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식물의 분류
2. 중복수정
3. 옥수수의 수정
출처 및 참고문헌
2. 중복수정
3. 옥수수의 수정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끝 모자부에 수분이 흡수되어 부풀어 오르는 것이 발아의 시작이다. 온도를 10℃ 이상으로 높여주면 씨앗의 배와 배유를 중심으로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는데, 배유는 배가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영양분으로 분해되며 이는 배반을 통해 씨눈으로 이동한다. 씨눈에서는 세포가 생장하고 분열하며 발아를 시작한다. 발아를 통해 배내 뿌리가 먼저 나온 뒤 나오는 즉시 영양분과 수분을 흡수하면서 배내 싹이 그다음으로 나와 발아가 시작된다. 잎의 근원이 되는 배내 싹은 하얀색의 배내 잎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제1본엽, 제2본 엽을 싸고 있다. 배내 잎은 칼집, 엽 초같은 잎이 나온 이후 흙을 뚫으며 본잎을 감싸고 나오는 임무를 수행한다. 땅 위로 나오면 햇볕에 노출이 되면서 땅속에 있는 배내잎 중 일부 배내 잎의 끝 뿌분이 열리며 싸여 있던 본잎이 올라오기 시작한다. 씨앗의 씨눈에는 배내잎을 포함하여 5~6개의 잎이 이미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줄기를 만드는 생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발아가 진행된 이후의 생장점은 활발하게 분해하고 성장을 시작하여 차례대로 잎이 자라고 펼쳐지며 줄기가 자라고 수이삭, 암이삭을 분화하는 역할을 시작한다. 이 같은 역할을 하는 생장점은 씨앗 속에 발아 전 존재하고 있다가 발아 이후에는 흙의 표면에 가깝게 자리하고 있다. 땅속에 생장점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서리 등에 의해 냉해의 피해를 보아 처음에 자라던 제1엽, 제2엽 등이 말라 죽어도 땅속에 있는 생장점에 의해 줄기와 뿌리, 씨앗이 함께 다시 한번 잎이 자랄 수 있게 해줘 생육을 회복시키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한다. 또한, 옥수수는 발아 이후에 2~3매의 본잎들이 벌레에 갉아 먹히거나 서리, 온도등 환경에 의해 피해를 입어 지상부가 전부 잘리더라도 땅의 아랫부분에 있는 배내 잎 하단부에 생장점이 있어 다시 2~3엽이 자란 이후에 새로운 잎이 자라고 있어 옥수수를 재생할 수 있다. 아랫부분에 있던 생장점은 모종이 제5엽기가 지난 이후에 옥수수의 생장에 장점으로 작용하게 되던 생장점이 땅 위로 올라오게 된다.
출처 및 참고문헌
1. 밀-밀의 생리상태, 농사로,
2. 옥수수-옥수수란, 농사로,
3. 농업용어사전, 중복수정, 농사로,
4. 옥수수-형태와 발육, 농사로,
5. 농업용어사전, 종실, 농사로,
6. 농업용어사전, 배아, 농사로,
7. 농업용어사전, 배유, 농사로,
8. 농업용어사전, 무배유종자, 농사로
9. 속씨식물, 위키피디아,
출처 및 참고문헌
1. 밀-밀의 생리상태, 농사로,
2. 옥수수-옥수수란, 농사로,
3. 농업용어사전, 중복수정, 농사로,
4. 옥수수-형태와 발육, 농사로,
5. 농업용어사전, 종실, 농사로,
6. 농업용어사전, 배아, 농사로,
7. 농업용어사전, 배유, 농사로,
8. 농업용어사전, 무배유종자, 농사로
9. 속씨식물, 위키피디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