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증권시장의 구조
I. 발행시장
1) 발행시장의 의의
2) 증권의 발행방법
3) 발행시장의 구조
II. 유통시장
1) 유통시장의 의의
2) 유통시장의 기능
3) 유통시장의 구조
* 참고문헌
I. 발행시장
1) 발행시장의 의의
2) 증권의 발행방법
3) 발행시장의 구조
II. 유통시장
1) 유통시장의 의의
2) 유통시장의 기능
3) 유통시장의 구조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고 있다.
첫째, 발행된 주식이나 채권의 시장성을 높여 일반 투자자의 투자를 촉진시킴으로써 발행시장에서의 장기자본조달을 원활하게 해준다.
둘째, 유통시장에서의 유가증권의 시장성 유지는 유가증권의 담보력울 제공해 준다. 즉, 유가증권을 수시로 적정가격에 처분, 현금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담보로 한 차입이 용이하다.
셋째, 주식이나 채권의 공정한 가격을 형성하게 한다. 유통시장은 다수의 투자자가 참여하는 자유경쟁시장이므로 여기에서 형성되는 가격은 공정한 가격이라 할 수 있다.
넷째, 유통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은 앞으로 발행할 새로운 증권의 가격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3) 유통시장의 구조
투자자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을 매각하여 투자자금을 회수하기도 하고 이미 발행된 유가증권을 취득할 수 있는 유통시장의 구조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림> 유통시장의 구조
보통 유통시장이라고 할 때는 증권거래소만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유통시장은 시장조직의 형태에 따라서 증권거래소와 장외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증권거래소는 지정된 일정한 건물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정한 자격을 갖춘 거래원들이 일정한 시간에 모여 공개적으로 계속적이며 조직적인 매매거래를 수행하는 시장이다. 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되고 증권은 상장증권이며, 경쟁매매를 원칙으로 한 일정한 매매거래제도에 따라 증권거래가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장의시장(over the counter market)은 조직적인 증권거래소가 아닌 다른 곳에서 증권이 매매되는 비조직적인 시장을 포괄하며, 일정한 테두리 내에서 거래가 허용되는 점두시장과 개인 간의 사사로운 거래가 형성되는 직접거래시장으로 나누어진다. 보통 장외시장이라고 하면 여기서 발하는 점두시장을 가리키는데 매매거래되는 증권은 상장증권 및 비상장증권을 모둔 포함하며, 상장증권은 거래단위 미만(증권의 경우 10주)이 되는 단주(odd-lot)나 증권거래법에 의한 특별한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요컨대 장외시장은 거래소시장을 보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대체결제회사는 증권의 매매나 기타의 거래를 함에 있어서 증권회사, 금융기관 등이 소유하는 증권을 일정한 계좌에 예탁시켜 이를 관리하여 주는 회사이다. 즉 매매거래에 따르는 주권의 수수를 직접 하지 않고 계좌상호간의 이체에 의하여 결제되도록 하여 주면 다시 일반 투자가는 증권회사에서 증권수주에 대한 통장을 받게 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첫째, 발행된 주식이나 채권의 시장성을 높여 일반 투자자의 투자를 촉진시킴으로써 발행시장에서의 장기자본조달을 원활하게 해준다.
둘째, 유통시장에서의 유가증권의 시장성 유지는 유가증권의 담보력울 제공해 준다. 즉, 유가증권을 수시로 적정가격에 처분, 현금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담보로 한 차입이 용이하다.
셋째, 주식이나 채권의 공정한 가격을 형성하게 한다. 유통시장은 다수의 투자자가 참여하는 자유경쟁시장이므로 여기에서 형성되는 가격은 공정한 가격이라 할 수 있다.
넷째, 유통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은 앞으로 발행할 새로운 증권의 가격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3) 유통시장의 구조
투자자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을 매각하여 투자자금을 회수하기도 하고 이미 발행된 유가증권을 취득할 수 있는 유통시장의 구조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림> 유통시장의 구조
보통 유통시장이라고 할 때는 증권거래소만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유통시장은 시장조직의 형태에 따라서 증권거래소와 장외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증권거래소는 지정된 일정한 건물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정한 자격을 갖춘 거래원들이 일정한 시간에 모여 공개적으로 계속적이며 조직적인 매매거래를 수행하는 시장이다. 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되고 증권은 상장증권이며, 경쟁매매를 원칙으로 한 일정한 매매거래제도에 따라 증권거래가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장의시장(over the counter market)은 조직적인 증권거래소가 아닌 다른 곳에서 증권이 매매되는 비조직적인 시장을 포괄하며, 일정한 테두리 내에서 거래가 허용되는 점두시장과 개인 간의 사사로운 거래가 형성되는 직접거래시장으로 나누어진다. 보통 장외시장이라고 하면 여기서 발하는 점두시장을 가리키는데 매매거래되는 증권은 상장증권 및 비상장증권을 모둔 포함하며, 상장증권은 거래단위 미만(증권의 경우 10주)이 되는 단주(odd-lot)나 증권거래법에 의한 특별한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요컨대 장외시장은 거래소시장을 보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대체결제회사는 증권의 매매나 기타의 거래를 함에 있어서 증권회사, 금융기관 등이 소유하는 증권을 일정한 계좌에 예탁시켜 이를 관리하여 주는 회사이다. 즉 매매거래에 따르는 주권의 수수를 직접 하지 않고 계좌상호간의 이체에 의하여 결제되도록 하여 주면 다시 일반 투자가는 증권회사에서 증권수주에 대한 통장을 받게 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