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지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의 지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노인의 지혜

I. Erikson의 고전적 접근방법

II. Clayton과 Meacham의 상황적 접근법

III. Baltes의 경험적 정의

IV. Labouvie-Vief의 지능과 감정의 통합

V. 지혜와 영적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것과 구분할 줄 아는 도덕윤리를 포함하는 능력이다. 그리고 그 이해를 이성적으로 이용할 줄 아는 능력이다. 이 점에서 Baltes와 의견을 같이 하는데 사실 Baltes는 Labouvie-Vief의 이론을 자신의 이론에 대한 상호보완적인 역할로 인용하기도 한다.
V. 지혜와 영적 발달
동양철학의 영향을 받은 연구자들은 지혜를 영적인 발달에 기초한 것으로 노년기에 나타난다고 믿는다. 이 정의에 의하면 지혜는 서로 관련된 세 가지 측면이 있는데 자기성찰과 자아통합의 개인내적(intrapersonal) 지혜, 감정이입, 인간관계의 성숙 등을 포함하는 개인 간의(interpersonal)지혜 그리고 자아를 초월하여 영적 성장을 추구하는 초개인적(transpersonal) 지혜가 그것이다(Achenbaum & Orwoll, 191)
만약 지혜가 연령과 관련이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아마도 묵상이나 영적 발달이 노년기에 이루어지기 때문일 것이다. 연령과 관련이 있는 내성(introspection)과 영적 생활에 대한 관심이 그 자극으로 작용할지 모른다.
젊은 날에 몰두했던 세속적인 목표와 관심으로부터 자유로워진 노인들은 이제 자아실현의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지금까지 연령과 지혜에 관한 연구결과는 일관성이 없다. Baltes는 연령이 지혜에 이바지할 것으로 추측하지만 확실한 증거를 찾지 못했고, Labouvie-Vief에 의하면 지혜는 중년기에 절정에 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왜 동서양을 막론하고 지혜를 노인의 전유물로 묘사했을까?
한 가지 가능한 이유는 평균 수명의 증가이다. 고대인들은 신화나 전설에서 \'현자(wise elders)\'를 40대 또는 그보다 좀 더 젊은 것으로 묘사하였다. 또 다른 설명은 지혜의 정의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정의를 내림으로써 서로 다른 결과를 얻게 된다. 예를 들어, 지혜를 자아의 초월로 정의한다면 그러한 지혜를 획득하는 데는 시간이 좀 더 오래 걸릴 것이다.
* 참고문헌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노인발달 이해와 상담 : 김은혜 저 / 2012 / 북모아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 장휘숙 저 / 2012 / 박영사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6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