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업의 집중과 개념과 목적 형태에 대해서 논하시오.
I. 기업집중의 목적과 방식
II. 기업집중의 형태
1) 기업연합
1/ 구매카르텔
2/ 생산카르텔
3/ 판매카르텔
2) 기업합동
3) 콘체른
III. 기업집중의 제한
* 참고문헌
I. 기업집중의 목적과 방식
II. 기업집중의 형태
1) 기업연합
1/ 구매카르텔
2/ 생산카르텔
3/ 판매카르텔
2) 기업합동
3) 콘체른
III. 기업집중의 제한
* 참고문헌
본문내용
on, aquisition)이 있는데 흡수합병은 기존의 한 기업이 다른 기업을 흡수 병합하는 것이며 신설합병은 기존의 기업끼리 병합하여 새로운 기업으로 탈바꿈하는 것을 말한다.
(3) 콘체른
독립된 몇 개의 기업이 형식적 법률적으로는 독립되어 있으나 내용면에서 자본적 경제적으로 강력히 결합된 기업집중 형태를 콘체른이라 한다. 즉, 형식상으로는 기업연합과 비슷하나 내용적으로는 기업합동과 별다른 것이 없는 형태이다.
<그림> 기업합동
콘체른의 종류에는 생산합리화를 목적으로 하는 산업형 콘체른, 금융상의 이익을 얻기 위하여 기업을 지배 결합하는 금융형 콘체른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콘체른은 실제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1/ 주식교환에 의한 방법 : 몇 개의 기업이 각각상대방의 주식을 서로 교환함으로써 결합하여 통합적인 이익공동체를 형성한다.
2/ 출자 또는 자금대여에 의한 방법 : 대자본을 가진 기업이 타 기업에 출자하여 다수의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지배권을 장악하거나 많은 자금을 대여해 줌으로써 채권자로서 지배관계를 형성한다. 이때, 지배회사는 피지배회사에 중역을 파견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다.
3/ 지주회사에 의한 방법 : 지주회사(holding company)란 애초부터 다른 회사의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기업을 지배할 목적으로 설립되는 회사를 뜻한다. 일반 기업처럼 생산 판매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고 오직 자본적 지배만을 목적으로 한다.
지주회사는 자기의 주식 또는 사채를 매각함으로써 자본을 조달하고 그것을 가지고 다른 회사의 주권을 취득한다. 이것을 증권대위라 한다.
이와 같은 증권대위 방법을 되풀이함으로써 지주회사는 종속회사를 자기지배 하에 두게 된다.
<그림> 지주회사
지주회사는 순수지주회사와 사업지주회사로 분류하는데 경영지배만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를 순수지배회사라 하고 생산 판매 등 사업을 직접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를 사업지주회사라 한다.
III. 기업집중의 제한
기업집중은 기업 측에서 보면 여러 가지 이점이 있겠으나, 시장독점U 따르는 사회적 폐단이 생긴다. 즉, 결합 형태의 기업이 시장을 독점하면 자유경쟁 질서가 깨어지고 가격을 임의로 조작하여 독점이윤을 장기적으로 얻기 때문에 중소기업가와 소비자는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
그리하여 국가는 그와 같은 폐단을 제거하고 공공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독점금지법 또는 불공정거래금지법 등을 제정하게 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3) 콘체른
독립된 몇 개의 기업이 형식적 법률적으로는 독립되어 있으나 내용면에서 자본적 경제적으로 강력히 결합된 기업집중 형태를 콘체른이라 한다. 즉, 형식상으로는 기업연합과 비슷하나 내용적으로는 기업합동과 별다른 것이 없는 형태이다.
<그림> 기업합동
콘체른의 종류에는 생산합리화를 목적으로 하는 산업형 콘체른, 금융상의 이익을 얻기 위하여 기업을 지배 결합하는 금융형 콘체른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콘체른은 실제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1/ 주식교환에 의한 방법 : 몇 개의 기업이 각각상대방의 주식을 서로 교환함으로써 결합하여 통합적인 이익공동체를 형성한다.
2/ 출자 또는 자금대여에 의한 방법 : 대자본을 가진 기업이 타 기업에 출자하여 다수의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지배권을 장악하거나 많은 자금을 대여해 줌으로써 채권자로서 지배관계를 형성한다. 이때, 지배회사는 피지배회사에 중역을 파견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 있다.
3/ 지주회사에 의한 방법 : 지주회사(holding company)란 애초부터 다른 회사의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기업을 지배할 목적으로 설립되는 회사를 뜻한다. 일반 기업처럼 생산 판매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고 오직 자본적 지배만을 목적으로 한다.
지주회사는 자기의 주식 또는 사채를 매각함으로써 자본을 조달하고 그것을 가지고 다른 회사의 주권을 취득한다. 이것을 증권대위라 한다.
이와 같은 증권대위 방법을 되풀이함으로써 지주회사는 종속회사를 자기지배 하에 두게 된다.
<그림> 지주회사
지주회사는 순수지주회사와 사업지주회사로 분류하는데 경영지배만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를 순수지배회사라 하고 생산 판매 등 사업을 직접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를 사업지주회사라 한다.
III. 기업집중의 제한
기업집중은 기업 측에서 보면 여러 가지 이점이 있겠으나, 시장독점U 따르는 사회적 폐단이 생긴다. 즉, 결합 형태의 기업이 시장을 독점하면 자유경쟁 질서가 깨어지고 가격을 임의로 조작하여 독점이윤을 장기적으로 얻기 때문에 중소기업가와 소비자는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
그리하여 국가는 그와 같은 폐단을 제거하고 공공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독점금지법 또는 불공정거래금지법 등을 제정하게 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