야 한다. 특히 진통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심호흡을 한 후 여덟이나 열까지 수를 센 후 내및어야 할 때 남편이 그 수를 세어 주며 격려해 주어야 한다.
(4) 폭력 없는 탄생: 인권분만
인권분만은 산모의 고통뿐만 아니라 태아를 배려하는 출산문화를 말한다. 프랑스의 산부인과 의사 Lavoyer가 <폭력 없는 탄생>이라는 저서를 발간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인권분만은 수중분만 혹은 그네분만 등과 같은 방법론의 차원이 아니라 더 상위개념으로서 분만의 철학을 의미한다. 출산 시 공포와 겁에 질린 태아가 최대한 태내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접하도록 함으로써 탄생하는 순간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태아의 인권을 보호하자는 입장이다. 즉, 태아가 태내의 어두운 환경으로부터 강한 불빛 속으로 나오고, 태반으로부터 산소를 공급받다가 자신의 폐로 숨을 쉬어야 하며, 액체 속에 있다가 공기 중으로 나오게 된다. 이러한 엄청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어둡고 따뜻하며 조용한 방에서 분만하도록 하고, 즉시 탯줄을 자르지 말고 아기를 어머니의 배 위에 5분 정도 뉘어 두었다가 탯줄을 자르며, 또한 양수와 비슷한 환경인 따뜻한 물 속에 넣어 주고 마사지해 주어 새로운 세계에 적응하도록 도와야 한다.
(5) 수중분만
수중분만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고대 크레타 문명의 미노스 인들이 바닷물이 낮게 고인 웅덩이에서 분만을 한 기록이 있으며, 이집트 전설에 수중분만으로 태어난 아이는 후에 제사장이나 성직자가 된다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현대에 와서는 1960년대 러시아의 과학자 이고르 샤르코프스키가 자신의 딸을 물 속에서 받았고, 1970년 영국의 의사 미셜 오덴트가 의학 잡지에 수중분만 시 진통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는 논문을 발표하면서 세계적 이목을 끌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뮤지컬 배우 최정원 씨가 수중분만을 하고 그 동영상이 TV에 방영되고 책으로도 출간됨으로써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수중분만은 말 그대로 물 속에서 아기를 낳는 것을 말한다. 진통에서 분만까지 모든 과정을 물 속에서 할 수도 있고, 진통은 물 속에서 하다가 분만은 물 밖에서 하거나 진통은 물 밖에서 하다가 분만은 물 속에서 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도 남편의 지지와 도움이 큰 역할을 하고 의사의 역할은 그리 크지 않은 자연적 방법 중의 하나이다. 또한 누운 자세의 분만이 아니라 좌식분만법 중의 하나로서 앉은 자세에서는 골반이 잘 벌어지고 힘을 주어 아기를 밀어내기가 쉽다. 따라서 진통 시간이 짧고, 통증을 철 느끼며, 물 속에서는 근육이 이완되어 편안함을 느끼며 부력으로 인하여 몸이 가벼워짐을 느낀다. 태아의 편에서도 양수와 비슷한 환경인 물 속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태아도 탄생 시 스트레스를 털 받는다고 한다. 그러나 청결하지 못한 물 혹은 출산 시 산모로부터 배출되는 분비물로 인하여 산모와 테마가 감염될 위험 이 높다. 또한 분만 도중 태아에 대한 의학적 감시가 어려운 점도 있다.
(6) 그네 분만
스위스의 바젤에서 예술가인 파울 데겐(Paul Degen)에 의해 발명되었다. 그네에 앉은 자세에서 진통이 올 때마다 몸을 자유롭게 흔들거리면서 진통이 완화되고 좀 더 편안해지는 분만 방법이다. 좌식 분만이어서 자궁구가 좀 더 쉽게 열리며 분만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앉은 자세이어서 호흡이 용이하며 자궁과 태반에의 혈액공급을 증진시킨다. 간염보균자 혹은 질병으로 인하여 수중분만이 어려운 산모에게 적절하며 남편 혹은 가족이 동참하여 함께 출산의 고통을 나누는 분만 방법이다.
(7) 공 분만
공은 정형외과적 혹은 신경학적 장애를 치료하는 도구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오다가 분만에는 1980년대에 이르러 사용되었다. 공을 이용해 앉거나 기대며 무릎을 끓는 등의 다양한 자세를 자유롭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산모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아가 하강하고 회전하는 데 유리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공 위에 앉아 있는 자세는 골반을 자연스럽게 흔들어 주고 회전시켜 주기 때문에 아기가 내려오는 분만과정을 촉진시킨다. 또한 공은 임신 말기에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이 불편한 임산부가 소파나 의자 대신 사용할 수 있고 공을 이용한 산전 체조는 요통을 완화시켜 줄 수 있다.
출산 공의 크기는 사용하는 산모의 키에 따라 달라진다. 즉, 공 위에 앉은 자세에서 산모의 엉덩이와 무름은 90'각도로 구부러져야 하고 무론은 발목 위에 똑바로 놓여져야 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3,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3.06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53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