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생산시스템의 운영과 통제
I. 재고관리
1. 재고의 기능적 분류
2. 재고관련 비용
3. 재고관리시스템(ABC분류)
II. 자재소요계획
1. 자재소요계획의 개념
2. 자재소요계획의 유용성
1) 재고계획 및 통제
2) 세부적인 능력계획
3) 우선순위 결정
III. 적시생산시스템
1. 정의와 목적
2. 간판시스템
IV. 전사적 자원관리(ERP)
* 참고문헌
I. 재고관리
1. 재고의 기능적 분류
2. 재고관련 비용
3. 재고관리시스템(ABC분류)
II. 자재소요계획
1. 자재소요계획의 개념
2. 자재소요계획의 유용성
1) 재고계획 및 통제
2) 세부적인 능력계획
3) 우선순위 결정
III. 적시생산시스템
1. 정의와 목적
2. 간판시스템
IV. 전사적 자원관리(ERP)
*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연결되며, 생산시스템 내의 모든 자재 이동과 생산지시는 간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간판은 생산흐름을 통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분지로 된 카드인데, 두 가지 종류(이동간판, 생산간판)가 있다.
이동간판은 작업장 간 자폐의 이동을 허가하는 표시로, 선 작업장으로부터 후 작업장에 물품을 가져 오기 위해서는 이동간판이 제시되어야만 가능하다. 이동간판은 부품을 수요로 하는 작업장과 부품을 공급하는 작업장, 부품 명칭과 수량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생산간판은 특정 작업장에서의 생산을 허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카드이다. 생산간판은 특정 작업장에서 생산해야 할 제품의 종류 및 수량, 생산 작업장 명칭과 생산되어야 하는 부품, 부품을 필요로 하는 후속 작업장의 명칭과 재고저장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IV. 전사적 자원관리(ERP)
전사적 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ERP)는 생산, 판매, 자재, 인사, 회계 등 기업 전 부문에 걸쳐 있는 인력이나 자금 또는 정보 등의 모든 경영자원을 하나의 체계로 통합, 계획 및 관리함으로써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종합경영관리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 미국에서 개발되어 종합생산관리시스템의 대명사로 불렸던 MRP기법이 주로 생산자원을 계획 관리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면 ERP는 이를 확대 적용한 개념으로서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업 전반에 걸친 모든 경영자원을 통합적 계획적으로 관리하여 낭비요소를 없애고 자원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시도로 고안 된 것이다.
대부분의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들이 이러한 ERP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중이며, 우리나라에서도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ERP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들도 ERP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간판은 생산흐름을 통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분지로 된 카드인데, 두 가지 종류(이동간판, 생산간판)가 있다.
이동간판은 작업장 간 자폐의 이동을 허가하는 표시로, 선 작업장으로부터 후 작업장에 물품을 가져 오기 위해서는 이동간판이 제시되어야만 가능하다. 이동간판은 부품을 수요로 하는 작업장과 부품을 공급하는 작업장, 부품 명칭과 수량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생산간판은 특정 작업장에서의 생산을 허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카드이다. 생산간판은 특정 작업장에서 생산해야 할 제품의 종류 및 수량, 생산 작업장 명칭과 생산되어야 하는 부품, 부품을 필요로 하는 후속 작업장의 명칭과 재고저장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IV. 전사적 자원관리(ERP)
전사적 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ERP)는 생산, 판매, 자재, 인사, 회계 등 기업 전 부문에 걸쳐 있는 인력이나 자금 또는 정보 등의 모든 경영자원을 하나의 체계로 통합, 계획 및 관리함으로써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종합경영관리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 미국에서 개발되어 종합생산관리시스템의 대명사로 불렸던 MRP기법이 주로 생산자원을 계획 관리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면 ERP는 이를 확대 적용한 개념으로서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업 전반에 걸친 모든 경영자원을 통합적 계획적으로 관리하여 낭비요소를 없애고 자원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시도로 고안 된 것이다.
대부분의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들이 이러한 ERP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중이며, 우리나라에서도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ERP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들도 ERP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