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 명
2. 프로그램 기간
3. 프로그램의 필요성
4. 프로그램 대상자 선정
5. 기대효과
6.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7. 담당인력 구성
8. 프로그램 내용
1)세부사업내용
2)사업진행일정
3)목표에 대한 평가방법
9. 예산
2. 프로그램 기간
3. 프로그램의 필요성
4. 프로그램 대상자 선정
5. 기대효과
6.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7. 담당인력 구성
8. 프로그램 내용
1)세부사업내용
2)사업진행일정
3)목표에 대한 평가방법
9. 예산
본문내용
받은 후 그에 맞는 대청방안 습득
- 노인 학대 방지센터, 콜서비스에 대한 이용방법과 정보 습득
1-2. 노인의 권리 및 의지 강화
-노인의 인권 교육을 통해 자존감 획득
1-3. 노인의 스트레스해소를 통한 건장증진
-웃음치료를 통하여 웃음을 회복
2. 지속적인 건강 서비스 (건강진단)를 통한 건강한 삶 영위
- 지역 보건소와 연계하여 건강검진
3-1. 사회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사회 관계망 유지, 삶의 활력 증진
-여가활동,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한 노인의 사회활동 자발적 참여
3-2. 취업을 통해 경제적인 자립도 상승 및 자신감 획득
-산불예방, 자연보호, 환경감시활동, 행사도우미, 지역관광상품 안내등과 같은 소일거리 제공
7. 담당인력 구성
이름
직책
주요업무
자격증
000
팀장
통합관리
사회복지사 1급
000
강사
오리엔테이션
여가활동 교육
봉사활동 교육
레크레이션 강사
000
전문가
취업정보제공
기관과 연계
노인일자리 전문가
000
심리치료사
심리 치료를 통한
정신적 스트레스 경감
상담심리사
000
치료사
웃음치료를 통한
건강증진
웃음치료사
000
사원
참가자 관리 및 교육
사회복지사 1급
000
사원
참가자 관리 및 교육
사회복지사 1급
8. 프로그램 내용
1)세부 사업 내용
프로그램
활동
(수행방법)
시행
시기
수행
인력
참여
인원
시행
횟수/
시간
첫 만남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소개, 참여자소개
-레크레이션 강사 초빙
1월
사회복지사
3명
강사1명
상담치료사1명
20명
일 1~2시간
1주
노인학대의 경험에 대한 상담과 치료 실시
-학대경험(유형)에 대한 파악과 심리치료 동반
1,2,3월
사회복지사1명
심리치료사1명
20명
일 1~2시간
개월
웃음 치료
-웃음치료
1,2,3,
4,5,6
월
웃음치료사1명
20명
수시
노인의 인권에 대한 교육
-자신이 학대를 당할 이유가 없다는 것에 법적근거 교육실시
1,2월
사회복지사2명
20명
일 1~2시간
2개월
건강검진
-보건소와 연계하여 건강검진
1,6월
사회복지사3명
20명
2회
학대 대처
교육
-학대 발생 시 대처교육, 센터 정보 제공
연간
요양보호사
3명
20명
수시
콜 도우미
-의문사항이나 위급사항 발생시
긴급대처
연간
사회복지사3명
20명
수시
여가화동과 봉사활동 활성화에 대한 강좌
-레크레이션 강사 초빙,
프로그램 참여자들에게 강좌 제공
2,3,4월
강사 1명
20명
일 1~2시간
3개월
취업 강좌
-노인이 할 수 있는 소일거리들에 대한 정보와 기관 연계
3,4,5월
전문가 1명
20명
일 1~2시간
3개월
나들이
-참여자들과 야외 나들이
1,2,3,4,5,6월
사회복지사3명
20명
6회
2)사업 진행 일정
기간
내용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오리엔테이션
O
치료와 상담 실시
O
O
O
O
O
O
웃음치료
O
O
O
O
O
O
인권, 권리 교육
O
O
O
O
O
O
건강검진
O
O
학대 대처 교육
O
O
O
O
O
O
콜 도우미
O
O
O
O
O
O
봉사활동, 여가화동 교육
O
O
O
취업 교육
O
O
O
나들이
O
O
O
O
O
O
3) 목표에 대한 평가 방법세부목표
목표에 대한 평가방법
평가지표
자료원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시기
1-1노인들의 학대에 대한 대처능력 향상
올바른 대처 행동 인식에 대한 모의상황 재실시
대상자의 진술
모의상황을 통한자료 수집,
언어적 진술
수시
1-2. 노인의 인권, 권리 인식 및 의지 강화
노인자신에 대한 의지력 평가
전문가들의 경력표 및 지원서
질문지를 통한 수집
1월
1-3. 노인의 스트레스 해소를 통한 건강증진
노인의 참여도
대상자의 참여모습
노인의 참여도
수시
2. 지속적인 건강 서비스 (건강진단)를 통한 건강한 삶 영위
건강진단 결과
건강감사 결과 표
보건소 연계를 통한 적성검사를 실시 및 측정함
연 2회
(프로그램 시작, 종료)
3-1. 사회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사회 관계망 유지, 삶의 활력 증진
개인의 사회참여
유형 조사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자료
개인의 사회참여율
조사
매주
3-2. 취업을 통해 경제적인 자립도 상승 및 자신감 획득
대상 노인에 대한 평가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설문조사
개인의 경제활동
욕구조사
매주
9. 예산
항목
산출근거
예산조달
계획
직접비
간접비
신청금액
인건비
팀장
사회복지사(1)×200만원
×6개월
1200
만원
사원
사회복지사(3)×150만원
×6개월
1350
만원
레크레이션
강사
강사(1)
월4회×50,000×3개월
60만원
취업 전문가
전문가(1)
월4회×50,000×3개월
60만원
상담치료사
치료사(1)
월4회×50,000×6개월
120만원
웃음치료사
치료사(1)
월4회×50,000×6개월
120만원
소계
360만원
2550만원
2910만원
사업비
오리엔테이션
행사비
안내문 및 문구비
: 프로그램 참가자(20)
×5,000×연1회(1)
10만원
중식제공
: 프로그램참가자(20)
×5,000×연1회(1)
10만원
심리검사비
심리검사
: 프로그램참가자(20)
×5,0000×연2회(2)
200만원
건강검진
보건소방문 차량대여비
: 32인승버스(일)
×120,000×연3회(3)
36만원
학대
교육비
시청각 자료비
: 안전교육DVD(1)
×50000
5만원
안전사고
교육
소방서 방문 차량대여비
: 32인승버스(일)
×120,000×연1회(1)
12만원
나들이
식사제공
: 프로그램참가자(20)
×조,중,석식(3)
×5000×연6회(6)
180
만원
312만원
예비비
: 100,000×연6회(6)
60만원
나들이 차량대여비
: 32인승버스(일)
×120,000×연6회(6)
72만원
소계
585만원
585만원
관리비
냉·난방비
6개월×7만원
42만원
90만원
전기비
6개월×4만원
24만원
전화비
6개월×4만원
24만원
소계
90만원
90만원
합계
745만원
2640만원
3385만원
이 제안서에서 노인 학대에 대한 주제를 하였을 때, 사실 노인학대를 해결하기위해서는 가족 즉 가해자인 부양자의 태도가 바뀌는 것도 많이 중요하다. 이것을 위해서는 가족교육 및 상담 등의 프로그램이 있지만, 제안서의 대상집단이 노인으로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서비스는 생략하도록 하였습니다.
- 노인 학대 방지센터, 콜서비스에 대한 이용방법과 정보 습득
1-2. 노인의 권리 및 의지 강화
-노인의 인권 교육을 통해 자존감 획득
1-3. 노인의 스트레스해소를 통한 건장증진
-웃음치료를 통하여 웃음을 회복
2. 지속적인 건강 서비스 (건강진단)를 통한 건강한 삶 영위
- 지역 보건소와 연계하여 건강검진
3-1. 사회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사회 관계망 유지, 삶의 활력 증진
-여가활동, 자원봉사 활동 등을 통한 노인의 사회활동 자발적 참여
3-2. 취업을 통해 경제적인 자립도 상승 및 자신감 획득
-산불예방, 자연보호, 환경감시활동, 행사도우미, 지역관광상품 안내등과 같은 소일거리 제공
7. 담당인력 구성
이름
직책
주요업무
자격증
000
팀장
통합관리
사회복지사 1급
000
강사
오리엔테이션
여가활동 교육
봉사활동 교육
레크레이션 강사
000
전문가
취업정보제공
기관과 연계
노인일자리 전문가
000
심리치료사
심리 치료를 통한
정신적 스트레스 경감
상담심리사
000
치료사
웃음치료를 통한
건강증진
웃음치료사
000
사원
참가자 관리 및 교육
사회복지사 1급
000
사원
참가자 관리 및 교육
사회복지사 1급
8. 프로그램 내용
1)세부 사업 내용
프로그램
활동
(수행방법)
시행
시기
수행
인력
참여
인원
시행
횟수/
시간
첫 만남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소개, 참여자소개
-레크레이션 강사 초빙
1월
사회복지사
3명
강사1명
상담치료사1명
20명
일 1~2시간
1주
노인학대의 경험에 대한 상담과 치료 실시
-학대경험(유형)에 대한 파악과 심리치료 동반
1,2,3월
사회복지사1명
심리치료사1명
20명
일 1~2시간
개월
웃음 치료
-웃음치료
1,2,3,
4,5,6
월
웃음치료사1명
20명
수시
노인의 인권에 대한 교육
-자신이 학대를 당할 이유가 없다는 것에 법적근거 교육실시
1,2월
사회복지사2명
20명
일 1~2시간
2개월
건강검진
-보건소와 연계하여 건강검진
1,6월
사회복지사3명
20명
2회
학대 대처
교육
-학대 발생 시 대처교육, 센터 정보 제공
연간
요양보호사
3명
20명
수시
콜 도우미
-의문사항이나 위급사항 발생시
긴급대처
연간
사회복지사3명
20명
수시
여가화동과 봉사활동 활성화에 대한 강좌
-레크레이션 강사 초빙,
프로그램 참여자들에게 강좌 제공
2,3,4월
강사 1명
20명
일 1~2시간
3개월
취업 강좌
-노인이 할 수 있는 소일거리들에 대한 정보와 기관 연계
3,4,5월
전문가 1명
20명
일 1~2시간
3개월
나들이
-참여자들과 야외 나들이
1,2,3,4,5,6월
사회복지사3명
20명
6회
2)사업 진행 일정
기간
내용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오리엔테이션
O
치료와 상담 실시
O
O
O
O
O
O
웃음치료
O
O
O
O
O
O
인권, 권리 교육
O
O
O
O
O
O
건강검진
O
O
학대 대처 교육
O
O
O
O
O
O
콜 도우미
O
O
O
O
O
O
봉사활동, 여가화동 교육
O
O
O
취업 교육
O
O
O
나들이
O
O
O
O
O
O
3) 목표에 대한 평가 방법세부목표
목표에 대한 평가방법
평가지표
자료원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시기
1-1노인들의 학대에 대한 대처능력 향상
올바른 대처 행동 인식에 대한 모의상황 재실시
대상자의 진술
모의상황을 통한자료 수집,
언어적 진술
수시
1-2. 노인의 인권, 권리 인식 및 의지 강화
노인자신에 대한 의지력 평가
전문가들의 경력표 및 지원서
질문지를 통한 수집
1월
1-3. 노인의 스트레스 해소를 통한 건강증진
노인의 참여도
대상자의 참여모습
노인의 참여도
수시
2. 지속적인 건강 서비스 (건강진단)를 통한 건강한 삶 영위
건강진단 결과
건강감사 결과 표
보건소 연계를 통한 적성검사를 실시 및 측정함
연 2회
(프로그램 시작, 종료)
3-1. 사회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사회 관계망 유지, 삶의 활력 증진
개인의 사회참여
유형 조사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자료
개인의 사회참여율
조사
매주
3-2. 취업을 통해 경제적인 자립도 상승 및 자신감 획득
대상 노인에 대한 평가
자신이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설문조사
개인의 경제활동
욕구조사
매주
9. 예산
항목
산출근거
예산조달
계획
직접비
간접비
신청금액
인건비
팀장
사회복지사(1)×200만원
×6개월
1200
만원
사원
사회복지사(3)×150만원
×6개월
1350
만원
레크레이션
강사
강사(1)
월4회×50,000×3개월
60만원
취업 전문가
전문가(1)
월4회×50,000×3개월
60만원
상담치료사
치료사(1)
월4회×50,000×6개월
120만원
웃음치료사
치료사(1)
월4회×50,000×6개월
120만원
소계
360만원
2550만원
2910만원
사업비
오리엔테이션
행사비
안내문 및 문구비
: 프로그램 참가자(20)
×5,000×연1회(1)
10만원
중식제공
: 프로그램참가자(20)
×5,000×연1회(1)
10만원
심리검사비
심리검사
: 프로그램참가자(20)
×5,0000×연2회(2)
200만원
건강검진
보건소방문 차량대여비
: 32인승버스(일)
×120,000×연3회(3)
36만원
학대
교육비
시청각 자료비
: 안전교육DVD(1)
×50000
5만원
안전사고
교육
소방서 방문 차량대여비
: 32인승버스(일)
×120,000×연1회(1)
12만원
나들이
식사제공
: 프로그램참가자(20)
×조,중,석식(3)
×5000×연6회(6)
180
만원
312만원
예비비
: 100,000×연6회(6)
60만원
나들이 차량대여비
: 32인승버스(일)
×120,000×연6회(6)
72만원
소계
585만원
585만원
관리비
냉·난방비
6개월×7만원
42만원
90만원
전기비
6개월×4만원
24만원
전화비
6개월×4만원
24만원
소계
90만원
90만원
합계
745만원
2640만원
3385만원
이 제안서에서 노인 학대에 대한 주제를 하였을 때, 사실 노인학대를 해결하기위해서는 가족 즉 가해자인 부양자의 태도가 바뀌는 것도 많이 중요하다. 이것을 위해서는 가족교육 및 상담 등의 프로그램이 있지만, 제안서의 대상집단이 노인으로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서비스는 생략하도록 하였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