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Ⅱ. WCC와 NCCK의 연합활동
Ⅲ. WCC와 NCCK의 연합활동 평가 및 전망
Ⅳ. 결론
* 참고문헌
Ⅱ. WCC와 NCCK의 연합활동
Ⅲ. WCC와 NCCK의 연합활동 평가 및 전망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배척받는 행사가 될 것이 아쉬울 뿐이다.)
* 참고문헌
VanElderen, Marlin. And So Set Up Signs……. 『세계교회협의회 40년사』. 이형기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2005.
WCC Geneva ed. The Section Reports of the WCC. 『세계교회협의회 역대총회종합보고서』. 이형기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_________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BEM문서: 세례, 성만찬, 직제』이형기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전택부. 『한국에큐메니칼운동사』. 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79.
박상증 편저. 『한국교회와 에큐메니칼 운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한국교회 인권운동 30년사』. 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2005.
NCCK. “‘세례, 성만찬, 교역’에 대한 NCCK 신학연구위원회의 입장.” 『종교신학연구』서강대학교신학연구소, 1990.
김상근. “왜 KNCC는 인권민주화운동에 나섰나?.” 『내일을여는역사』제26호. 내일을역는역사, 2006.
김흥수. “WCC의 한국전쟁 성명과 공산권 교회들.” 『한국근현대사연구』. 한국근현대사학회, 2003.
______ “한국전쟁과 세계교회협의회. 1950~1953.” 『한국기독교와 역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______ “한국민주화기독자동지회의 결성과 활동.” 『한국기독교의 역사』제27호. 2007.
______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의 WCC 가입신청 문제.” 『한국기독교와 역사』제22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5.
김홍만. “WCC의 타종교와의 대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 『역사신학논총』.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0.
이유나. “88선언 전후시기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통일운동과 제 세력의 통일운동 전개.” 『한국기독교와 역사』. 한국기독역사연구소, 2010.
전택부. “일제하 한국 NCC 운동.” 『기독교사상』제22권 제9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8.
조은식. “통일을 향한 남북한 기독교인 교류.” 『대학과 선교』. 한국대학생선교학회, 2008.
조이제. “한국교회와 인권운동 30년.”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식』제74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6.
허명섭. “NCCK의 최근 동향.” 『성결교회와 신학』.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 참고문헌
VanElderen, Marlin. And So Set Up Signs……. 『세계교회협의회 40년사』. 이형기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2005.
WCC Geneva ed. The Section Reports of the WCC. 『세계교회협의회 역대총회종합보고서』. 이형기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_________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BEM문서: 세례, 성만찬, 직제』이형기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전택부. 『한국에큐메니칼운동사』. 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979.
박상증 편저. 『한국교회와 에큐메니칼 운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한국교회 인권운동 30년사』. 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2005.
NCCK. “‘세례, 성만찬, 교역’에 대한 NCCK 신학연구위원회의 입장.” 『종교신학연구』서강대학교신학연구소, 1990.
김상근. “왜 KNCC는 인권민주화운동에 나섰나?.” 『내일을여는역사』제26호. 내일을역는역사, 2006.
김흥수. “WCC의 한국전쟁 성명과 공산권 교회들.” 『한국근현대사연구』. 한국근현대사학회, 2003.
______ “한국전쟁과 세계교회협의회. 1950~1953.” 『한국기독교와 역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______ “한국민주화기독자동지회의 결성과 활동.” 『한국기독교의 역사』제27호. 2007.
______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의 WCC 가입신청 문제.” 『한국기독교와 역사』제22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5.
김홍만. “WCC의 타종교와의 대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 『역사신학논총』.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0.
이유나. “88선언 전후시기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통일운동과 제 세력의 통일운동 전개.” 『한국기독교와 역사』. 한국기독역사연구소, 2010.
전택부. “일제하 한국 NCC 운동.” 『기독교사상』제22권 제9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8.
조은식. “통일을 향한 남북한 기독교인 교류.” 『대학과 선교』. 한국대학생선교학회, 2008.
조이제. “한국교회와 인권운동 30년.”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식』제74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6.
허명섭. “NCCK의 최근 동향.” 『성결교회와 신학』.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키워드
추천자료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 운동에 나타난 신학
연합운동과 교회
교회에 위임한 선교의 과제
[선교신학]하나님의 선교와 한국교회 - 하나님의 선교의 수용 배경, 하나님의 선교의 수용, ...
[기독교교육]한국 교회 에큐메니칼운동의 역사 - 대한제국시기, 일제의 식민지배시기, 1950년...
국제연합의 성립,국제연합의 조직,국제연합의 활동 및 평가,국제연합의 과제,안전보장이사회...
[한국교회사] 통일운동과 한국교회 -198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교회사 통일운동과 한국교회 -KNCC와 방북운동을 중심으로-
세계선교대회와 한국교회의 에큐메니즘 - 1910년 에든버러 대회와 1928년 예루살렘 대회를 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