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질환] 호흡기계 질환(유행성 감기 폐렴 폐결핵 기관지 천식 만성 폐기종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식이요법(식사요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흡기 질환] 호흡기계 질환(유행성 감기 폐렴 폐결핵 기관지 천식 만성 폐기종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식이요법(식사요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호흡기 질환

I. 유행성 감기
1. 유행성 감기의 원인과 증상
2. 식사요법

II. 폐렴
1. 원인과 증상
2. 식사요법

III. 폐결핵
1. 원인과 증상
2. 식사요법

IV. 만성 폐기종
1. 원인과 증상
2. 식사요법

V. 기관지 천식
1. 원인과 증상
2. 식사요법

VI. 만성폐쇄성 폐질환
1. 원인과 증상
2. 식사요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용하며, 식품의 이용을 돕고 간 기능을 보호하기 위해 티아민과 리보플라빈을 충분히 섭취한다. 비타민 D는 칼슘과 인의 대사를 조절하는 데 중요하므로 결핵환자는 말린 버섯, 건어, 달걀 등을 통해 비타민 D를 많이 섭취해야 한다. 이소니아지드(INH) 치료 시 필요하며 비타민 보충도 고려한다.
6) 기타
- 식욕을 촉진하는 전채요리, 음식의 모양과 색채, 아름다운 상차림, 식사 시의 음악 등을 특별히 배려해서 식사에 싫증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 균형 잡힌 식사로 치료 효과를 올릴 수 있다.
- 소화 흡수의 장애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환자에게 회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의지가 중요하다.
IV. 만성 폐기종
(1) 원인과 증상
만성 폐기종emphysema은 주로 흡연에 의해 발생되고, 이외에 대기오염, 노화, 유전, 감염, 유독가스나 만성적 호흡기질환으로 세기관지에 공기 유통이 안 되면 꽈리모양의 폐포가 터져서 영구적으로 풍선처럼 늘어나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이러한 현상은 흡연으로 기관지염이 발병하는 것과 같다.
만성 폐기종의 증상은 호흡곤란으로 숨이 차고 음식물을 씹고 삼키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체중감소, 근육조직 감소, 영양상태 불량, 복부의 통증, 위궤양 등이 자주 발생한다. 만성적 기침과 가래가 생긴다.
폐의 확산능력이 감소되어 혈액의 산소공급과 탄산가스 제거능력이 감소되고, 따라서 폐 일부의 공기 유통이 절단되어 조직이 파괴된다. 폐기종은 서서히 진행되며, 저산소증과 탄산과잉증으로 청색증이 나타난다.
(2) 식사요법
호흡근육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영양결핍을 교정하고 수분균형을 적절히 유지 하도록 한다. 에너지는 kg당 25~30kcal/일을 공급하고, 단백질은 kg당 1.5~2.0g/일을 공급하도록 한다.
- 금연하고 폐조직의 보수와 재생을 위하여 고열량 고단백질 식사를 한다.
- 농축된 식품을 소량으로 나누어 자주 공급하며, 고열량의 연질식이를 공급한다.
- 식이섬유가 많거나 질긴 음식은 피하고, 부드럽게 조리하여 공급한다.
- 3끼 식사와 간식은 정규적으로 공급하며, 취침 전에 간식을 먹는다.
- 식욕증진과 소화증진을 할 수 있도록 식품과 조리법 선택을 주의한다.
V. 기관지 천식
(1) 원인과 증상
기관지 천식 bronchial asthma이란 폐 속에 있는 기관지가 때때로 협착을 일으켜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증상이 반복적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기관지 천식은 공기에 있는 외부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성 예민성 때문에 생긴다. 특히 식물성 꽃가루에 의한 것이 많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사람은 IgE라고 불리는 비정상적 항체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이 항체가 폐포에 가까이 있는 폐세포와 작용하여 과민성 물질인 히스타민과 부라디키닌 등을 생산한다. 이러한 물질은 폐포벽을 블게 하고, 폐포강에는 끈적한 점성물질을 분비하며 폐포 연근육을 강직시킨다.
천식의 증상으로는 들이쉬는 숨보다 내쉬는 숨이 훨씬 힘들어지는 호흡곤란증이 온다. 폐 안에 남아 있는 공기량이 많아져서 패로부터 숨을 내쉬는 것이 어려워지고 계속되면 가승이 커진다.
(2) 식사요법
기관지 천식은 절대 금연을 해야 한다. 꽃가루와 같이 천식을 일으키는 물질은 가능한 한 피하고 항시스타민제 등을 복용하며, 충분한 영양과 무기질, 비타민 등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알레르기는 몸의 건강상태가 나쁠 때 과로나 과음 후에 나타나므로 건강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하고 과로하지 않는 생활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VI. 만성폐쇄성 폐질환
(1) 원인과 증상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은 폐와 기도를 통
하여 기도하부 족에 만성적인 패색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폐기종emphysema, 폐질환pulmonary disease 만성기관지 염chronic bronchitis 등이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질환이다. 흡연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며 위험요소이다. 주요 증상은 호흡곤란, 만성적인 기침, 객담배출, 저산소증, 패포 모세혈관의 파괴 등이 있다. 식욕부진과 조금만 먹어도 숨 가쁨 등으로 충분한 식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만성적 체중 감소를 보이는 소모현상wasting의 원인으로 영양소 섭취 감소, 대사량 증가 등이 있다.
그림. 만성폐쇄성 폐질환
(2) 식사요법
만성적인 영양불량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열량 고단백질 식사를 원칙으로 한다.
- 단백질은 기준체중 당 1.2~1.5g/일 정도를 제공하고 열량을 동화작용을 위해 기초대사량의 1.5-1.7배 내외 30~35kcal/일을 제공한다.
- 비만 환자는 호흡기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점진적인 체중감량을 위해 열량섭취를 줄인다.
- 지방을 주 에너지원으로 한다. 이산화탄소의 생성이 많은 탄수화물을 제한한다.
- 음식의 조리법은 씹고 삼키기 쉬운 부드러운 형태로 제공한다.
- 가스가 많이 생기는 음식은 복부팽만감을 증가시킴으로 제한하며, 특히 식이섬유가 많은 채소는 점차적으로 섭취량을 늘린다.
- 식사는 소량씩 자주 제공하며 농축된 음료로 간식을 줄 수 있다.
-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서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 조기 만복감이나 복부팽만감이 있는 경우에는 식후에 수분 섭취를 하도록 한다.
경관급식을 통한 영양보충 방법이 효과적이므로 구강이나 비강을 통하여 식사보충을 한다.
# 참고문헌
<식사요법> 김명희, 김미현 외 3명 저 / 광문각 / 2011
<질환에 따른 식사요법> 장혜순, 서광희 외 3명 저 / 신광출판사 / 2014
<식사요법 원리와 실습> 구재옥, 김원경 외 3명 저 / 교문사 / 2007
<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김매자, 송미순 외 1명 저 / 정문각 / 2009
이기완, 명춘옥 외 2명 저 / 수학사 / 2009
<식사요법실습> 최미숙, 서광희 외 3명 저 / 파워북 / 2009
<보건간호 일반> 김희영 김보영 저 / 포널스출판사 / 2016
<임상간호와 영양> Stump Suzanne Do 저 / 정담미디어 / 2016
<간호와 영양> 김영경 김희순 외 3명 저 / 현문사 / 2016
  • 가격3,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3.09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58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