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Ⅰ.기업선정동기 및 기업소개
1. 기업 선정동기
2. 기업소개
본론
Ⅱ.산업분석
1. 산업개요분석
2. 산업환경분석
3. 마이클포터의 5 Force 위협
Ⅲ.영업분석
1. 사업구성
2. 시장점유율
3. 성장잠재력
4. 내부경쟁력원천
5. SWOT분석
Ⅳ.재무분석
1. 성장성분석
2. 유동성분석
3. 안정성분석
4. 회전율
5. 주가관련비율
6. 수익성분석
7. 현금흐름
결론
Ⅰ.기업선정동기 및 기업소개
1. 기업 선정동기
2. 기업소개
본론
Ⅱ.산업분석
1. 산업개요분석
2. 산업환경분석
3. 마이클포터의 5 Force 위협
Ⅲ.영업분석
1. 사업구성
2. 시장점유율
3. 성장잠재력
4. 내부경쟁력원천
5. SWOT분석
Ⅳ.재무분석
1. 성장성분석
2. 유동성분석
3. 안정성분석
4. 회전율
5. 주가관련비율
6. 수익성분석
7. 현금흐름
결론
본문내용
액보다높아영업이익이나지않아산업전반전체의매출액영업이익률이-3.44%였으며LG디스플레이는그보다높은-9.27%가나타났다.2007년이후디스플레이산업이정상적으로회복된후LG디스플레이는꾸준히산업의평균적인영업이익률보다높게나타나영업활동의능률이좋다고판단할수있다.
3) 총자산순이익률(ROA)
ROA는 기업이 투자한 자본으로 어느 정도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2007
2008
2009
2010
2011
LG디스플레이
10.03
6.59
5.65
4.33
18.7
삼성SDI
-9.01
0.65
3.29
2.08
4.11
총자산을 투자해서 얼마나 순이익을 냈는가를 평가하는 지표로써 2006년에는 판가,환율 하락에 따른 당기 순손실발생으로 인해 마이너스 6%까지 내려갔다 2007년에는 시장 상황호전 및 자구노력으로 인하여 흑자로 전환하였었다.
4) 자기자본순이익률(ROE)ROE는 기업의 주인인 주주들이 투자한 자본에 대해 어느 정도의 이익이 창출되는가를 말해준다. 즉, 주주가 투자한 자금을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2007
2008
2009
2010
2011
LG디스플레이
16.21
11.72
10.85
9.22
18.7
삼성SDI
-12.80
0.86
4.37
2.57
5.56
ROE는 기업의 성과를 나타내는 종합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지난 30년간 미국 기업들의 평균 장기 ROE는 약 12%정도이다. 이것에 비교해보면 산업 전반적으로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되었던 2006년도와 2007년도 중 LG 디스플레이는 2006년도에, 삼성SDI는 2007년도에 각각 -11.17%, -12.8%라는 매우 낮은 비율을 기록하였다. 삼성SDI는 대체적으로 LG 디스플레이보다 낮은 비율의 ROE를 보여주고 있는데, ROE가 이렇게 측정되는 이유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더 자세한 분석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ROE 분해방법을 이용해서 분석을 해 보면, ROE를 다음과 같이 분해할 수 있다.
ROE = ROA * 재무레버리지 = 순이익/총자산 * 총자산/자기자본
= 순이익/매출액 * 매출액/총자산 * 총자산/자기자본
순이익/매출액은 순이익마진율이라고 하며, 매출 1원에 대해 어느 정도의 이익을 유지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고, 매출액/총자산 비율은 총자산회전율로 업이 자산에 투자하여 얼마나 매출을 달성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총자산/자기자본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재무레버리지는 주주가 투자한 1원에 대해 기업이 얼마의 자산을 투입하는가를 나타낸다.
LG디스플레이
(2010)
LG디스플레이
(2009)
삼성SDI
(2010)
순이익마진
4.01
5.41
3.77
총자산회전율
1.08
1.04
0.55
=총자산순이익률(ROA)
4.33
5.65
2.08
*재무레버리지
2.13
1.92
1.24
=자기자본순이익률(ROE)
9.22
10.85
2.57
총자산 회전율이 삼성SDI보다 LGD가 더 높다.
ROE 또한 LGD가 훨씬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순이익 마진이 삼성 SDI보다 LGD가 더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ROE 분해방법은 자산에 순수한 영업자산이 아닌 재무자산도 포함되어있는 점, 순이익에 포함되어 있는 이익에도 재무활동의 결과인 이자수익과 비용이 포함되어있다는 점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대적인 방법으로 ROE를 분해 할 필요가 있다. 현대적인 방법의 ROE 분해 방법은,
ROE = 영업 ROA + 스프레드 * 순재무레버리지
로, 영업 ROA는 영업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기업이 얼마나 잘 영업자산을 활용할 수 있는가를 측정한다. 스프레드는 부채를 활용하여 발생되는 추가적인 경제적 효과를 나타내고, 이 스프레드는 순재무레버리지의 크기에 의해 확대된다. 따라서 스프레드 * 순재무레버리지는 주주에 대한 재무레버리지 이득을 측정한다. 또한 영업 ROA는 NOPAT/매출액 * 매출액/순자산으로 분해될 수 있는데, NOPAT/매출액은 기업매출의 수익성을, 매출액/순자산은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는가를 측정한다.
아래의 표를 보면 알수 있듯이, LGD가 삼성 SDI보다 영업 ROA의 비율을 더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LGD의 영업자산을 더 잘 화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냄
LG디스플레이(2010)
LG디스플레이(2009)
삼성SDI(2010)
NOPAT 마진
4.30
4.37%
4.10
* 순영업자산회전율
2.30
2.01
0.68
= 영업 ROA (1)
9.88
8.76
2.80
스프레드
(0.63)
2.46
(2.09)
* 순재무레버리지
1.05
0.85
0.11
= 재무레버리지이득(2)
(0.693)
2.09
(0.22)
ROE = (1) +(2)
9.22
10.85
2.57
결론
2007년부터 국내 업체가 주도하여 본격 생산하기 시작한 AMOLED는 2011년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한 수요 급성장과 5.5세대 생산라인의 성공적인 투자에 의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2012년 또한 삼성 SDI와 LG디스플레이가 주도하는 7조원 이상의 대규모 AMOLED 전체 시장에서 OLED 비중이 7%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2012년은 무안경 3D, 투명 디스플레이, OLED 조명, 전자종이 등의 연구개발 또한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상용화 기반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안경 3D는 소형 모바일, 중대형 모니터 등을 위주로 상용화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전략기획단의 연구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투명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앞으로의 LG디스플레이와 삼성SDI는 생산성 향상과 R&D 부분 경쟁은 더욱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체적인 점유율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3D터치기술이나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 기술면에서 LG Display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경쟁사인 삼성SDI와 비교했을 때 대동소이한 재무분석결과가 보이며,
잠재적인 디스플레이 시장이 확대됨과 동시에
R&D 육성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LG디스플레이의 밝은 전망을 예측해 볼 수 있다.
3) 총자산순이익률(ROA)
ROA는 기업이 투자한 자본으로 어느 정도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2007
2008
2009
2010
2011
LG디스플레이
10.03
6.59
5.65
4.33
18.7
삼성SDI
-9.01
0.65
3.29
2.08
4.11
총자산을 투자해서 얼마나 순이익을 냈는가를 평가하는 지표로써 2006년에는 판가,환율 하락에 따른 당기 순손실발생으로 인해 마이너스 6%까지 내려갔다 2007년에는 시장 상황호전 및 자구노력으로 인하여 흑자로 전환하였었다.
4) 자기자본순이익률(ROE)ROE는 기업의 주인인 주주들이 투자한 자본에 대해 어느 정도의 이익이 창출되는가를 말해준다. 즉, 주주가 투자한 자금을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2007
2008
2009
2010
2011
LG디스플레이
16.21
11.72
10.85
9.22
18.7
삼성SDI
-12.80
0.86
4.37
2.57
5.56
ROE는 기업의 성과를 나타내는 종합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지난 30년간 미국 기업들의 평균 장기 ROE는 약 12%정도이다. 이것에 비교해보면 산업 전반적으로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되었던 2006년도와 2007년도 중 LG 디스플레이는 2006년도에, 삼성SDI는 2007년도에 각각 -11.17%, -12.8%라는 매우 낮은 비율을 기록하였다. 삼성SDI는 대체적으로 LG 디스플레이보다 낮은 비율의 ROE를 보여주고 있는데, ROE가 이렇게 측정되는 이유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더 자세한 분석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ROE 분해방법을 이용해서 분석을 해 보면, ROE를 다음과 같이 분해할 수 있다.
ROE = ROA * 재무레버리지 = 순이익/총자산 * 총자산/자기자본
= 순이익/매출액 * 매출액/총자산 * 총자산/자기자본
순이익/매출액은 순이익마진율이라고 하며, 매출 1원에 대해 어느 정도의 이익을 유지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고, 매출액/총자산 비율은 총자산회전율로 업이 자산에 투자하여 얼마나 매출을 달성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총자산/자기자본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재무레버리지는 주주가 투자한 1원에 대해 기업이 얼마의 자산을 투입하는가를 나타낸다.
LG디스플레이
(2010)
LG디스플레이
(2009)
삼성SDI
(2010)
순이익마진
4.01
5.41
3.77
총자산회전율
1.08
1.04
0.55
=총자산순이익률(ROA)
4.33
5.65
2.08
*재무레버리지
2.13
1.92
1.24
=자기자본순이익률(ROE)
9.22
10.85
2.57
총자산 회전율이 삼성SDI보다 LGD가 더 높다.
ROE 또한 LGD가 훨씬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순이익 마진이 삼성 SDI보다 LGD가 더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ROE 분해방법은 자산에 순수한 영업자산이 아닌 재무자산도 포함되어있는 점, 순이익에 포함되어 있는 이익에도 재무활동의 결과인 이자수익과 비용이 포함되어있다는 점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대적인 방법으로 ROE를 분해 할 필요가 있다. 현대적인 방법의 ROE 분해 방법은,
ROE = 영업 ROA + 스프레드 * 순재무레버리지
로, 영업 ROA는 영업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기업이 얼마나 잘 영업자산을 활용할 수 있는가를 측정한다. 스프레드는 부채를 활용하여 발생되는 추가적인 경제적 효과를 나타내고, 이 스프레드는 순재무레버리지의 크기에 의해 확대된다. 따라서 스프레드 * 순재무레버리지는 주주에 대한 재무레버리지 이득을 측정한다. 또한 영업 ROA는 NOPAT/매출액 * 매출액/순자산으로 분해될 수 있는데, NOPAT/매출액은 기업매출의 수익성을, 매출액/순자산은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는가를 측정한다.
아래의 표를 보면 알수 있듯이, LGD가 삼성 SDI보다 영업 ROA의 비율을 더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LGD의 영업자산을 더 잘 화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냄
LG디스플레이(2010)
LG디스플레이(2009)
삼성SDI(2010)
NOPAT 마진
4.30
4.37%
4.10
* 순영업자산회전율
2.30
2.01
0.68
= 영업 ROA (1)
9.88
8.76
2.80
스프레드
(0.63)
2.46
(2.09)
* 순재무레버리지
1.05
0.85
0.11
= 재무레버리지이득(2)
(0.693)
2.09
(0.22)
ROE = (1) +(2)
9.22
10.85
2.57
결론
2007년부터 국내 업체가 주도하여 본격 생산하기 시작한 AMOLED는 2011년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한 수요 급성장과 5.5세대 생산라인의 성공적인 투자에 의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2012년 또한 삼성 SDI와 LG디스플레이가 주도하는 7조원 이상의 대규모 AMOLED 전체 시장에서 OLED 비중이 7%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2012년은 무안경 3D, 투명 디스플레이, OLED 조명, 전자종이 등의 연구개발 또한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상용화 기반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안경 3D는 소형 모바일, 중대형 모니터 등을 위주로 상용화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전략기획단의 연구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투명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앞으로의 LG디스플레이와 삼성SDI는 생산성 향상과 R&D 부분 경쟁은 더욱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체적인 점유율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3D터치기술이나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 기술면에서 LG Display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경쟁사인 삼성SDI와 비교했을 때 대동소이한 재무분석결과가 보이며,
잠재적인 디스플레이 시장이 확대됨과 동시에
R&D 육성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LG디스플레이의 밝은 전망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