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심재영이었고 회원 중에 최영신이라는 열성적인 농촌 운동가가 있었다고 한다. 지은이는 이들과 합류하여 야학을 운영하고 농촌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데 앞장서기도 하였다. 또한 자신의 본업이라고 생각한 작품활동을 병행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체험들은 <상록수>에 거의 수용될 수밖에 없었다. <상록수>에는 신문사가 주최한 하계 농촌계몽운동 보고회에 남녀 대표로 나온 박동혁과 채영신이 등장한다. 이들은 동지적 입장에서 농촌봉사활동을 벌이다가 서로 사랑하는 사이로 발전한다. 그러나 이들은 개인적인 사랑보다도 농촌계몽운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자신들을 희생시킨다. 이들은 큰조카와 최영신의 본모습이다.
9. 사진 첨부 (안산시 본오동 소재 최용신 기념관)
10. 후기
심훈을 선정하여 조사연구하게 된 동기는 일제강점기 때 최용신 선생님의 독립운동, 민족운동, 계몽운동, 한글운동에 감명 깊어서이다. 연약한 여자의 몸으로 암울한 우리 민족의 시대에 젊음과 건강을 바쳐가며 희생하는 모습은, 너무나 개인적이고 이기적이며 물질만능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잠자는 자 잠을 깨고, 눈먼 자 눈을 떠라. 부지런히 일을 하여 살 길을 닦아보세>
따라서 이러한 체험들은 <상록수>에 거의 수용될 수밖에 없었다. <상록수>에는 신문사가 주최한 하계 농촌계몽운동 보고회에 남녀 대표로 나온 박동혁과 채영신이 등장한다. 이들은 동지적 입장에서 농촌봉사활동을 벌이다가 서로 사랑하는 사이로 발전한다. 그러나 이들은 개인적인 사랑보다도 농촌계몽운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자신들을 희생시킨다. 이들은 큰조카와 최영신의 본모습이다.
9. 사진 첨부 (안산시 본오동 소재 최용신 기념관)
10. 후기
심훈을 선정하여 조사연구하게 된 동기는 일제강점기 때 최용신 선생님의 독립운동, 민족운동, 계몽운동, 한글운동에 감명 깊어서이다. 연약한 여자의 몸으로 암울한 우리 민족의 시대에 젊음과 건강을 바쳐가며 희생하는 모습은, 너무나 개인적이고 이기적이며 물질만능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잠자는 자 잠을 깨고, 눈먼 자 눈을 떠라. 부지런히 일을 하여 살 길을 닦아보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