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겐조 KENZO 브랜드소개
2. 겐조 브랜드컨셉
3. 디자이너 다카다겐조 소개
4. 겐조의 성공요인
5. 겐조 경영전략
(1) 디자인전략
(2) 인사전략
(3) 브랜드 혁신전략
6. 겐조 마케팅전략
(1) 디지털마케팅
(2)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3) SNS마케팅
2. 겐조 브랜드컨셉
3. 디자이너 다카다겐조 소개
4. 겐조의 성공요인
5. 겐조 경영전략
(1) 디자인전략
(2) 인사전략
(3) 브랜드 혁신전략
6. 겐조 마케팅전략
(1) 디지털마케팅
(2)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3) SNS마케팅
본문내용
드인 ‘오프닝 세리머니’를 운영하는 움베르토 레온과 캐럴 림이다. 미국 UC버클리 동창 사이인 이들은 정식으로 패션을 공부하진 않았지만 이 시대 패션 트렌드를 명확하게 간파하고 소비자가 좋아하는 아이템을 정확히 읽어낼 줄 아는 리테일러들이다.
유명 패션스쿨은 물론 어떤 명품브랜드에서도 일한 경험이 없는 디자이너 듀오. 그들이 「겐조」와 같은 세계적인 브랜드의 아트 디렉터로 발탁될 수 있었던 계기는 아마도 여타 유명 디자이너들의 프로필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경영 마인드가 큰 매력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 두 사람이 지닌 경영자로서의 능력이 빛을 발하는 부분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홍보 및 판매 그리고 다른 브랜드들과의 재기 넘치는 콜래보레이션에서 드러난다.
(3) 브랜드 혁신전략
겐조는 동양의 역사와 문화를 그대로 보여주면서 서구 사회에 어필하는 브랜드로 성장했다. 전통과 역사에서 소스를 찾아 글로벌 브랜드를 만든 것이다. 겐조가 일본 전통의상인 기모노를 연상시키는 꽃과 나비 문양이 들어간 의상을 발표하자마자 `겐조` 부티크에는 패션 리더들로 넘쳐났다. 유럽 스타일 오트퀴트르(고급맞춤복) 의상들이 활개를 치고 있던 당시에 동양적인 모티브만으로 승부를 건 그의 모험은 대성공이었다. 현재까지도 아시아의 감성을 현대적으로 잘 녹여내고있다. 이처럼 화려하고 강열한 컬러와 동서양의 믹스로 전세계 패션계를 열광시켰다.
또 그는 여행을 통해 자연과 문화에서 모티브를 얻어 민속의상을 비롯한 다양한 프린트를 디자인에 반영했다. 겐조는 다양한 문화를 넘나들 수 있도록 만드는 정신을 자신만의 것으로 흡수 통찰할 수 있는 비범한 능력을 갖고 있다.
6. 겐조 마케팅전략
(1) 디지털마케팅
겐조가 현재 가장 주목하는 분야가 디지털 마케팅이다. 젊은세대는 디지털 툴을 통해 더 빠르고 깊이 교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겐조는 고화질 영상 서비스인 비메오(Vimeo)에 링크를 개설하고 겐조에 관한 다양한 단편 영상을 올리고 있다. 림과 레온을 영입한 후 만든 영상물도 여기에 올라 있다. 겐조 홈페이지에서는 겐조TV 카테고리를 만들었다. 앞으로 더욱 다채로운 영상을 제작해 대중과 공유할 예정이다. 패션 필름을 만드는 것은 시각적으로 강렬한 스토리텔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고객과의 소통 측면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2)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겐조와 스니커즈브랜드 VANS를 통해 선보인 스니커즈들은 발표와 동시에 매진돼 곧바로 다른 모티브로 추가 제작까지 이뤄졌다. 과거 2012 봄/여름 컬렉션에 사용됐던 모티브를 이용해 디자인된 이 스니커즈들은 90유로(약 13만5000원)라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대에 판매돼 젊은 세대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그 외 스포츠브랜드 NEWERA 와의 콜래보레이션을 통해 발표한 야구모자들은 원색과 모티브 그리고 ‘KENZO’라는 로고만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각종 패션잡지에 소개될 만큼 관심을 모은 이 콜래보레이션은 적절한 가격으로 움베르토와 캐롤은 다시 한번 자신들이 지닌 상품성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3) SNS마케팅
겐조는 젊은 세대로 타깃 소비층을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기존 겐조의 타깃은 40대였다. 하지만 이제는 엄마와 딸이 함께 쇼핑하는 브랜드, 디자인에는 다문화적 요소도 많이 반영하여 전 세계의 문화를 흥미로운 디자인으로 녹여 재탄생시키겠다고 의지를 굳혔다.
겐진(Kenzine)’이라 이름 붙인 SNS블로그에는 움베르토와 캐롤의 가벼운 일상과 여행일지들이 담겨 있다. 사진과 함께 소개되는 이 블로그는 두 사람이 마치 친구에게 이야기하듯 일상적인 문체와 소재들로 꾸며져 있어 고객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유명 패션스쿨은 물론 어떤 명품브랜드에서도 일한 경험이 없는 디자이너 듀오. 그들이 「겐조」와 같은 세계적인 브랜드의 아트 디렉터로 발탁될 수 있었던 계기는 아마도 여타 유명 디자이너들의 프로필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경영 마인드가 큰 매력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 두 사람이 지닌 경영자로서의 능력이 빛을 발하는 부분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홍보 및 판매 그리고 다른 브랜드들과의 재기 넘치는 콜래보레이션에서 드러난다.
(3) 브랜드 혁신전략
겐조는 동양의 역사와 문화를 그대로 보여주면서 서구 사회에 어필하는 브랜드로 성장했다. 전통과 역사에서 소스를 찾아 글로벌 브랜드를 만든 것이다. 겐조가 일본 전통의상인 기모노를 연상시키는 꽃과 나비 문양이 들어간 의상을 발표하자마자 `겐조` 부티크에는 패션 리더들로 넘쳐났다. 유럽 스타일 오트퀴트르(고급맞춤복) 의상들이 활개를 치고 있던 당시에 동양적인 모티브만으로 승부를 건 그의 모험은 대성공이었다. 현재까지도 아시아의 감성을 현대적으로 잘 녹여내고있다. 이처럼 화려하고 강열한 컬러와 동서양의 믹스로 전세계 패션계를 열광시켰다.
또 그는 여행을 통해 자연과 문화에서 모티브를 얻어 민속의상을 비롯한 다양한 프린트를 디자인에 반영했다. 겐조는 다양한 문화를 넘나들 수 있도록 만드는 정신을 자신만의 것으로 흡수 통찰할 수 있는 비범한 능력을 갖고 있다.
6. 겐조 마케팅전략
(1) 디지털마케팅
겐조가 현재 가장 주목하는 분야가 디지털 마케팅이다. 젊은세대는 디지털 툴을 통해 더 빠르고 깊이 교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겐조는 고화질 영상 서비스인 비메오(Vimeo)에 링크를 개설하고 겐조에 관한 다양한 단편 영상을 올리고 있다. 림과 레온을 영입한 후 만든 영상물도 여기에 올라 있다. 겐조 홈페이지에서는 겐조TV 카테고리를 만들었다. 앞으로 더욱 다채로운 영상을 제작해 대중과 공유할 예정이다. 패션 필름을 만드는 것은 시각적으로 강렬한 스토리텔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고객과의 소통 측면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2)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겐조와 스니커즈브랜드 VANS를 통해 선보인 스니커즈들은 발표와 동시에 매진돼 곧바로 다른 모티브로 추가 제작까지 이뤄졌다. 과거 2012 봄/여름 컬렉션에 사용됐던 모티브를 이용해 디자인된 이 스니커즈들은 90유로(약 13만5000원)라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대에 판매돼 젊은 세대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그 외 스포츠브랜드 NEWERA 와의 콜래보레이션을 통해 발표한 야구모자들은 원색과 모티브 그리고 ‘KENZO’라는 로고만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각종 패션잡지에 소개될 만큼 관심을 모은 이 콜래보레이션은 적절한 가격으로 움베르토와 캐롤은 다시 한번 자신들이 지닌 상품성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3) SNS마케팅
겐조는 젊은 세대로 타깃 소비층을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기존 겐조의 타깃은 40대였다. 하지만 이제는 엄마와 딸이 함께 쇼핑하는 브랜드, 디자인에는 다문화적 요소도 많이 반영하여 전 세계의 문화를 흥미로운 디자인으로 녹여 재탄생시키겠다고 의지를 굳혔다.
겐진(Kenzine)’이라 이름 붙인 SNS블로그에는 움베르토와 캐롤의 가벼운 일상과 여행일지들이 담겨 있다. 사진과 함께 소개되는 이 블로그는 두 사람이 마치 친구에게 이야기하듯 일상적인 문체와 소재들로 꾸며져 있어 고객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추천자료
fedex 의 경영전략 분석
루이비통의 명품 마케팅 전략
기업의 글로벌 경영전략
소니기업분석,소니마케팅전략,소니위기극복사례,SONY기업분석,SONY마케팅전략,SONY위기극복사례
락앤락(LOCK&LOCK) - 락앤락경영전략, 락앤락마케팅성공사례, Five Force model, SWOT, ...
[이랜드 경영전략과 글로벌마케팅전략] 이랜드 기업분석과 이랜드의 해외 마케팅전략분석및 ...
한국콜마(Kolmar) 마케팅 성공사례분석과 한국콜마 기업분석과 SWOT, 4P전략분석 및 한국콜마...
ZARA 자라 브랜드분석과 ZARA 경영전략(마케팅,광고,벤치마킹전략,빅데이터 활용전략) 분석및...
[중소기업 경영론] BBQ에 대한 분석 및 지속성장 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