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 시민의식을 고취시킨다.
자원봉사조직 및 관리
80명
/ 4회
/ 연
400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봉사의 기회를 제공하고 취미나 관심분야별 봉사단을 구성하도록 지원하고 관리한다.
- 실내놀이지도, 식사 및 간식조리봉사, 동화구연 및 독서지도, 각종 프로그램 조력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자원봉사활동을 담보하고 자원봉사의 지속성을 유지하고, 전문적인 조력가로서 성장시켜 지역 센터의 운영을 조력한다.
운영
위원회
4회/연
800
센터의 운영 및 방향설정에 자문을 구하기 위해 운영위원회의를 실시하고 의견을 수렴한다.
복지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전문성을 담보한다.
자조그룹육성
4회/연
400
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아동 양육관에 대한 이해, 경향분석, 건전하게 양육할 환경조성운동을 주도할 자조집단을 육성하고 활동을 지원한다.
주민 스스로의 자조집단을 육성하는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의 변화를 주도할 역량을 기르고 변화의 주체가 되도록 한다.
편의시설제공
수시/연
비예산
센터의 이용 가능한 시설에 대한 개방을 통해 지역사회의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다.
지역주민들의 문화접촉기회를 증가시키고 편의시설로써의 기능을 강화한다.
센터기능강화사업
홍보사업
6회/연
3,600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리플렛, 소식지배포, 모임 등을 통해 지역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홍보한다.
지역사회에 복지사업 및 서비스를 홍보하고 지역주민들로 하여금 복지혜택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연구조사사업 및 사례발표
연구조사2회
발표2회
1,600
지역사회욕구에 대한 연구 과제를 통해 개선할 문제점을 도출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사업의 전문성을 기하고 분석 및 평가를 통해 보다 나은 사업계획을 수립한다.
직원교육 및 연수
7회/연
1,400
복지서비스의 경향과 복지서비스대상자들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한다.
직원들의 전문성향상과 업무의 효과적인 발전을 통해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과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기능교사교육 및 간담회
12회/연
600
기능교사의 의견수렴을 통한 프로그램의 원활한 관리 및 센터의 목적과 기능에 관련한 업무 및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정기적인 모임을 갖는다.
기능교사와 관계형성을 통하여 센터의 운영방향을 전달함으로써 기능교사의 능동적인 참여와 복지마인드구축을 통해 지역사회의 복지센터로서의 기능을 강화한다.
6. 향후 방안
지역아동센터 시설장은 대부분 무급 혹은 낮은 인건비로 근무하는 경우가 많다. 비록 근로조건은 열악하지만, 지역아동센터에 지원된 정부의 지원인 운영비, 아동복지교사, 급식비 등을 통합 관리하여 그 효율성을 높이고, 가급적 지역아동센터에서 일하는 시설장과 실무자의 인건비, 기관운영비 등을 다른 아동복지시설에 상응한 수준으로 제도화되어야 할 것이며, 국가의 미래인 아동들을 지역사회 내에서 통합적으로 보호하여 질 높은 복지와 교육의 장으로서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자원봉사조직 및 관리
80명
/ 4회
/ 연
400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봉사의 기회를 제공하고 취미나 관심분야별 봉사단을 구성하도록 지원하고 관리한다.
- 실내놀이지도, 식사 및 간식조리봉사, 동화구연 및 독서지도, 각종 프로그램 조력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자원봉사활동을 담보하고 자원봉사의 지속성을 유지하고, 전문적인 조력가로서 성장시켜 지역 센터의 운영을 조력한다.
운영
위원회
4회/연
800
센터의 운영 및 방향설정에 자문을 구하기 위해 운영위원회의를 실시하고 의견을 수렴한다.
복지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전문성을 담보한다.
자조그룹육성
4회/연
400
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아동 양육관에 대한 이해, 경향분석, 건전하게 양육할 환경조성운동을 주도할 자조집단을 육성하고 활동을 지원한다.
주민 스스로의 자조집단을 육성하는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의 변화를 주도할 역량을 기르고 변화의 주체가 되도록 한다.
편의시설제공
수시/연
비예산
센터의 이용 가능한 시설에 대한 개방을 통해 지역사회의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다.
지역주민들의 문화접촉기회를 증가시키고 편의시설로써의 기능을 강화한다.
센터기능강화사업
홍보사업
6회/연
3,600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리플렛, 소식지배포, 모임 등을 통해 지역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홍보한다.
지역사회에 복지사업 및 서비스를 홍보하고 지역주민들로 하여금 복지혜택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연구조사사업 및 사례발표
연구조사2회
발표2회
1,600
지역사회욕구에 대한 연구 과제를 통해 개선할 문제점을 도출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사업의 전문성을 기하고 분석 및 평가를 통해 보다 나은 사업계획을 수립한다.
직원교육 및 연수
7회/연
1,400
복지서비스의 경향과 복지서비스대상자들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한다.
직원들의 전문성향상과 업무의 효과적인 발전을 통해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과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기능교사교육 및 간담회
12회/연
600
기능교사의 의견수렴을 통한 프로그램의 원활한 관리 및 센터의 목적과 기능에 관련한 업무 및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정기적인 모임을 갖는다.
기능교사와 관계형성을 통하여 센터의 운영방향을 전달함으로써 기능교사의 능동적인 참여와 복지마인드구축을 통해 지역사회의 복지센터로서의 기능을 강화한다.
6. 향후 방안
지역아동센터 시설장은 대부분 무급 혹은 낮은 인건비로 근무하는 경우가 많다. 비록 근로조건은 열악하지만, 지역아동센터에 지원된 정부의 지원인 운영비, 아동복지교사, 급식비 등을 통합 관리하여 그 효율성을 높이고, 가급적 지역아동센터에서 일하는 시설장과 실무자의 인건비, 기관운영비 등을 다른 아동복지시설에 상응한 수준으로 제도화되어야 할 것이며, 국가의 미래인 아동들을 지역사회 내에서 통합적으로 보호하여 질 높은 복지와 교육의 장으로서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소개글