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책에서 동감하는 부분
2. 느낌에 대한 책임
3. 삶을 풍요롭게 하는 부탁
4. 공감의 힘
5. 우리 자신과 연민으로 연결되기
6. 분노를 온전히 표현하기
7. 보호와 처벌을 위해 힘을 쓰는 일
8. 결론
2. 느낌에 대한 책임
3. 삶을 풍요롭게 하는 부탁
4. 공감의 힘
5. 우리 자신과 연민으로 연결되기
6. 분노를 온전히 표현하기
7. 보호와 처벌을 위해 힘을 쓰는 일
8. 결론
본문내용
동을 하는 사람에게 고통을 주자는 것이다.
우리가 보호를 위해 힘을 쓸 때는 어떤 사람이나 그의 행동에 대해서 비판하거나 처벌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직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반면 처벌을 위해 힘을 쓸 때는 잘못을 저지른 사람들이 뉘우치도록 해야 한다는 생각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 처벌을 한다면 사람들은 뉘우치기보다는 오히려 원한과 적의를 불러일으켜서, 우리가 원하는 ‘교정된 행동’ 자체에 대한 저항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8. 결론
우리는 우리에게 해로운 사회적인 제약들 속에서 살아왔다. 하지만 NVC로 우리의 욕구와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이런 사회적인 제약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우울증을 초래하는 내적 갈등도 NVC로 해결할 수 있다. 우울증은 우리가 스스로의 욕구와 단절된 상태에 있다는 신호다. 우리는 내면의 대화를 NVC로 하면서 자신에게 공감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의 욕구를 충족할 구체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우리가 분노를 일으키는 생각으로 머리가 꽉 찼을 때는, 자신의 내면의 욕구와 느낌에 귀를 기울이고, 다른 사람의 느낌과 욕구에 공감을 함으로써, 분노를 연민으로 바꿀 수 있다. 상담, 심리치료 전문가들도 NVC를 활용하여, 내담자들과 진지하고 솔직한 만남으로 상담을 할 수 있다.
칭찬도 판단의 일부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칭찬도 삶을 소외시키는 대화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칭찬이나 고마움을 표현 할 때는 다른 사람을 조종하려는 마음을 품어서는 안된다. 우리가 NVC로 고마운 마음이나 칭찬을 표현하는 것은 무엇인가 보답을 원해서가 아니라, 순수한 마음으로 서로 기쁨을 나누기 위함이다.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고마워하거나 칭찬을 하는 의도는 오로지 그들 덕분에 충만해진 우리 삶을 함께 기뻐하기 위해서다. NVC로 감사를 표현하는 세 가지 요소가 있다. 우리의 행복에 기여한 그 사람의 행동. 충족된 나의 어떤 특정한 욕구. 그 욕구들이 충족됨으로써 생긴 유쾌한 느낌. 이 세 가지 요소를 모두 표현하면 우리의 감사하는 마음이 완전히 전해졌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 감사의 말을 하는 것과 같이 감사의 말을 듣는 것 또한 중요하다. 감사의 말을 들을 때는, 거짓 겸손이나 우월감 없이 감사를 받아들여야 한다. 나를 통해 다른 사람의 삶을 더 충만하도록 하는 것이 신의 힘이라는 사실을 인식한다면, 자만의 덫이나 거짓 겸손에 빠지지 않고 감사를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보호를 위해 힘을 쓸 때는 어떤 사람이나 그의 행동에 대해서 비판하거나 처벌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직 자신이나 다른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반면 처벌을 위해 힘을 쓸 때는 잘못을 저지른 사람들이 뉘우치도록 해야 한다는 생각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 처벌을 한다면 사람들은 뉘우치기보다는 오히려 원한과 적의를 불러일으켜서, 우리가 원하는 ‘교정된 행동’ 자체에 대한 저항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8. 결론
우리는 우리에게 해로운 사회적인 제약들 속에서 살아왔다. 하지만 NVC로 우리의 욕구와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이런 사회적인 제약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우울증을 초래하는 내적 갈등도 NVC로 해결할 수 있다. 우울증은 우리가 스스로의 욕구와 단절된 상태에 있다는 신호다. 우리는 내면의 대화를 NVC로 하면서 자신에게 공감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의 욕구를 충족할 구체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우리가 분노를 일으키는 생각으로 머리가 꽉 찼을 때는, 자신의 내면의 욕구와 느낌에 귀를 기울이고, 다른 사람의 느낌과 욕구에 공감을 함으로써, 분노를 연민으로 바꿀 수 있다. 상담, 심리치료 전문가들도 NVC를 활용하여, 내담자들과 진지하고 솔직한 만남으로 상담을 할 수 있다.
칭찬도 판단의 일부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칭찬도 삶을 소외시키는 대화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칭찬이나 고마움을 표현 할 때는 다른 사람을 조종하려는 마음을 품어서는 안된다. 우리가 NVC로 고마운 마음이나 칭찬을 표현하는 것은 무엇인가 보답을 원해서가 아니라, 순수한 마음으로 서로 기쁨을 나누기 위함이다.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고마워하거나 칭찬을 하는 의도는 오로지 그들 덕분에 충만해진 우리 삶을 함께 기뻐하기 위해서다. NVC로 감사를 표현하는 세 가지 요소가 있다. 우리의 행복에 기여한 그 사람의 행동. 충족된 나의 어떤 특정한 욕구. 그 욕구들이 충족됨으로써 생긴 유쾌한 느낌. 이 세 가지 요소를 모두 표현하면 우리의 감사하는 마음이 완전히 전해졌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 감사의 말을 하는 것과 같이 감사의 말을 듣는 것 또한 중요하다. 감사의 말을 들을 때는, 거짓 겸손이나 우월감 없이 감사를 받아들여야 한다. 나를 통해 다른 사람의 삶을 더 충만하도록 하는 것이 신의 힘이라는 사실을 인식한다면, 자만의 덫이나 거짓 겸손에 빠지지 않고 감사를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