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전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비만 혹은 두꺼운 흉벽 → 작은 파형 기록
마른 체형 → 큰 파형 기록
③ 식사
고탄수화물 식사 → 세포 내 K+이동 : 심전도 변화 가능
④ 운동 후 15~20분간 휴식 후 측정
⑤ 흡연 : 약 30분 후 검사
⑥ 약물복용
digitalis나 quinidine → 검사 전 복용 금지
⑦ 정신불안
정신불안 시 증상
PR간격 연장, 동성 빈맥, ST분절 저하나 T파 역전 등
1) 표준팔다리(표준사지) 유도 p138
QRS는 I, II, III 모두 상향
T파 및 P파도 대부분의 경우 상향인데,
III에서는 때때로 평저 내지 이상성인 것이 있고,
TIII는 음성인 것도 있다.
파형: II유도에서 최대 : P, R, T → II유도에서 최대
연소자 : I유도보다 III유도의 QRS쪽이 큰 경우가 있다.
ST는 바닥선상
전기축 : 0° ~ +90°
II= I+III
2) 증폭단극팔다리(증폭단극사지) 유도
aVR : P파, QRS, T파 모두 하향
aVL 및 aVF에서는 심장의 위치에 따라 변
→ aVL, aVF에서는 기본형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없다.
3) 가슴(흉부)유도 p140
V1, V2 : QRS는 하향, rS형→ 작은 R파, 깊은 S파
오른심실 유도
V3, V4 : R = S (=RS형) : 이행대
V5, V6
QRS는 상향, Rs형→큰 R파, 작은 S파
작은 Q파가 잘 보인다(Rs, qR, qRs형).
왼심실의 가쪽면에 위치
U파 無
T파 상향, 연소자에게 가끔 V1, V2에서 가끔 하향(정상)
보통 소아, 젊은 사람은 QRS, T파가 높게 발생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3.08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61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